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죠죠의 기묘한 모험에 나오는 스탠드, rd1=펄 잼(죠죠의 기묘한 모험))] || '''{{{#fff 펄 잼의 주요 수상 및 헌액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2>
[[파일:5ARYZvK4L2afx8AcWcf6kF-1.jpg|width=60]] {{{+1 '''[[로큰롤 명예의 전당|{{{#DAA520 로큰롤 명예의 전당}}}]] {{{#DAA520 헌액자}}} ''' }}} || ||<-2><:><#ffffff>{{{#!folding [ 펼치기 · 접기 ] ||<:><#0C0000>'''{{{#ffd700 이름}}}'''||<:><#0C0000>'''{{{#ffd700 펄 잼[br]PEARL JAM}}}'''|| || '''{{{#ffd700 헌액 부문}}}''' || '''{{{#ffd700 공연자 (Performers)}}}''' || ||<:><#0C0000>'''{{{#ffd700 멤버}}}'''||<:><#0C0000>'''{{{#ffd700 에디 베더, 스톤 고사드, 제프 에이먼트,[br]마이크 매크리디, 데이브 크루슨, 맷 캐머런}}}'''|| ||<:><#0C0000>'''{{{#ffd700 입성 연도}}}'''||<:><#0C0000>'''{{{#ffd700 2017년}}}'''|| ||<:><#0C0000>'''{{{#ffd700 후보자격 연도}}}'''||<:><#0C0000>'''{{{#ffd700 2017년}}}'''|| ||<:><#0C0000>'''{{{#ffd700 후보선정 연도}}}'''||<:><#0C0000>'''{{{#ffd700 2017년}}}'''||}}} || ---- [include(틀:이브닝 스탠더드 선정 25대 미국 록 밴드)] ---- [include(틀:UCR 선정 가장 위대한 미국 밴드)] ---- [include(틀:어클레임드 뮤직 선정,항목=1990년대 아티스트,순위=11)] ---- }}} || ||<-2> {{{#fff '''{{{+1 펄 잼}}}'''[br]Pearl Jam}}}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Pearl Jam.jpg|width=100%]]}}}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2> '''결성''' ||[[1990년]] [[7월]] || ||[[미국]] [[워싱턴주]] [[시애틀]] || ||<|2> '''데뷔''' ||[[1991년]] [[7월 7일]] || ||싱글 || || '''멤버''' ||스톤 고사드 {{{-2 (리듬 기타)}}}[br]제프 에이먼트 {{{-2 (베이스)}}}[br]마이크 맥크레디 {{{-2 (리드 기타)}}}[br]에디 베더 {{{-2 (보컬)}}}[br]맷 캐머런 {{{-2 (드럼)}}} || || '''과거 멤버'''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데이브 크루센 {{{-2 (드럼,1990-1991)}}}[br]맷 챔벌레인 {{{-2 (드럼, 1991)}}}[br]데이브 애브루지즈 {{{-2 (드럼, 1991-1994)}}}[br]잭 아이언스 {{{-2 (드럼, 1994-1998)}}} }}} || || '''장르''' ||[[얼터너티브 록]], [[그런지]], [[하드 록]] || || '''레이블''' ||몽키렌치 레코드 || || '''링크''' ||[[https://pearljam.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2]]]] [[https://www.facebook.com/PearlJam|[[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2]]]]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pearljam, 크기=22)] [[https://www.instagram.com/pearljam/|[[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2]]]] [[https://www.youtube.com/pearljam|[[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https://www.tiktok.com/@pearljam|[[파일:틱톡 아이콘.svg|width=22]]]]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5px -10px -6px"" [[파일:Pearl_Jam.jpg|width=100%]]}}} || 미국의 얼터너티브 록 밴드. 1990년대 [[너바나]]와 더불어 시애틀 그런지 음악신을 수놓은 밴드 중 하나이다. 