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매일유업의 제품)] ||<-2> '''{{{+3 페레로 로쉐}}}[br] {{{+2 Ferrero Rocher}}}''' || ||<-2> [[파일:이마트 페레로.jpg|width=100%]] || ||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이탈리아)] || || '''유형''' ||[[초콜릿]] || || '''출시년도''' ||[[1982년]] || || '''소유자''' ||페레로 SpA || || '''링크''' ||[[https://www.ferrerorocher.com/us/en/|[[파일:Ferrerorocher_brand_logo.png|width=35]]]]| [[https://www.instagram.com/ferrerorocher_korea/|[[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 [[https://www.facebook.com/ferrerorocherkorea/?brand_redir=9057793150&locale=ko_KR|[[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5]]]] | [[https://www.youtube.com/c/FERREROROCHERKORE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ferrero rocher.png]] '''Ferrero Rocher'''. 로셰(Rocher)는 [[프랑스어]]로 [[바위]]를 뜻한다. 여기서의 로셰는 [[견과류]] 등을 넣어 바위처럼 울퉁불퉁한 모양이 되게 만든 [[초콜릿]]을 의미. 간혹 [[이탈리아]] [[초콜릿]]으로 오해를 하는데 상관이 없고 로쉐는 [[이탈리아어]]가 아니다. [[헤이즐넛]]으로 제조한 [[스프레드(식품)|스프레드]]인 '''[[누텔라]]'''를 만든 이탈리아 [[페레로]][* 페레로 하면 초콜릿이지만 초콜릿 말고도 틱택이라는 박하사탕 등 다양한 브랜드도 나온다.]사가 1982년 출시한 [[초콜릿]] 브랜드이다. 대한민국에서 페레로 로쉐는 [[길리안(초콜릿)|길리안]], [[고디바]] 초콜릿과 함께 '비싸고 맛있는 초콜릿'의 대명사로 꼽히지만 사실 고급 초콜릿까지는 아니다. 하지만 시중 보급형 초콜릿 수준도 아닌지라 공산품 초콜릿 중에서는 비싼 가격 때문에 쉽게 먹지 못하는 초콜릿 중 하나. 포장이 고급스럽기 때문에 [[발렌타인 데이]], [[화이트 데이]], [[빼빼로 데이]], [[크리스마스]], [[수능]] 등 특별한 날에는 슈퍼나 마트 등에서 진열하는 경우가 많고, 지인, 연인 간의 선물로도 인기가 많다. 제품 중에 종 모양으로 포장해서 판매하는 게 있는데, 이것이 [[골든벨]]을 연상시킨다 하여 수능 날 선물 마케팅에 사용되고 있다. 당분은 머리 회전에 도움이 되기도 하고. 라이벌급인 길리안은 동네 마트나 편의점에서 보기 힘든 것에 비해 페레로 로쉐는 길리안보다는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가격은 2023년 12월 편의점 기준 개당 약 900원가량.''' 개수가 많아지면 포장 때문인지 가격이 비례해서 높아진다. 열량은 3개에 235kcal.(중량 37.5g) 독특한 식감과 구성 덕분에 여러 가지 과자나 빵 등을 만드는 재료로 들어가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포장이 단순하게 비닐 포장인 T-3나 T-5 같은 것을 10개 이상 묶어 파는 경우처럼 많이 들어있을수록 싸진다. 