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일 인물이 개발한 M1903 반자동 전환용 노리쇠, rd1=페더슨 장비)] ||<-2>
{{{#White '''{{{+3 Pedersen Rifle}}}'''[br]''페더슨 소총''}}}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1e3_sheet 0.jpg|width=100%]]}}}|| || '''종류''' ||[[반자동소총]] || || '''원산지'''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2> {{{#!folding 【펼치기 · 접기】 ||<-2>
{{{#White '''이력'''}}} || || '''역사''' ||[[1920년대]] || || '''개발''' ||존 페더슨 || || '''개발년도''' ||[[1920년대]] || || '''생산수''' ||150정 미만으로 추정 || || '''사용국'''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br][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제국)] || ||<-2> {{{#White '''세부사항'''}}} || || '''탄약''' ||7×51mm (.276 페더슨)[br]6.5mm 아리사카 (갑형 소총) || || '''급탄''' ||10발들이 내장형 탄창[br]10발 [[엔블록 클립]] || || '''작동방식''' ||토글 지연 블로우백 || || '''총열길이''' ||610mm (24인치) || || '''전장''' ||1117mm (44인치) || || '''중량''' ||4.1kg (9파운드) ||||}}}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W-2iy81k9DM)]}}}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fhKLuPiXFc)]}}} || ||<-2> [[Forgotten Weapons]]의 리뷰 및 사격 영상 || 미국의 존 페더슨이[* [[페더슨 장비]]와 [[레밍턴 M10]]의 개발자.] 설계한 반자동 소총. == 상세 == 1920년대 초반, [[미 육군]] 병기부(Ordance Department)는 1차 대전부터 줄곧 써왔던 [[볼트액션]]식 [[스프링필드 M1903]]을 대체하기 위해 [[반자동소총]] 위원회(Semi-automatic Rifle Board)를 통해 새로운 반자동 소총 채택계획을 수립하였다. 사업 공고 직후 10개 회사의 치열한 각축전이 펼쳐졌다. 미국 내에서는 존 페더슨과 존 C. 개런드를 비롯해 [[톰슨 기관단총]]을 제작한 존 톰슨, [[존 브라우닝]]의 이복형제인 조나단 에드먼드 브라우닝(통칭 에드 브라우닝) 등이 참여하였고 이어서 체코의 [[ZH-29]]와 덴마크의 [[방 소총]], 프랑스의 [[RSC 소총]], 스위스(독일) 등 여러 국가가 참여하였다. 원래 미군의 계획에 따라 반자동 소총을 개발하기로 해 경쟁이 시작되었다.[* [[세계 대공황|대공황]]으로 예산이 날아갈 때 그나마 얼마 안 드는 소총 개발은 죽지 않고 계속됐다. 재미있는 건 당시 독일이나 영국, 소련 등은 경제공황으로 대부분 보병무기 개발을 포기하거나 소폭 개량하는 형식으로만 진행되었다는 것.] 개런드부터 페더슨, 톰슨, 에드 브라우닝, 이어 체코, 덴마크, 프랑스, 심지어 '''독일'''까지[* 반자동소총 말고도 권총 부문에서 [[루거 P08]] 등도 [[M1911]]과 경쟁하기도 했다.] 여러 국가의 개발자들이 참가했고, 테스트 과정에서 [[톰슨 소총]]은 지나치게 긴 총몸과 생각보다 복잡한 내부구조 때문에 테스트에서 떨어졌으며, 에드 브라우닝의 콜트 M1929 또한 비슷한 문제로 인해 탈락했고, 최종적으로 남은 것은 페더슨과 개런드였다.[* 이후 콜트 M1929는 윈체스터 G30 및 G30M, M2를 거치면서 개량을 거듭한 결과 [[M1 카빈]]의 원형이 되었고, 내구성 문제로 탈락한 화이트 소총은 [[M14 소총]]의 가스 작동 구조에 영향을 끼쳤다.] 