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word-break: keep-all" ||<#ada594><-3> {{{#FFFFFF 포켓몬 도감 나열 순서}}} || || [[파일:icon0440_f00_s0.png|width=40]] 0440 [[핑복]] || [[파일:icon0441_f00_s0.png|width=40]] '''0441 {{{#000,#fff 페라페}}}''' || [[파일:icon0442_f00_s0.png|width=40]] 0442 [[화강돌]] || ||<-3><#ada594> {{{#FFFFFF 지역 도감 나열 순서}}} || ||<-3>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px;margin-top:-6px;margin-bottom:-16px" ||<-3><#80bfff>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4세대#신오도감 목록|{{{#FFFFFF 신오도감}}}]] || || [[파일:픽시 도트.png]] 101 [[픽시(포켓몬스터)|픽시]]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441MS.png]] '''102 {{{#000,#fff 페라페}}}'''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172MS.png]] 103 [[피츄]] || ||<-3><#5a5aff> [[포켓몬스터(포켓몬스터)/목록/6세대#코스트칼로스도감|{{{#FFFFFF 코스트칼로스도감}}}]] || || [[파일:나시 도트.png]] 137 [[나시(포켓몬스터)|나시]]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441MS.png]] '''138 {{{#000,#fff 페라페}}}'''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458MS.png]] 139 [[타만타]] || ||<-3> [[히스이도감|{{{#FFFFFF 히스이도감}}}]] || || [[파일:괴력몬 도트.png]] 156 [[괴력몬]]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441MS.png]] '''157 {{{#000,#fff 페라페}}}''' ||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355MS.png]] 158 [[해골몽]] || }}}}}}}}} || }}} ||<#ada594> '''{{{+1 {{{#white 정보 내 바로가기}}} }}}''' || || [[#앵커-일러스트|일러스트]][br][[#앵커-기본 정보|기본 정보]][br][[#앵커-특성|특성]][br][[#앵커-세부 정보|세부 정보]][br][[#앵커-유전 정보|유전 정보]][br][[#앵커-모습|모습]][br][[#앵커-방어 상성|방어 상성]][br][[#앵커-종족치|종족치]][br][[#앵커-울음소리|울음소리]][br][[#앵커-도감 설명|도감 설명]][br][[#앵커-전용기|전용기]][br][[#s-2|skip]] || [목차] [clearfix] == 정보 == [anchor(앵커-일러스트)] || [[파일:441 페라페.png|width=50%]] || || 페라페 || [anchor(앵커-기본 정보)] ||<-3> {{{#FFFFFF 기본 정보}}} || || {{{#FFFFFF 