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유기화합물)] [include(틀:유기화합물/카복실산)] [[파일:phenylalanine.png|bgcolor=#fff]] Phenylalanine (Phe, F) [[방향족 탄화수소]]이자 [[아미노산]]([[단백질]]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성분들)의 하나. [[코돈]]은 UUU, UUC이다. 말 그대로 [[알라닌]]에 페닐기(-C,,6,,H,,5,,)가 붙은 형태를 띠고 있다. 여기에 [하이드록실]기(-OH)가 추가되면 [[티로신]]이 된다. 페닐알라닌은 합성 비용이 꽤 높은편인데, 그래서인지 인체에서 자체 합성하지 못하므로 반드시 섭취해야하는 [[필수아미노산]]이다. 그런데 이게 뇌-혈관 장벽을 넘어갈 수 있단게 함정. 남아돌게 될 경우 마구잡이로 누적되어 중추신경에 손상을 준다.[* 이 때문에 학계에서는 당뇨병 환자 등이 단맛을 대체하기 위해, 혹은 단순히 선호에 의해 [[아스파탐]]을 대량으로 섭취할 경우 과량의 페닐알라닌이 뇌의 [[도파민|신경]][[세로토닌|전달]][[노르에피네프린|물질]]의 생합성과 분비를 방해하여 각종 정신질환을 악화시킬 수도 있다는 의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인간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이 확실히 일관된 경향을 보이지 않아서 의심 단계에 그치고 있으므로 구태여 유해하다는 편견을 가질 필요는 없을 것이다.] 따라서, 남아돌 경우 알코올기(-OH)를 하나 붙여서 [[티로신]]을 만드는 데 쓰인다. 알캅톤뇨증, PKU([[페닐케톤뇨증]]), 티로신혈증, [[알비노]] 등의 질환의 경우 페닐알라닌을 티로신으로 변환하는 것에 문제가 생긴 경우다. PKU의 경우 아예 OH기를 붙이는 효소를 만들지를 못한다. [[페닐케톤뇨증]] 환자들은 특히 위험한데, 이 성분이 남아돌경우 처리를 할수가 없다. 이게 심지어 [[혈뇌장벽]]을 통과해서 [[뇌]]에 쌓이게 된다. 때문에 이 병을 미리 인지하고 저단백 식품으로 식단관리를 하지 못하면 각종 장애가 따르게 되며, 다행히 현대에는 기술의 발달로 아이의 탄생과 동시에 확인이 가능하다. 페닐알라닌에서 전환된 [[티로신]]은 뇌 내에서 [[도파민]], [[아드레날린]] 등의 여러 물질로 변환된다. 페닐알라닌에서 이산화탄소를 빼는 과정(탈탄산 과정)을 거치면 [[페닐에틸아민]](펜에틸아민)이 된다. [[아스파탐]]을 구성하는 주요 성분이므로 [[페닐케톤뇨증]] 환자는 [[아스파탐]] 섭취를 하면 안 되며, 이러한 사람들을 위해 [[아스파탐]]이 첨가된 식품에는 아스파탐을 첨가했다는 표시를 하도록 하고 있다.[* 엉뚱하게 여기서 [[당뇨병]]환자도 같이 도움을 받았는데 [[탄수화물]] 즉 당질이 포함된 음료는 [[당뇨병]] 환자에게 독이기 때문에 ([[저혈당]]인 경우는 제외) 음료수가 너무 마시고 싶은 환자들이 [[아스파탐]]으로 단맛을 내는 음료수를 많이 찾았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음료수가 [[나랑드 사이다]]. 이쪽은 반대로 [[아스파탐]]을 필요로 한 경우다.] [[티로신]]과 모양과 용도가 비슷하기 때문에 보통 둘을 같이 묶어서 취급한다. 이소류신, 메티오닌 등과 같은 [[아미노산]][* 앞에 나온 [[아미노산]]은 특정 식물엔 존재하지 않는다.]과 달리 식물이든, 동물이든 두루두루 존재하고 있다. [[단백질]]이 풍부한 음식에 많다. [[초콜릿]], [[포도주]] 뿐만 아니라, [[굴(어패류)|굴]]이나 [[새우]], [[콩]] 등의 고단백 식품을 먹으면 몸 안에서 페닐알라닌이 [[페닐에틸아민]]으로 전환이 된다. [[http://legacy.www.hani.co.kr/section-010100020/2004/10/010100020200410011549001.html|기사]]. 보면 죄다 정력제 혹은 [[춘약|최음제]]로 알려진 물건들이다. 보통 100g의 초콜릿 속 페닐알라닌이 전환하게 된다면 페닐에틸아민이 약 50~100mg가 있다고 한다. [[https://science.ytn.co.kr/program/program_view.php?s_mcd=0082&s_hcd=0006&key=201702141057525843|기사]] [include(틀:유전 부호)]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페닐에틸아민, version=19, title2=페닐케톤뇨증, version2=68)] [[분류:구성 아미노산]][[분류:페닐기를 갖는 화합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