[[분류:1998년 출생]][[분류:2018년 데뷔]][[분류:리우데자네이루 출신 인물]][[분류:브라질의 축구선수]][[분류:플루미넨시 FC/은퇴, 이적]][[분류:보타포구 FR/은퇴, 이적]][[분류:LOSC 릴/은퇴, 이적]][[분류:FC 셰리프 티라스폴/은퇴, 이적]][[분류:PFC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현역]] [include(틀:PFC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간략)]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ernandoCostanza23-24.png|width=100%]]}}} || ||<-2> '''{{{#fff PFC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 No. 22}}}''' || ||<-2> '''{{{#064893 페르난두 페이쇼투 코스탄차[br]Fernando Peixoto Costanza}}}''' || || '''생년월일''' || [[1998년]] [[11월 29일]] ([age(1998-11-29)]세) || || '''국적''' ||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8]] [[브라질]]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8]] [[이탈리아]] || || '''출신지''' ||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 || '''포지션''' || [[수비형 미드필더]], [[라이트백]] || || '''신체조건''' || 182cm, 76kg || || '''주발''' || 양발 || || '''유소년 클럽''' || [[플루미넨시 FC]] (2008~2013)[br][[보타포구 FR]] (2014~2018) || || '''소속팀''' || [[보타포구 FR]] (2018~2020)[br][[LOSC 릴]] (2018~2019, 임대)[br][[FC 셰리프 티라스폴]] (2021~2022)[br][[PFC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 (2022~) || [목차] == 개요 == 브라질 국적의 축구선수. == 선수 경력 == === [[보타포구 FR]] === 플루미넨시와 보타포구 유스를 졸업하여, 2017년에 보타포구 1군팀으로 올라왔으나, 경기는 뛰지 못하고 2018년 여름에 프랑스의 릴로 임대이적한다. 그러나, 4부리그의 리저브팀 경기로 단 한경기만을 출전한 채 다시 보타포구로 복귀한다. 2019년 5월 5일 포르탈레자를 상대로 브라질 세리 A 데뷔전을 치렀고, 코파 수다메리카나 경기도 뛰었다. === [[FC 셰리프 티라스폴]] === 2021년 2월, 몰도바의 명문 셰리프 티라스폴과 계약을 체결하였다. 2021년 2월 20일 스픈툴 게오르게를 상대로 데뷔전을 치렀고, 구단의 리그 우승을 도왔다. 몰도바 컵에서도 우승하였으나, 수퍼컵에서는 스픈툴을 상대로 패하였다. 2021년 여름에는 셰리프 티라스폴의 몰도바 역사상 첫 챔피언스 리그 조별리그 진출을 도왔다. 이후, 구단은 조별 3위를 기록해 유로파리그 토너먼트로 이동하였다. 2021년 11월 28일 디나모-아우토 티라스폴과의 더비 경기에서 셰리프 소속으로 처음이자 마지막 득점을 기록하였다. === [[PFC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 === 2022년 1월에는 러시아의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와 3.5년 계약을 체결하였다. 3월 6일 아르세날 툴라와의 경기에서 데뷔전을 치렀고, 4월 2일 우파와의 경기에서는 데뷔골을 기록하였다. 러시아 무대로 이적한 뒤에는, 주전 [[글렌 베일]]의 좋은 경기력으로 인해 수비형 미드필더로 선발출장하고 있다. == 수상 경력 == '''FC 셰리프 티라스폴 소속''' * 몰도바 수페르리가 우승: 2020-21 * 몰도바 컵 우승: 2020-21 == 같이 보기 == [include(틀:PFC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