이름}}} || {{{#FFFFFF 도감 번호}}} || [[포켓몬스터/타입|{{{#FFFFFF 타입}}}]] || || [[파일:icon0441_f00_s0.png|width=40]][br]'''페라페''' [br] ペラップ(페랏프) [br] Chatot || 전국: 0441[br]신오: 102[br]코스트칼로스: 138[br]히스이: 157 || [include(틀:노말타입)][br][include(틀:비행타입)] || [anchor(앵커-특성)] ||<-2><#ada594> [[포켓몬스터/특성|{{{#FFFFFF 특성}}}]]{{{#FFFFFF ([[숨겨진 특성|{{{#FFFFFF 숨겨진 특성}}}]]은 *)}}} || || [[포켓몬스터/특성/ㄴ#날카로운눈|날카로운눈]] || 명중률이 떨어지지 않는다. 상대의 회피율을 무시한다. || || [[포켓몬스터/특성/ㄱ#갈지자걸음|갈지자걸음]] || 혼란 상태가 되면 회피율이 1단계 상승한다. || || *[[포켓몬스터/특성/ㅂ#부풀린가슴|부풀린가슴]] || 방어가 떨어지지 않는다. || [anchor(앵커-세부 정보)] ||<-5> {{{#FFFFFF 세부 정보}}} || ||<#ada594> {{{#FFFFFF 포켓몬}}} ||<#ada594> {{{#FFFFFF 분류}}} ||<#ada594> {{{#FFFFFF 신장}}} ||<#ada594> {{{#FFFFFF 체중}}} ||<#ada594> {{{#FFFFFF 포획률}}} || || 0441 페라페 || 음표 포켓몬 || 0.3m || 1.9kg || 30 || [anchor(앵커-유전 정보)] ||<-4> {{{#ffffff 유전 정보}}} || || 성비 || 알 그룹 || 부화 카운트 || 최대 경험치량 || || 수컷: 50% [br] 암컷: 50% || 비행 || 20 || 1,059,860 || [anchor(앵커-모습)] ||<#ada594><-2> {{{#FFFFFF 모습}}} || ||<#ada594> {{{#FFFFFF 모습}}} || [[파일:external/play.pokemonshowdown.com/chatot.gif]] [br]0441 페라페 || [anchor(앵커-방어 상성)] ||<-4><#ada594> {{{#FFFFFF 방어 상성(특성 미적용)}}} || || {{{#FFFFFF 2배}}} || {{{#FFFFFF 1배}}} || {{{#FFFFFF 0.5배}}} || {{{#FFFFFF 0배}}} || || [include(틀:바위타입)] [include(틀:얼음타입)] [include(틀:전기타입)] || [include(틀:강철타입)] [include(틀:격투타입)] [include(틀:노말타입)] [include(틀:독타입)] [include(틀:드래곤타입)] [include(틀:물타입)] [include(틀:불꽃타입)] [include(틀:비행타입)] [include(틀:악타입)] [include(틀:에스퍼타입)] [include(틀:페어리타입)] || [include(틀:벌레타입)] [include(틀:풀타입)] || [include(틀:고스트타입)] [include(틀:땅타입)] || [anchor(앵커-종족치)] ||<#ada594><-8> [[종족치|{{{#FFFFFF 종족치}}}]] || ||<#ada594> {{{#FFFFFF 포켓몬}}} ||<#ada594> {{{#FFFFFF HP}}} ||<#ada594> {{{#FFFFFF 공격}}} ||<#ada594> {{{#FFFFFF 방어}}} ||<#ada594> {{{#FFFFFF 