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시진핑)][include(틀:역대 중화인민공화국 주석 배우자)] ||<-2> '''{{{-2 중화인민공화국 제7대 주석부인,중국 여가수,중국군/군인}}}'''[br]{{{#ffd700 {{{+1 '''펑리위안'''}}}}}}[br]'''彭丽媛 | 彭麗媛 | Péng Lìyuán'''[* [[외래어 표기법/중국어]] 때문에 펑리위안이라고 표기하지만 실제 발음은 펑리위엔에 가깝다. 외래어 표기법에서 [[한어병음]] yan은 '옌'으로 적지만 yuan은 '위안'으로 적는데, 이는 [[웨이드-자일스 표기법]]에서 두 음절을 각각 y'''e'''n, yü'''a'''n으로 적는 것의 영향이다. 한국어 발음은 팽려원.]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Peng_Liyuan_A.jpg|width=100%]]}}} || ||<|2> '''출생''' ||[[1962년]] [[11월 20일]] ([age(1962-11-20)]세)|| ||[[중화인민공화국]] [[산둥성]] [[허쩌시]] 윈청현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 || '''가족''' ||배우자 [[시진핑]] (习近平)[* [[1987년]] - ][br]딸 시밍쩌 (习明泽)[* [[1992년]] [[6월 27일]] 출생. 펑리위안 소생.]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화인민공화국]]의 [[가수]], [[군인]]이자 [[시진핑]]의 두 번째 아내. == 생애 == [[1962년]] [[11월 20일]] [[중화인민공화국]] [[산둥성]][* [[한반도]]와 바다 건너 위치한 산동반도에 있는 성으로, [[한국 화교]]의 다수가 이 곳 출신이다.] [[허쩌시]] 윈청현(鄆城縣)에서 태어났다. 집안 자체는 (공산당 기준으로) 출신이 좋지 못 했다. 외삼촌이 [[황포군관학교|황푸군관학교]][* 현재는 [[대만]]의 [[사관학교]]가 되었다. [[대만 군관학교]] 문서 참조. 정작 [[저우언라이]] 등 [[중화인민공화국]]의 [[개국공신]]이자 초창기 수뇌부였던 사람들도 상당 수 황포군관학교 출신이다.] 출신에 [[대만]]에서 살았고, 아버지는 [[문화대혁명]] 당시에 [[우파]]라고 공격당했다.[* 시아버지 시중쉰도 [[문화대혁명]] 당시에 공격당했고, 1978년에서야 [[복권]]되었다.] 펑리위안 본인은 14세에 산동예술학교에 입학했고, 18세에 [[인민해방군]] 문예 관련 업무를 했다. 중국에서는 [[총정치부]] 휘하에 소설가, 공연가, 가수 등 각종 기예 관련 부대를 편성한다. 소설가 출신 [[대장(계급)|상장]]도 있다.[* [[인민해방군 공군]] 소속으로 상장까지 오른 [[류야저우]](刘亚洲)가 그 사례이다. 소설로 대장까지 진급.] 정식으로 22세인 [[1984년]]에 총정치부 가무단에 입대했고 [[중국 공산당]] 당원이 되었다. 1980년대 특유의 창법으로 큰 인기를 끌면서 국민 가수로 등극하게 된다. 1986년에 [[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인인 시중쉰(習仲勳, 습중훈)의 차남이자 [[태자당]] 소속인 [[시진핑]]과 만나 결혼하였다. [[시진핑]]은 이 결혼이 [[재혼]]이었다. 당시에는 아버지가 [[시중쉰]]이었다지만 직급 낮은 2세 정치인에 불과했던 시진핑에 비해 펑리위안의 인지도가 훨씬 높아, 후계자로 등극하며 국내외에 널리 알려지기 전까지 시진핑은 오히려 펑리위안의 배우자로서 더 유명했다. 결혼 후에는 보통 대외활동을 중단하는 다른 중국 고위층의 배우자와는 달리, 그 후 계속 인민해방군 [[제복군인]]이자 가수로 활동했고 2014년 기준으로 인민해방군 현역 [[소장(계급)|소장]]이다. 때문에 시진핑의 군 장악 과정에서도 일정부분 역할을 한 것[* 시진핑은 한때 중앙군사위에서 비서로 근무했고, 배우자가 현역 군인인 만큼 인민해방군에서는 시진핑을 자신들의 일원으로 인정한다고 한다. 