정통파 아메리칸 [[하드 록]]의 계보를 잇는 그런지 밴드이다. 보컬인 에디 베더는 [[더 후]]와 [[블랙 사바스]]의 영향을 받았다고 한다.[* 공연에서 더 후의 Baba O'Riley를 자주 커버한다.] == 역사 == [[Ten]]과 Vs.까지는 스톤 고사드와 제프 에이먼트가 밴드의 중핵이었다. Ten 앨범 최고의 명곡으로 손꼽히는 Alive, Even Flow, Black, Jeremy와 같은 곡들뿐만 아니라 앨범 곡들 대다수가 둘이 만들었을 정도. 에디 베더의 입김이 많이 들어간 [[Vitalogy]][* 절반 가량이 베더의 단독 작곡이다. Ten과 Vs. 합쳐서 베더의 단독 작곡이 Porch, Rearviewmirror, Elderly Woman Behind the Counter In a Small Town 세 곡이었던 걸 감안하면 여러모로 베더의 발언권이 높아진 셈이다.] 이후론 에디 베더가 주축이 돼서 밴드를 이끌어가고 있다. 에디 베더 영입 경위는, 이전부터 스톤과 제프는 [[https://en.wikipedia.org/wiki/Mother_Love_Bone|마더 러브 본]](Mother Love Bone)이라는 밴드에 같이 속해 있었는데 보컬 앤드루 우드(Andrew Wood)의 갑작스런 사망으로 밴드는 해체 되고[* 앤드루 우드를 추모하는 의미에서 펄 잼의 에디 베더, 스톤 고사드, 제프 에이먼트, 마이크 맥크레디와 [[사운드가든]]의 [[크리스 코넬]], 맷 캐머런과 Temple of the Dog이라는 밴드를 결성하기도 했다.],새로운 스타일로 'Alive', 'Jeremy' 등의 곡을 만들고 보컬 트랙만 빠진 데모테이프[* 이 테이프 녹음에 참여한 드러머가 [[레드 핫 칠리 페퍼스]]의 결성 멤버였던 잭 아이언스이다.]를 만들었는데, 해변에서 서핑하고 놀던 에디 베더가 어쩌다 이 데모테이프를 듣게 돼서 즉흥적으로 가사를 만들고 보컬을 입힌 데모테이프를 다시 보내고, 이에 반한 멤버들이 덜컥 채용했다는 얘기가 있다. 드러머는 교체가 잦았는데 원년멤버였던 데이브 크루센(Dave Krusen)은 데뷔 앨범인 [[Ten]] 발매 이후로 개인적인 문제로 밴드를 탈퇴했고, 크루센의 후임으로 들어온 맷 챔벌레인(Matt Chamberlain)은 [[Saturday Night Live]] 밴드 활동 참여를 위해 펄 잼을 떠났다. 그 공석을 메우기 위해 데이브 애브루지즈(Dave Abbruzzese)가 밴드에 합류하게 됐고, 그는 [[Ten]]의 실질적인 활동부터 [[Vitalogy]]까지, 즉 펄 잼의 최전성기를 함께한 드러머가 된다. Vitalogy 이후로 애브루지즈는 밴드를 떠나게 되는데, 애브루지즈와 나머지 멤버들의 여러 정책적인 마찰 때문이었다. 애브루지즈만 후술할 공연 예매 회사인 [[티켓마스터]]와의 소송전에 반대했다고. 애브루지즈를 대신해서 [[레드 핫 칠리 페퍼스]]의 원년 멤버였던 잭 아이언스가 드러머로 들어왔지만 4년간의 밴드 활동 후 펄 잼을 탈퇴했고, 1998년 부터는 [[사운드가든]]의 드러머로 활동했던 맷 캐머런이 합류해서 지금까지 활동하고 있다.[* 그가 펄 잼에 합류했을 때는 [[사운드가든]]은 해체 상태였다. 2010년 사운드가든의 재결합 이후엔 두 밴드에서 드러머 포지션을 맡고 있다.] 데뷔 앨범인 [[Ten]] 발표 직전까지 [[https://en.wikipedia.org/wiki/Mookie_Blaylock|무키 블레이락]](Mookie Blaylock)[* 1989년 데뷔해 13년간 활약했던 [[NBA]]의 전 농구선수로 1990년대 초반 [[도미니크 윌킨스]]를 받치던 [[애틀랜타 호크스]]의 2옵션으로 전성기 당시의 주전 [[포인트 가드]]였다. 펄 잼 멤버들 상당수가 농구팬이라서 그렇게 붙였다고 하며 펄 잼의 데뷔 앨범 Ten도 무키 블레이락의 당시 등번호(10)에서 이름을 따 온 것. 