특수공격}}} ||<#ada594> {{{#FFFFFF 특수방어}}} ||<#ada594> {{{#FFFFFF 스피드}}} ||<#ada594> {{{#FFFFFF 합계}}} || || [[파일:icon0441_f00_s0.png|width=40]][br]페라페 || 76 || 65 || 45 || 92 || 42 || 91 || 411 || [anchor(앵커-울음소리)] ||<-8> [[울음소리(포켓몬스터)|{{{#FFFFFF 울음소리}}}]] || ||<-2> [[파일:icon0441_f00_s0.png|width=40]][br]{{{#FFFFFF 페라페}}} || ||<#ffffff,#000000><-2><:>{{{#!HTML}}}|| [anchor(앵커-도감 설명)] ||<-2><#ada594> {{{#white 도감 설명[br]스크롤 압박이 있습니다. 도감 설명을 넘기고 싶으시면 [[#앵커-도감설명 스킵|{{{#white skip}}}]]을 눌러주세요.}}} || ||<-2><#ada594> [[파일:icon0441_f00_s0.png|width=40]][br]{{{#FFFFFF 0441 페라페}}} || || 디아루가/BD ||<|4>사람의 말을 기억해서 운다. 동료가 한 장소에 모이면 모두 똑같은 말을 기억한다.|| || Y || || 알파사파이어 || || 포켓몬 GO || || 펄기아/SP ||꽁지를 메트로놈처럼 좌우로 흔들어 리듬을 기억한다. 사람의 말을 흉내낸다.|| || 기라티나 ||<|2>혀는 인간의 것을 똑 닮았다. 그 때문에 인간이 하는 말을 능숙하게 흉내낼 수 있다.|| || BW/BW2 || || HGSS ||<|3>상대와 같은 울음소리를 내서 동료라고 굳게 믿게 하여[br]습격당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 X || || 오메가루비 || || PLA ||정교하게 인간의 말을 모사하는 재주꾼.[br]나이가 들어 경험이 쌓인 개체는 그 말의 의미까지 이해한다고 한다. || ||<-2><#ada594> [anchor(앵커-도감설명 스킵)] || [anchor(앵커-전용기)] || {{{#white 전용기}}} || || [[수다(포켓몬스터)|수다]] || == 소개 == 4세대에서 첫 등장한 포켓몬으로 모티브는 [[음표]](8분음표) + [[메트로놈]][* 꼬리가 메트로놈의 추와 비슷하게 생겼으며, 전투에 나올 때에도 꼬리를 규칙적으로 흔든다. 야생에서의 소지 아이템도 메트로놈이다.] + [[앵무새]][* 앵무새 중에서도 검은목 모란앵무와 외모가 흡사하다.]다. 앵무새를 모티브로 한 포켓몬 답게 발성 능력이 유창하다는 설정을 지니고 있으며,[* 페라페 외에 사람의 말을 따라할 수 있는 포켓몬으로는 [[니로우]], [[시비꼬]]가 있는데, 저 둘은 도감 설명에는 발성에 관한 이야기는 없고 인게임에서만 나온다.] 게임의 다른 포켓몬처럼 전자음 같은 울음소리가 아니고 '페랏푸~'처럼 들리는 비교적 깔끔한 소리를 낸다. 저 울음소리도 사실 페라페의 일본어 이름 '페라프'를 말하고 있는 것이다. 일칭 기준으로는 [[피카츄]]와 더불어 확실하게 게임 내에서도 울음소리를 이름으로 삼는 포켓몬이라 할 수 있다. == 포획 및 스토리 == ||<#ada594> {{{#FFFFFF 스토리 진행 가능 작품}}} || 다소 제한됨 || || {{{#FFFFFF 사유}}} || 너무 낮은 종족값, 좁은 견제폭 || || {{{#FFFFFF 기타 사용 방법}}} || 공중날기 요원 || 스토리에서 가장 중요한 결정력(특공)과 스피드가 90은 넘겨 레벨을 충분히 올린다면 맞기전에 다 팰 수 있다는게 위안을 삼을만한 점. 