이는 시진핑이 군과 큰 연이 없는 [[리커창]]과 같은 경쟁자들을 제칠 수 있던 이유 중 하나였다.]으로 알려져 있다. 자녀는 1992년생([age(1992-06-27)]세)인 무남독녀 외동딸 시밍쩌(習明澤, 습명택)가 있다. 시밍쩌는 [[항저우]][[외국어고등학교]]에서 [[프랑스어]]를 공부했고, [[저장대학]]에 진학해 다니다가 2010년에 [[하버드 대학교]]에 입학했다. 학교에선 다른 이름을 사용했으며, 성적은 좋지 않았다.[* [[저장대학]]의 경우 [[중화인민공화국]]의 명문대 그룹인 [[구교연맹]] 소속으로, [[중화인민공화국]]에서 대단한 수재들만 갈 수 있는 대학이다.] 어머니보다는 아버지를 많이 닮았다. [[https://m.blog.naver.com/chacha7407/220506579058|#]] [[파일:/image/001/2015/10/25/AKR20151025032700083_01_i_99_20151025163707.jpg]] 이 사진에서 [[시진핑]] 뒤에 있는 여성이 딸 시밍쩌로 알려졌지만, 사실 [[영국]] 측의 [[중국어]] 통역이라고 한다. == 기타 == * [[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5092412025781472&outlink=1|남편 시진핑 주석과 더불어서 중국산 제품 마니아로 알려져 있다.]] 한 때 [[아이폰 5]]를 사용했다가 여론에 몰매를 맞고 [[ZTE 누비아 시리즈|누비아 Z5 미니]]로 휴대전화를 교체한 적 있었고, 이제는 [[ZTE Axon 시리즈|ZTE Axon]]으로 교체하는 등 남편 [[시진핑]] 주석과 더불어서 노골적으로 골수 [[ZTE]] 휴대전화 마니아인 데다 의상도 중국산을 고집하는 등, 중국산 사랑이 대단하다고 한다. * [[중화인민공화국]]에서 불리는 애칭은 펑마마(彭妈妈)--팽엄마--.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411252102485&code=970204|<시다다(習大大)는 펑마마를 사랑해>]][* 시다다는 [[시진핑]]의 애칭.]라는 노래도 있다. 허나 시진핑이 자신을 우상화시키는 노래에 염증을 내 오히려 중국 내에서 [[검열]]을 당하는 꼴을 볼 수 있다. * [[에이즈]] 퇴치를 위해 앞장서 온 공을 인정받아 [[유엔]](UN)으로부터 공로상을 수상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001&aid=0008974222|#]] * 방한 당시 국산 화장품 [[토니모리]]의 진동 클렌저를 구입해간 적 있는데, 그 이후로 [[중국인]] 관광객들 사이에서 해당 제품이 불티나게 팔린 바 있다. * 방한할 때 비서관을 시켜서 [[한과]]를 사 오게 한 적도 있을 정도로 [[한과]]를 좋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베 신조]] 전 총리는 한국 정부와 대립관계인데 아내 [[아베 아키에]]는 한류를 좋아하는 친한인 것이 연상되는 대목이다.[* 사실 아베 신조도 개인적으로는 한국 문화를 좋아했었고 집권 1기 차에는 친한파로 분류됐었다.] * [[천안문 6.4 항쟁]] 당시 [[https://www.ytn.co.kr/_ln/0104_201303292103178325|계엄군에게 위문공연을 하는 사진]]이 인터넷에 퍼져서 논란이 되기도 했었다. * 가수 출신이라 노래를 잘 불러서 가끔씩 TV에 노래 부르는 모습이 나온다. * ~~[[https://m.dcinside.com/board/composition_dc/243571|남편의 별명중 하나인 핑핑이와 합성이 되었다]]~~ [[분류:중국의 여가수]][[분류:중국의 군인]][[분류:1962년 출생]][[분류:허쩌시 출신 인물]][[분류:국가 지도자의 배우자]][[분류:성악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