저작권 등의 문제로 밴드 이름을 다시 펄 잼으로 바꾸긴 했지만 무키 블레이락 본인도 이 사실을 알고 있으며 그런 이유로 펄 잼 밴드의 열성팬이 되었다고 한다.][* 메이저리그 팬들에게는 [[무키 베츠]]의 닉네임 유래로 알려진 그 무키 블레이락 맞다.]이라는 이름을 쓰다 밴드명을 현재의 펄 잼으로 변경했다. 너바나의 [[Nevermind]], 앨리스 인 체인스의 [[Dirt(앨리스 인 체인스)|Dirt]], 사운드가든의 [[Superunknown]]과 더불어 펄 잼의 [[Ten]]은 [[얼터너티브 록]]을 상징하는, 더 나아가 1990년대 최고의 명반으로 꼽히는 앨범이다. Ten에 수록된 Even Flow, Alive, Jeremy, Black 등은 펄 잼의 대표곡이라 할 수 있으며 큰 히트를 기록했다. Ten은 긴긴 롱런끝에 미국에서 다이아몬드 레코드[* 천만장 이상 판매.]를 넘어서 x13 플래티넘을 인증받았다. 은근히 이들도 스타일이 많이 변해와서 대충 1~3집 시절의 초기, 4~6집 시절의 중기, 7~9집 시절의 후기로 나눌 수 있다. 대다수의 팬들은 초기 시절의 음악을 좋아하는데, 3집 Vitalogy[* 이 앨범도 Ten과 쌍벽을 이루는 그런지 시대의 명반 중 하나. 다만 스트레이트한 Ten에 비해 에디 베더의 입김이 많이 들어간 아트 록 적인 면이 강한 실험적인 앨범이라 Ten만큼 유명하지는 않다.] 앨범을 기점으로 한동안 쭉 실험적인 성향을 추구해서 많은 팬들이 떠나가기도 하였다.[* 펄 잼 본인들은 수많은 언론과 사람들의 관심을 굉장히 부담스러워 했다. 그 때문에 Vs. 앨범 발매때는 홍보도 전혀 하지 않았고, 앨범 발매전 싱글컷도 하지 않았고, 뮤직비디오도 만들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Vs.는 발매 첫 주만에 빌보드 앨범 차트 1위는 물론이고 1주차 판매량만 '''백만장'''가까운 판매량을 올리며 승승장구. Vitalogy에서부터 시작된 이런 실험적인 성향은 대중들로부터 멀어지려는 의도라고도 볼 수 있는 부분이다.] 하지만 7집 Riot Act를 통해 부활의 조짐을 보이더니, Pearl Jam, Backspacer 앨범을 통해서 초창기의 스트레이트함을 되찾아 그야말로 완전히 부활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실험도 꾸준히 계속되어 2020년 내놓은 11집에서는 디스코를 시도했다. 노래 가사는 보통 보컬인 에디 베더가 쓴다.[* 참고로 에디 베더는 가사를 항상 옛날 타자기로 손수 정리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주로 사회에서 벌어지는 이해할 수 없고 부조리한 사건들을 비판적인 시각으로 노래한다. 쉽게 말해서 시궁창스러운 가사가 많다. 예를 들자면 'Even Flow'는 노숙자가 된 사내의 이야기, 'Why Go'는 자기 딸을 말을 안 듣는다는 이유로 정신병원에 처넣은 부모의 이야기를 딸의 입장에서 노래하며, 'Jeremy'는 1991년 텍사스의 한 고등학교에서 부모의 학대와 학우들의 학교 폭력에 시달린 Jeremy Wade Delle라는 아이가 교실에서 교사와 학생들이 보는 앞에서 권총 자살 한 실제 사건을 바탕으로 한 노래. 'Alive'의 1절과 3절은 화자가 친아버지라고 생각했던 사람이 사실은 계부였고 진짜 아버지는 화자가 13살 때 쓸쓸히 죽어갔다라는 내용이고, 2절은 화자의 어머니가 자기의 전남편과 똑 닮은 자기 아들과 근친상간을 한다는 내용이었다.[* 놀랍게도 1절과 3절의 내용은 에디 베더의 실화라고 한다.] 또 'Daughter'라는 노래는 난독증이 있던 딸을 학대한 부모에 대한 이야기. 'Better Man'은 겉으로 보면 달콤한 사랑노래 같지만 사실은 가정폭력에 시달리는 여자에 대한 이야기. 'Rats'는 쥐새끼들도 자기만의 도덕이 있는데 인간은 그보다도 못하다...라는 내용이다. 'Do the Evolution' 역시 인간이 산업과 기술을 급속도로 발전시켰지만 그를 위해 다른 생명과 타인을 차별하고 착취했다는 점을 인간의 진화에 빗대고 있으며 뮤직 비디오를 통해 이러한 메시지를 강렬하게 전달하고 있다. RHCP와 더불어 가사를 알고 들으면 더욱 좋은 밴드. 게다가 에디 베더의 허스키하고 와일드한 목소리와 엄청난 시너지 효과를 일으킨다. 