이 소총은 [[루거 P08]]과 같은 토글 액션에 [[노리쇠#s-2.2.3|지연 블로우백 방식]]을 합친 토글 지연 블로우백 방식으로 작동하며, 당시로서는 단순하고 명중률도 높았지만, 지연 블로우백 작동 방식으로 인해 약실이 고압일 때 탄피를 추출해야 했기 때문에 탄피가 약실에 눌어붙어 배출되지 않는 문제가 생겼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탄에 왁스 코팅을 해야했다.[* 반면 개런드는 초반 뇌관 작동식 블로우백이라는, 현대에도 흔치 않은 독특한 설계였다. 그런데 갑자기 미군이 소총의 작약을 변경하면서 탄의 압력이 변했고, 이게 뇌관 작동식에 치명타가 되었다. 뭔 짓을 해도 해결이 안 되자 바로 지금의 가스 피스톤과 회전식 노리쇠를 쓰는 가스압 방식을 채택했다.] 참고로 [[슈바르츠로제 기관총]]도 토글 지연 블로우백 방식으로 작동하는 바람에 같은 문제를 보여서 노리쇠와 연동되는 기름 공급 장치를 이용해 탄에 기름을 뿌려야 했다. 이 문제는 2차 대전 말에 개발된 [[StG44]]의 후속작인 롤러 지연 블로우백 방식으로 작동하는 [[StG44#StG45의 등장|StG45]]에서 약실에 홈을 파 연소 가스 일부를 홈으로 들여보내 탄피가 약실에 눌어붙는 현상을 방지하는 방식인 각인 약실을 도입함으로써 해결되었으며, 이 방식은 현대의 지연 블로우백 방식 총기인 [[H&K G3]]이나 [[FAMAS]]에도 적용되었다. 그러다가 존 페더슨이 병기국과 같이 설계한 .276 페더슨(7×51mm)을 제작하면서 이 탄환을 호환하는 조건으로 변경하면서 2 라운드가 시작됐다.[* 이때도 타 국가 개발자들 역시 참가했으나 결과는...] 전과 마찬가지로 페더슨과 개런드의 이파전이 이어졌는데, 페더슨의 소총은 탄을 왁스로 코팅해야 하는 게 끝내 발목을 잡으면서 결국 [[M1 개런드]]가 최종적으로 채택되었다.[* 이후 개런드의 설계가 채용되고 드디어 제식으로 생산을 하려 할 때,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당시 소장)이 기존 제식 탄종인 [[.30-06 스프링필드]] 탄 재고 문제로 반대하는 바람에 .30-06 탄을 사용하도록 변경되었다. .30-06 탄의 탄피가 .276 탄보다 더 굵어 탄창 용량이 10발에서 8발로 줄어들었지만, 그 대신 보급의 편의가 확실해졌다.][* [[SVT-40]]이나 [[게베어 43]]처럼 탄창을 돌출시켰으면 10발 들이도 가능했지만, 아쉽게도 당시에는 이물질 유입 문제를 우려해 탄창이 총몸 바깥으로 튀어나오지 않게 설계했다. 그러나 이러한 우려는 탄창이 돌출되고 분리되는 [[M1 카빈]]의 등장으로 불식되었다.] == 파생형 == === 시제 갑형 자동소총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ype_Ko_No_1.png|width=100%]]}}} || || 시제 자동소총 갑(試製自動小銃甲)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FrVzj6QqTyo)]}}} || || Forgotten Weapons의 리뷰 영상 || 일본에서 1935년에 만들어졌으며 일본군에 맞게 아리사카탄을 사용하게 만들어졌다. 다만 원본과 똑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채용되지는 않았으나 대전말기에 땜빵을 위해 보관중이던 해당 소총을 꺼내와 소량 투입되었다. === 시제 돌격소총 === 위의 갑형을 베이스로 만들어졌으며 기관총처럼 양각대와 방탄판을 달은 버전도 존재한다. ==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 * [[인리스티드]] - [[인리스티드/장비/튀니지/연합군|튀니지 전역 연합군 장비]]와 [[인리스티드/장비/태평양/일본군|갑형 소총]]으로 등장했다. * [[디 오더: 1886]] - 'M82 자동 장전 카빈'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했다. == 참고 자료 == * [[https://en.wikipedia.org/wiki/Pedersen_rifle]] == 둘러보기 == [include(틀:2차 세계대전/미국 보병장비)] [include(틀:2차 세계대전/일본 보병장비)] [include(틀:보병장비 둘러보기)] [[분류:반자동 소총]][[분류:보병 무기/세계 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