당연하지만 온라인 몰에서 구매하면 1개당 400원 정도로 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T-24가 9600원가량인 식이다. T-8부터는 비닐 포장이 아닌 플라스틱 케이스를 사용하므로 가격이 올라간다. 제일 창렬인 건 하트 모양 케이스인 T-8로, 8개밖에 안 들어가 있는데 포장이 쓸데없이 고급이라 온라인 몰에서 사도 개당 600원 이상이고 편의점의 경우 개당 1000원꼴. CU 편의점에선 발렌타인데이, 화이트데이마다 카드사 50% 할인을 하는 경우가 많다. T멤버십까지 적용하면 실버는 5%, 골드 이상은 10%가 적용되므로 각각 55%, 60% 할인률이 나오므로 온라인 몰과 비교해도 가장 싼 편. 훨씬 저렴한 짝퉁이 존재하지만, 당연하게도 페레로 로쉐만큼의 맛은 나오지 않는다. [[대한민국|한국]]에서는 2007년부터 [[매일유업]]이 [[누텔라]]와 함께 유통을 담당하고 있다. 재밌는 건 [[동양]]과 [[서양]]의 가격 차이가 심하다는 것. 한국과 [[일본]]에선 고급 과자 이미지가 있어 비싸게 팔리지만, [[미국]]은 12개짜리 포장에 고작 4달러가 보통이며 당연히 여러 개 들어 있을수록 개당 가격은 싸진다. 미국 소득이 한국보다 높은 것을 고려하면 페레로 로쉐의 체감 가격은 한국이 미국의 2배 이상이다. 유럽의 경우 체코같이 물가가 싼 국가에서는 30개들이 가격이 5유로 밑을 찍는 기적이 일어나기도 한다. 이미지 마케팅의 성공 사례로 볼 수 있을 듯. == 종류 == [[파일:attachment/f0032364_49ba23547fc66.jpg]] 페레로 프럴린 시리즈에는 페레로 로쉐 이외에도 여러 가지가 있다. 좌측부터 페레로 가든(현 라파엘로), 페레로 란드누아, 페레로 로쉐. 한국에서는 이 세 가지를 가장 쉽게 구할 수 있으며(2010년 국내 첫 유통 당시에는 페레로 로쉐만 유통되었다), 그 외에도 피스타치오, 딸기, 땅콩 등의 종류가 있다. === 페레로 로쉐(Ferrero Rocher) === 1982년 출시된 가장 기본적인 페레로. 금박지로 포장되어 있다. 밀크 초콜릿과 헤이즐넛 가루로 코팅된 원형 [[웨하스]] 볼에 초콜릿 크림([[누텔라]])이 들어간 형태이다. 속에는 [[헤이즐넛]]이 통째로 하나 들어있다. === 페레로 란드누아(Ferrero Rondnoir) === || [[파일:페레로 란드누아.png|width=100%]] || 페레로 로쉐와 비슷하지만, 이쪽은 다크 초콜릿을 사용했다. 겉에 발라져 있는 것도 헤이즐넛이 아니라 크러스트. === 라파엘로(Raffaello) === || [[파일:페레로 라파엘로.jpg|width=100%]] || 1990년 출시된 자매품. 다른 두 제품과는 다르게 투명한 포장에 싸여있다. 과거에는 페레로 가든(Ferrero Garden)이라는 이름으로 은색 포장에 싸여 있었다. 현재는 개별 라인 '페레로 가든' 시리즈로 떨어져 나갔다. 종류도 더 많아진 채로. [[https://www.google.com/search?sxsrf=ACYBGNQ-gO3ZwYeFvu_M9B2dLFPHcVcvpQ:1580726063692&q=ferrero+garden&tbm=isch&source=univ&client=ms-android-lge&fir=DW768Vsm9uRbXM%253A%252C1nRexlLisj9pbM%252C_%253BFeHJfxJMbX6irM%253A%252CZPbwhcMnOBRuQM%252C_%253BPDH0esge6B7pSM%253A%252CYnRHG6iYjwYD8M%252C_%253BrTZi1EXJuHkzUM%253A%252CcroO73BQEb4cuM%252C_%253BILasDlYfOjHhlM%253A%252CCMGb5F0YBM7L8M%252C_%253Bhlw2Y6oED