같은 세대의 사기 포켓몬인 찌르호크와 다르게 특공형이란 것도 그나마 다행인 부분. 교배기[* 주뱃계열, 토게피계열, 돈크로우]로 나쁜음모를 배우기 때문에 특공형으로 키운다면 확실히 피해를 줄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그렇지만 진화를 하지 않기 때문에 종족값 자체가 너무 낮아 한대 맞으면 골로가는데다가 자력기가 부실해 특공 스윕용으로 쓰기가 쉽지 않다. 대신 어떻게 버텨서 2번 때릴 수만 있다면 최소 한마리는 상대할 수 있으므로 최소한의 역할은 다할 수 있다. 하이퍼보이스를 배우긴 하지만 그 레벨이 45기 때문에 스토리때는 사용이 사실상 불가능하고 하이퍼보이스 자체의 좁은 견제폭도 발목을 잡는다. 그외의 자력기라곤 스토리 내에서는 21때 배우는 수다와 37때 배우는 소란피기가 공격기의 전부인데 소란피기와 수다 전부 상향되기 전이라 상당히 성능이 아쉽다. 기술머신으로 배우는 스킬도 잠재파워를 제외하고는 전부 공격형이고 변화기를 많이 배우고 유턴이 있지만 스토리에서는 깔짝형보다는 말뚝 고화력 포켓몬이 선호되니... 그래도 기술 가르침으로 열풍과 괴상한바람을 배워 좁은 견제폭을 조금 채워주긴 한다. 종합해보자면 '종족값이 낮지만 적절한 배치로 특공스핏형으로 키울 여지는 남겨뒀다. 하지만 자력기와 기술머신으로 배우는 기술들이 상당히 아쉬워 스토리에서 쓰기는 부적절하다.'정도. 이미 비행 포켓몬으로 찌르호크라는 걸출한 포켓몬이 있는데다가 노말, 비행 특수형 포켓몬이 필요한 구간이 딱히 없다는걸 생각하면... 그래도 아예 못써먹을 정도는 아니니 다회차 플레이를 한다면 재미로 키워볼 여지는 있다. 펄기아 버전 한정으로 공중날기 요원으로 쓸만하다. DP에서 스토리 공중날기를 습득가능한 포켓몬이 둥실라이드, 크로뱃, 야부엉, 돈크로우, 패리퍼, 찌르호크 등인데 찌르호크는 전투용으로 사용가능하고 돈크로우는 펄기아 버전에 등장하지 않는다. 둥실라이드는 1번만 기회가 있으므로 놓치거나 기절시키면 영영 다시볼 수 없다. 나머지는 후반부가 되어서야 포획이 가능해서 애로사항이 있다. 그나마 페라페가 영원시티에서 npc와 교환으로 통해 비교적 빠르고 쉽게 얻을 수 있기 때문에 3번째 체육관 돌파하자미자 공중요원으로 사용가능하다. 안개제거도 배울 수 있으므로 안개 속에 헤매기 귀찮으면 준비전몬으로 사용할 수 있다.~~하지만 굳이 귀찮게 페라페 교환 받아서 비전몬으로 쓰느니 길가에서 찌르코 한마리 잡아다 쓰면 되는데다 심지어 플라티나 버전은 트로피우스라는 비전 상위호환이 있다~~ == 대전 == 성능을 보면 진화도 못 하고 종족값도 형편없어 실전에서는 도저히 내놓을 수 없었다. 그나마 다행인 것이 종족값 분배는 좋은 편이어서 특공과 스피드가 제법 쓸만한지라 [[파오리]]나 [[딜리버드]]처럼 도저히 쓸 수 없는 수준은 아니었다. 당시 유명한 노말/비행 특공형 포켓몬인 [[토게키스]]와 비교해도 스피드 하나는 페라페가 더 우수할 정도. 물론 그 외의 다른 면들이 전부 떨어지고 특공형 포켓몬인 주제에 물리공격기만 잔뜩 배우는 답답한 기술폭 때문에 경쟁력은 한없이 낮았다. 쓸만한 기술이라고는 [[하이퍼보이스]] 하나 정도였고 Pt에서야 겨우 [[열풍]]과 [[괴상한바람]]이 생겼을 뿐이었다. 비행타입 기술은 써볼 엄두도 못 내서 토게키스가 [[에어슬래시]]를 잘만 쓰는 동안 페라페는 [[수다]]나 5세대의 유전기 [[에어컷터]]를 써야 했다. [[나쁜음모]]로 특공을 올릴 수 있지만 페라페의 내구로 성공시키기는 힘들고 나쁜음모는 토게키스도 쓴다. 