7MUiM%253A%252CZEu3yr6Yu1vXQM%252C_%253BTzE4XKGKxw4Q6M%253A%252C3O0qBn6kyMRBiM%252C_%253BbA52Qza0hhGr6M%253A%252C-6o35CKasFRfgM%252C_%253BNSLYtDz8DHTcHM%253A%252C-k6VaD8y_mivfM%252C_%253B7cDt6KvQlOM-GM%253A%252C-6o35CKasFRfgM%252C_&usg=AI4_-kTTTMb0Ry1rv8QfFSQl3bFLyBMohQ&sa=X&ved=2ahUKEwj_wI28l7XnAhUNfXAKHZA7Di8Q7Al6BAgGEBo&biw=412&bih=761&dpr=2.63|구글 페레로 가든 검색 결과]] 자세히 보면 현 라파엘로와 모습이 달라졌다. 화이트 초콜릿같이 생겼지만 카카오 성분은 전혀 들어가지 않은 [[https://www.google.com/search?q=Raffaello&client=firefox-b-d&sxsrf=ALeKk02TjiIhnMbCdJ_f5DS7Ne2D5-XJ2Q:1583313748674&source=lnms&tbm=isch&sa=X&ved=2ahUKEwjE2rqsv4DoAhWaE4gKHeyUDgUQ_AUoAXoECBIQAw&biw=1920&bih=944#imgrc=Dqf6DBOQEdz35M|코코넛과 우유맛의 당과류]]이다. 화이트 초콜릿은 카카오 매스 이외의 카카오 성분이 들어간다. 분쇄된 헤이즐넛이 초콜릿 코팅에 함께 섞인 페레로 로쉐와는 달리 겉에 거친 가루들이 묻혀져 있는데 이는 건조 [[코코넛]]이다. == [[애벌레]] 논란 == 몇 년 전부터 [[중국]]에서는 페레로 로쉐 안에 [[애벌레]]가 발견되는 사례가 넘쳤는데, 국내에서도 지난 [[2015년]] [[4월 27일]] [[페이스북]] 유저 신 모 씨가 [[https://www.facebook.com/rmathrwhwlr/videos/894178300628341/|"페레로 로쉐 하나당 3~7마리의 애벌레가 나왔습니다"라며 "초등학교 5학년 아들이 15개, 중학교 3학년 딸이 6개, 아내와 본인은 각각 2개씩을 먹었다"고 설명했다]]. 이에 신 모 씨가 4월 27일 오전에 구입처인 코스트코에 항의하였다. "식품 담당 직원, 식품 담당 팀장, 나중에 점장까지 정중히 사과를 했다"고 신 모 씨는 설명했다. 여기에서 끝나면 그나마 좋았을테지만 지난 [[2017년]] [[3월 31일]]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3/31/2017033102989.html|호주의 한 남성이 페레로 로쉐를 먹던 중 애벌레를 발견]]했다. 그런데 유통과 판매 보관 과정에서 쌀벌레의 일종인 이 벌레의 유충을 100% 막을 수 없다. 이 애벌레는 내장이 뭐로 된 건지 '''[[비닐]]이나 [[플라스틱]]까지 뚫어버린다.''' 즉 포장지도 뚫어버리는 셈. 페레로 로쉐 측에서는 “항상 품질 개선과 신선도를 위해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유통이나 보관 과정에서 쌀벌레의 일종인 애벌레가 생길 수도 있다”고 말하며 초콜릿 구매 시 꼭 냉장 보관할 것을 권장했다. 문제의 [[화랑곡나방]] 애벌레는 페레로 로쉐뿐만 아니라 모든 제과업계들의 적이다. [[http://ilyo.co.kr/?ac=article_view&entry_id=110052|2015년]]에도 [[http://www.wikitree.co.kr/main/news_view.php?id=319522|2017년]]에도 한국 대표 제과업체인 롯데조차 유통 과정에서 혼입되는 이 벌레에 뾰족한 대책을 내놓지는 못하고 있다. 