대전에서 쓰기는 뭐해도 페라페에게는 한가지 재미있는 특징이 있었는데, 페라페에게 자신이 마이크로 녹음한 목소리를 가르칠 수 있다는 것이었다. 전용기 [[수다]]를 사용하면 이 녹음한 목소리가 변조되어 나오는데 이거 가지고 놀기 위한 게 이 녀석의 존재 가치였다. 5세대에서는 [[수다(포켓몬스터)|수다]]에다가 [[욕설]]을 녹음해두고 상대에게 질러 충격을 주는 일을 방지하기 위해, 페라페가 와이파이 대전에서 아예 사용할 수 없는 포켓몬으로 지정되는 바람에 대전에서 쓰고 싶어도 못 쓰는 불쌍한 포켓몬이 되어 버렸다. 그냥 수다 기술만 사용하지 못하게 하면 되는 게 아니냐고 할 수도 있지만 녹음된 목소리는 페라페가 전투 중에 내는 울음소리에도 반영되기 때문에 페라페 자체를 금지시키는 수밖에 없었다. 결국 [[아르세우스]]같이 [[GS룰]]에서 조차 제한되던 금지 전설, 환상의 포켓몬들도 봉인이 풀리는 2012년 크리스마스컵에서마저 5세대 시점 649마리의 포켓몬 중 유일하게 출장금지를 처분을 받게 되었다. 다른 한편에서 페라페는 굉장히 인기있는 포켓몬으로 올라섰는데, 4,5세대 [[에메랄드 루프|루프]]를 이용할 때 페라페의 수다로 난수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이었다.[* 설명하자면 4,5세대 게임 시스템에는 게임을 로드할때 정해진 기본 난수(시드-seed)가 몇번 사용되었는지를 게임 내의 카운터가 인식하며, 이 카운터에 기록된 횟수에 따라 뜨는 현재 난수(frame)가 결정된다. 이 '몇 번 사용되었나' 카운터를 가장 안정적이고 인위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것이 페라페의 울음소리인데, 바로 능력치 보기 화면을 띄우면 녹음한 페라페의 울음소리가 랜덤하게 실제보다 높게, 혹은 낮게 재생되는 기능이 있어 여기도 난수가 사용되고 카운터가 올라가기 때문이다.] [[루브도]]의 스케치로 스케치할 수 없는 기술이기 때문에 더욱 그렇다. 그 탓에 [[인터넷 독재]]로 몰락한 [[괴짜 메타몽 몰표 사건|모 커뮤니티]]에서는 교환불가 포켓몬으로 지정되는 일이 일어나기도 했다. 6세대에서는 아예 목소리를 녹음하는 기능을 없애버리는 바람에 최대의 특징을 잃게 되었지만, 그 대신 성능면으로는 제법 상향을 받았다. [[음번]]과의 교배기로 '''[[폭음파]]를 배운다.''' 심지어 자속 보정도 받기 때문에 폭음파 사용 포켓몬 중 가장 위력도 높다.[* 보통 폭음파 하면 생각나는 폭음룡보다 특공 종족값이 1 높다.] 어느 정도인가 하면 겁쟁이 페라페가 쓰는 폭음파(30,240)가 고집 [[한카리아스]]의 [[지진(포켓몬스터)|지진]](30,000)보다도 미세하게 높다. 포켓몬에 있어 '고위력기'의 여부 또한 높은 결정력에 기여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 또한 전용기 수다가 100% 확률로 상대를 혼란시키게 됨에 따라 상대의 [[대타출동]]을 뚫고 자속보정 210위력의 공격과 100%의 혼란을 입히고 특성 날카로운눈의 상향으로 사실상 저 두 기술을 필중기로 날려대는 포켓몬이 되었다. 다만 쓸만한 서브웨폰이 부족하다는 점은 여전히 유의해야 한다. 물론 [[잠재파워]]는 익히지만, 그 외에 익힐 수 있는 쓸만한 특수기는 [[열풍]]밖에 없다. 4세대에는 위력은 낮을지언정 [[괴상한바람]]이라도 배웠으나 이후 세대에서는 기술을 가르쳐주는 NPC가 없어서 폭음파와 양립시킬 수가 없다. 또한 아무리 폭음파가 강력하다고 해도 어디까지나 노말 타입 기술인 만큼 생각보다 활약시키기가 까다로운 편이다. 강철타입은 열풍으로 어지저찌 상대하더라도 92의 특공으로는 한계가 있고, 바위나 고스트 타입 앞에서는 할 수 있는 게 없다. 게다가 워낙 낮은 내구 종족값 탓에 기합의띠나 구애스카프 등 대책은 필수인지라 막 굴리기는 어렵다. 그래도 바로 전 세대까지는 별볼 일 없었던 페라페의 실전에서의 가치가 '''진지하게 연구되고 있다는''' 것만으로도 엄청난 출세. 공격 종족값 123의 [[에레키블]]의 위력 90짜리 [[와일드볼트]]보다 공격 종족값 90의 [[라이츄]]의 위력 120짜리 [[볼트태클]]이 더 강하다는 걸 생각해 보라. 차후 세대에서 진화형이 나온다면 그 가치는 더욱 올라갈 듯 하다.~~휘석 페라페~~ 7세대에서는 별다른 점은 없으나 혼란시 자해 확률이 1/3으로 변경되어 수다를 맹신하기는 어렵게 되었다. 페라페가 전체적으로 너무 애매하다 보니까 4공격기를 쓰기에는 무리가 있고, 대신 보조기로 기점을 잡아서 사용한다.[* 페라페가 흔하지 않다 보니 앵콜의 존재를 모르는 사람이 많다는 것도 보너스.] 주된 기술배치는 고속이동or나쁜음모/앵콜/수다or열풍/폭음파 기배에, 성격은 조심or겁쟁이[* 고속이동형은 조심, 나쁜음모형은 겁쟁이를 주로 채택한다.], 아이템은 처참한 내구를 커버하기 위한 기합의띠가 대부분이다. 나쁜음모형과 고속이동형 둘 다 페라페 앞에서 변화기를 쓰는 상대를 앵콜로 묶어버려 기점으로 삼고, 랭크업을 한 다음 폭음파로 쓸어버리면 것이 주 전략이다. 나쁜음모형은 화력이 더 높은 대신 상대가 더 빠르거나 스피드 랭업기를 쓰면 앵콜을 쓰기 힘들지만, 고속이동형은 화력이 더 낮은 대신 그걸 커버할 수 있다. 물론 어느 쪽이든 상대의 움직임을 못 읽을 시 망하는 건 똑같다. 대다수의 기존 포켓몬들이 존재 불가능하도록 정책이 바뀐 8세대에서는 유독 4세대 포켓몬들이 많이 삭제되었는데, 페라페 또한 그 마수를 피해가지 못했다.[* 왕관의 설원에서도 안 돌아온다.] 합격했더라면 에어슬래시와 폭풍이 각각 기술머신과 기술레코드로 풀려 저울질이 필요했을 것이다. 이렇듯 아쉬운 종족치를 폭음파 하나로 커버치며 어찌저찌 밥값 정도는 하던 포켓몬이었으나, 브다샤펄에서는 폭음파와 앙코르를 잃게 되었다.[* 폭음파는 유일하게 유전시킬 수 있는 포켓몬인 음번이 브다샤펄에 존재 불가능하기 때문이고, 앙코르는 원래 토게틱에게서 유전받아야 하는데 토게틱이 앙코르를 배울 수 있는 방법이 레벨업에서 소드실드의 기술레코드로 바뀌었기 때문이다.] 기술 자체는 데이터상으로 유전기 리스트에 있으나, 브다샤펄이 아닌 타 소프트 출신 포켓몬은 브다샤펄로 넘어오는 순간 기술이 리셋되기에 차후 폭음파를 배울 수 있는 포켓몬과 공존이 가능한 소프트가 나오기까지는 [[대코파스|유전이 불가능했다.]] 다행히 포켓몬 3.0.0 업데이트로 이전 세대에서 데려온 포켓몬도 데려갈 게임에서 배울 수 있는 유전기를 떠올릴 수 있게 되어, 폭음파와 앙코르의 유전이 다시 가능해졌다. ==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 [[포켓몬 불가사의 던전 시간의 탐험대·어둠의 탐험대]]/[[하늘의 탐험대]]에서는 [[푸크린]] 길드 내 푸크린의 오른팔 역할을 맡는다. 실제로도 주인공 일행에게 임무를 주는 것은 푸크린이 아니고 이 녀석. 그 외에도 아침기상때 구호를 외치게 하고, 신입인 주인공과 파트너와 함께 던전탐사[* 가는 곳은 바닷가 동굴인데, 사실 이 때 쯤이면 신입이고 뭐고 주인공 일행이 별의 정지를 멈춰야 하는 중요한 사명을 가지고 있었을 때다.]