다만 페레로 로쉐의 경우 국내 제과업계보다 고급 이미지이면서 그 못지않게 창렬 논란도 있는데 수입으로 인한 긴 유통 기간 때문에 벌레에 노출될 확률도 높아서 더 심하게 이슈가 되는 것이다. == 여담 == 국내 출시 상표명이 페레로 로쉐이므로 문서명도 거기에 맞추었지만 [[쉐|외래어 표기법에 따르면 페레로 로'''셰'''가 맞는 표기다]]. [[노홍철]]이 제일 좋아하는 초콜릿이다. 무한도전 다이어트 특집 당시에 이것을 보더니 스스로 밝힌 바에 따르면 보통 제일 큰 사이즈로 하나 사서 순식간에 다 먹어치운다고... '''안 그래도 단것을 광적으로 좋아하는 성격에 페레로 로쉐를 만났으니 당연하다면 당연한 결과.''' [[파일:/img/img_link7/820/819615_1.jpg]] [youtube(pOY7prvuikw)] [[러시아]]의 [[성악가]] [[드미트리 흐보로스톱스키]]가 2011년 크리스마스 기념으로 이 초콜릿 선전 광고에 출연했다. 이 영상을 본 일본 팬들은 '''페로페로(핥핥) 탄막'''이 올랐다고 하면서 매우 열광했다. 국내에서의 반응은 멋지고 잘생겼다는 반응이 크지만 중간에 드미트리가 노래하는 장면에서 많이 뿜었다고. 해당 노래는 [[오페라]] [[카르멘#s-2]]의 [[아리아]]인 '투우사의 노래'. 성우 [[김영선(성우)|김영선]]이 페레로 로쉐 광고의 나레이션을 맡은 적이 있는데, 상표 이름을 발음하는 게 어려웠다고 한다. 호락호락 라디오에서 밝힌 내용이다. 아래 영상을 잘 들어 보면 "로'''셰'''"라고 발음하고 있다. 하지만 [[외래어 표기법]]에 따르면 페레로 로셰가 맞는 표기이고 발음하기도 좀 더 쉽다. [youtube(1UkEf_PmdHM)] 이 광고에서는 오페라 [[투란도트]] 중 [[아무도 잠들지 마라]](Nessun dorma)가 쓰였다. [[공주는 잠 못 이루고]]로 알려져 있지만 오역이다. 2015년 2월 14일 [[발렌타인 데이]]에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7/0000586845?sid=104|페레로 그룹의 오너 미켈레 페레로가 사망했다.]] 네이버 웹툰 [[Ho!]]의 여주인공 [[Ho]]가 가장 좋아하는 간식이다. 로쉐라는 말 자체는 위에서 말했듯이 프랑스 초콜릿의 종류 중 하나이다. 그런데 워낙 이 제품이 유명세를 타서 구글에서 로쉐라고 검색하면 전부 이 페레로 로쉐가 나온다. 인기 있는 초콜릿답게 집에서도 [[https://www.youtube.com/watch?v=l7kzwEWPXyc|홈베이킹]]으로 [[https://www.youtube.com/watch?v=QyRxGL26Ns4|만들어보는]] 레시피가 몇 개 있다. 비공식 배리에이션으로는 [[https://www.youtube.com/watch?v=7l_9hIIm7_s|페레로]] [[https://www.youtube.com/watch?v=a3yKyHVOeMY|로쉐]] [[https://www.youtube.com/watch?v=BcUcPcIDLEo|케이크]]도 있는데 공식 시제품은 아니고 다른 사람들이 페레로 로쉐의 모양과 맛을 흉내낸 레시피로 만드는 것 뿐이다. 들어가는 재료의 차이로 인해 원본의 맛을 완전히 흉내내긴 어렵지만 여유만 된다면 재료를 추가로 듬뿍 넣어서 더 풍성하게 만들어 먹을 수 있다. [youtube(60bVcb5mP04)] '수험생을 위한 페레로 로쉐 황금빛 응원 이벤트'를 하고 있다. 광고에 쓰인 음악은 'Take Me Higher(Martha Bean, Jez Burns)'이다. 새해, [[발렌타인 데이]]-[[화이트데이]] 시즌, [[수능]]을 앞둔 시즌에 페레로 로쉐 광고가 유튜브에 자주 등장한다. [[분류:초콜릿 브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