를 가주는 등 이쪽이 훨씬 더 길드장의 역할을 자주 그리고 확실히 수행한다.[* 푸크린은 후의 하늘의 탐험대의 스페셜 에피소드에서 그 비중을 회복했다.] 비중이 길드원들 중 제일 높다고 봐도 무방하다. 하지만 길드장은 아니라서 길드원들이 단체로 페라페에게 극딜을 넣으면 아무말도 하지 못하고, 푸크린에겐 꼼짝도 못한다. 성별은 수컷. 성격이 꽤나 까칠하고 괄괄하다. 툭하면 주인공 일행에게 화내기 일쑤다. 사과의 숲에서 임무를 실패하자 변명 따위는 듣지도 않고 굶기고[* 이건 페라페의 판단 미스라 볼 수 있다. 파트너가 스컹탱크 일행 때문이라 말하는데도 도중에 말을 끊어버리고 들어주지도 않는데 스컹탱크 일행이 자신들과 잠시 협력관계에 있기는 하지만 스컹탱크 일행이 방해했다는 이야기가 나오면 들어서 상관관계를 파악하는 게 중요하다. 협력 관계에서 믿음도 중요하지만 협력 관계에 있는 포켓몬들이 자신들의 일을 방해한 시점에서 손절해야 하는 게 맞다.][* 나중에 바닷가 동굴 중턱에서 스컹탱크 일행이 나쁜 놈이란 걸 알았을 땐 자신이 속은 것도 있지만 무엇보다도 본인의 실책으로 주인공 일행을 굶겼던 것이 떠올라서인지, 먼저 가서는 온갖 쌍욕을 퍼부었다고 한다.][* 하지만 페라페를 제외하고도 이 부분은 개연성이 많이 부족한데 주인공과 파트너가 해골팀의 또가스와 주뱃이 초반에 유적의 조각을 강탈했다는 사실을 밝히지 않았고 스컹탱크가 주인공과 파트너를 독가스롤 공격하고 위협하는 걸 봤던 같은 층에 있던 해루미, 비버니, 가재군, 치렁이 페라페나 푸크린 등에게 일절 말하지 않는다. 때문에 플레이어 입장에선 꽤나 억지스럽게 여겨진다.] 나중에는 주인공 일행을 같이 푸크린에게 끌고 간다거나 주인공 일행이 미래에서 돌아왔음에도 불구하고 길드원 중 마지막까지 주인공의 말을 믿지 못했다던지, 바닷가 동굴에서 주인공 일행과 동행할 때 니들이나 잘하라는 등 길드원들 중 주인공 일행을 그다지 신뢰하지 않는 듯하다. 초반만 보면 거의 해골 팀과 다를 게 없는 재수없는 놈이라 생각할 수도 있다. 하지만 바닷가 동굴에서 페라페가 주인공 일행을 지켜주고 난 뒤 한 말이 매우 멋지다. "이 녀석들은... 내가 아끼는 '''동생이자 제자'''란 말이다! 그냥 당하게 놔둘 것 같으냐!" 라는 간지폭풍 말을 한다.[* 일본어 원문은 おとうとでし(사제)라는 표현을 쓰며 게임 대상 연령층인 어린이들이 이해하기 어려운 어휘여서 동생이자 제자라는 표현으로 번역한 듯하다. ] 생긴 것 답게 말끝마다 ♪를 붙인다. 참고로 페라페 이외에도 ♪를 말끝마다 붙이는 캐릭터가 상당히 많이 나온다. [[푸크린]]이나 [[치렁]], [[럭키(포켓몬스터)|럭키]], [[켈리몬]] 등 생각외로 여러 포켓몬이 사용한다. 초중반에는 주인공에게 잔소리나 해대고 보수금을 뺏는 짜증나는 놈으로 보이겠지만, 바닷가 동굴 클리어 이후 페라페가 주인공 일행을 위해 [[암스타]]와 [[투구푸스]] 무리를 막아서다 쓰러졌을 때, 과거에도 푸크린을 지키기 위해 대신 막아주고서 쓰러졌었다는 걸 [[푸크린]]이 말해준다. 정작 페라페 자신도 기억하지 못한 사실이지만 알고 보면 의리있는 캐릭터라는 걸 보여준 이벤트. 졸업시험에서 길드원들과 싸울 때 얘가 푸크린 다음으로 레벨이 높다. 푸크린은 레벨 50, 페라페는 레벨 45, 나머지 길드원은 레벨 35다. 바닷가 동굴에서 같이 동행했을 때의 레벨은 36. [[하이퍼보이스]]와 공격력을 낮추는 [[깃털댄스]], 회복기인 [[날개쉬기]]를 조심할 필요가 있다. 다만 보스전 전용 체력 보정은 없으니 약점을 찌르면 금방 쓰러뜨릴 수 있다. 선배들의 일기에 쓰여진 걸 보면 부원들이 밤에 몰래 나가지 못하도록 길드의 사다리 위에서 잔다고 한다.[* 한밤중에 비버니가 잠이 안오자 산책도 할겸 돌아다니다 발견했는데 페라페는 그런 비버니를 탈주자로 오해하는 바람에 공격했다고.] 스토리 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인지 능력치에 비해 동료로 만들 수 있는 확률이 낮다. 공간의 균열에서만 등장하는데, 출연률은 그럭저럭이지만, 동료로 만드는 확률은 -10%. 스타팅의 1차 진화형태랑 동률이다.[* 같은 공간의 균열에서 등장하는 미진화 포켓몬 중 [[화강돌]]과 더불어 유일하게 -10%다. 이곳에서 등장하는 대부분의 미진화 포켓몬이 동료로 만들 확률이 6% 대인 것을 생각하면 꽤 낮은 편이다.] 그래서 황금마스크 또는 친구리본 같은 친밀도 관련 아이템을 반드시 가지고 가야 한다. 거기에 레벨 100 찍은 포켓몬을 선두로 두면 동료로 만들 수 있는 확률이 더 높아진다. 이상한 메일로는 페라페가 나올 '''수도''' 있는 알을 보상으로 주는 의뢰를 배포했다. 하늘의 탐험대의 특별 에피소드 비버니의 소원 편에서는 남들 몰래 별의 동굴에 가려는 비버니의 행동이 수상하다고 생각해 길드장에게 얘기하고 푸크린 길드원들을 모두 이끌고 비버니의 뒤를 미행한다. 비버니가 위기에 처한 순간에 길드를 이끌고 나타나서 "감히 길드원을 건드리다니!" 라던가 전투 이후에 밝혀지는 미행 사실 등에 대해 자신이 주목되자 '''[[츤데레|"걱정같은 거 하지도 않았다! 절대로 안 했으니까 말이다!"]]'''라고 말한다. [[포켓몬 초 불가사의 던전]]에서는 동일 개체가 등장한다. 페라페와 같이 푸크린에게 사과를 주는 미션을 해결하면 푸크린과 함께 동료로 들어온다. [[수다]]가 100% 혼란기인데다 범위 공격이라 꽤 쓸만하다. [[소란피기]]가 방 전체 공격기로 상향되고 열풍이 가르침으로 풀린 건 덤이다. 시간의 탐험대, 어둠의 탐험대 특집 애니메이션의 성우는 [[사카구치 다이스케]]. 여기선 아예 의뢰 보상도 떼가는 극악함을 보여준다. 참고로 게임판에선 보상은 정상적으로 준다. == 여담 == 여담으로 특공과 스피드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페라페를 쓰러뜨렸을 때 받는 [[노력치]]는 엉뚱하게도 공격 +1이다. 보통 노력치는 그 포켓몬이 가진 가장 높은 종족값이 되기 마련인데, 체력이 1로 고정되는 [[껍질몬]]이 체력 노력치를 주는 것과 비슷하다. 포켓몬 패러디 영상을 제작하는 Konico라는 외국인 제작자가 만든 [포켓몬이 실제처럼 싸운다면...]이라는 영상에서 [[리아코]]와 맞붙는데, 선제 공격으로 <[[노래하기]]> 기술을 시전하는데, 이 때 [[얼굴 찌푸리지 말아요]]가 흘러나와서, 많은 한국 유저들이 반가워 하는 댓글을 달곤 했다. [[https://youtu.be/vfLV55Ers1Q?t=90|해당 영상 1분 31초부터. 잔인한 장면도 몇 개 있으니 시청에 유의]] 포획률과 초기 친밀도가 낮다. 포획률은 [[무우마]], [[캥카]]보다 낮은 30, 친밀도는 35. 색이 다른 페라페는 몸통 컬러링이 디즈니 애니메이션 알라딘의 앵무새 [[이아고(디즈니 캐릭터)|이아고]]와 흡사하다. [[분류:4세대 포켓몬]][[분류:노말타입 포켓몬]][[분류:비행타입 포켓몬]][[분류:진화체가 없는 포켓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