참고로 보컬인 에디 베더는 전성기 때 하루에 70개피의 담배를 피는 골초였지만 결혼 후 아버지가 되고 자녀에게 모범을 보이기 위해 끊었다고 한다. 자기들 공연비가 너무 비싸다며 미국의 공연 예매 회사인 [[티켓마스터]]를 고소한 일로 유명하다. 비록 졌지만 팬들을 위해 거대 산업과 싸운 사실만으로도 [[대인배]]들이다. 이 사건은 법 관련 책에도 자주 있는 예시이다. 이 외에도 [[부틀렉]] 거래를 막기 위해 2000년부터 03년까지의 공연 실황을 수십장의 앨범으로 발매했다. 원금이나 회수할 수 있을까 의심스러웠을텐데 참 대단한 일이다. 1집의 'Jeremy'의 뮤직비디오가 엄청난 화제가 된 이후 5집의 'Do The Evolution' 이전까지 뮤직비디오를 내놓지 않았다. [[라디오헤드]]의 [[Kid A]]처럼 아예 싱글을 내놓지 않는 극단책을 취한 것은 아니지만, 기간은 펄 잼 쪽이 훨씬 길다. 상업적인 주목을 피하고자 했던 밴드의 모습이 잘 드러나는 부분이다. [[밴드]]명의 유래에 대해서 말이 많았다. [[정액(체액)|정액]]이라는 소문도 있고, 보컬인 에디 베더의 할머니의 이름이 펄이고 아메리칸 원주민과 결혼해서 환각성분이 담긴 잼을 만들수 있었다는 소리도 있다. 하지만 [[롤링 스톤]]지와의 인터뷰에서 에디 베더는 '할머니의 이름이 정말로 펄이였어도 완전 개소리'라고 말했다. 실제로는 제프 에이먼트와 마크 맥크레디가 'Pearl' 이라는 이름을 생각해 냈고, [[닐 영]]의 콘서트에서 [[잼]]을 하는 것을 보고 붙였다고 한다. 같은 시애틀 그런지 밴드로 묶였던 [[사운드가든]]과 음악적인 교류가 잦았던 밴드다. 위에 언급됐듯이 현재 사운드가든의 드러머였던 맷 캐머런이 드럼을 맡고 있기도 하고. 상기 각주에도 있듯, 그 당시 드러머를 제외한 펄 잼의 멤버들인 에디 베더, 제프 에이먼트, 스톤 고사드, 마이크 맥크레디와 사운드가든의 크리스 코넬과 맷 캐머런은 Temple of the Dog[* 참고로 [[크리스 코넬]]은 그의 친구였던 [[체스터 베닝턴]]과 함께 이 앨범의 노래인 Hunger Strike를 2008년 린킨 파크 Project Revolution Live 중에 불렀던 적이 있다. 이때 불렀던 곡은 A Decade Underground에 수록되있다.]이라는 밴드를 만들어서 활동하기도 했다. 셀프 타이틀 앨범 한장만 내고 해체했지만, 앨범에 대한 평가는 상당히 괜찮은 편이다. Hunger Strike는 펄 잼 이전의 에디 베더의 레코드 데뷔곡인데, 크리스 코넬이 2절의 음정을 고민하던 와중 에디 베더가 자기 자신도 모르게 끼어들어 저음부를 녹음했다고 한다. 2016년 12월 20일, 펄 잼의 '''2017년 로큰롤 명예의 전당''' 헌액이 확정되었다. 데뷔한지 25년이 지나서야 헌액 자격이 주어지므로 매우 빨리 헌액이 이루어진 것. 현재까지 1990년대에 데뷔한 뮤지션이 헌액된 것은 2015년에 헌액된 [[그린 데이]], 같이 헌액된 [[투팍 샤커]], 2019년에 헌액된 [[라디오헤드]], 2020년에 헌액된 [[노토리어스 B.I.G.]] 뿐이기 때문에 더욱 의미있는 기록. 1990년대 락 장르에서 펄 잼이 갖는 위상을 생각하면 당연하다고도 할 수 있다.[* 사실 [[너바나]]를 빨리 헌액 시켜서 그렇기도 하다. 명예의 전당 공연 흥행을 위해 1989년 앨범을 기준으로 2014년에 헌액 시켰기 때문이다. 그 이후 [[그린데이]]와 펄 잼이 첫 해 헌액의 영광을 누렸고 라디오헤드가 그 뒤를 이을뻔 했으나 첫 해 헌액에 실패하였다. 사실 명예의 전당이라는 게 [[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야구]]나 농구도 그렇고 몇 수를 해서 들어갔느냐가 명성에 비교의 잣대가 된다. 첫 해 헌액된 [[레드 제플린]]과 헌액되기 20년이 걸린 [[딥 퍼플]]의 차이가 그걸 증명한다.] 하지만 교체가 잦았던 전임 드러머 중에서 헌액된 드러머는 결성 멤버였던 데이브 크루센이 유일. 특히 데이브 애브루지즈는 밴드의 최전성시기를 함께한 멤버임에도 불구하고 헌액 대상에서 쏙 빠져있어서 논란이 일기도 했다. 애브루지즈는 "펄 잼 멤버들은 어떤 행동을 해야할 지 알고 있을 것이다. 나를 좋아하든 싫어하든, 내가 밴드에 기여한 부분을 무시한 것을 정당화해서는 안 된다. 만약 멤버들이 우리가 얼마나 피땀 흘려가면서 노력하고 활동했는지를 기억한다면, 그들은 분명 해야할 일을 할 것이다."라고 말하면서 해당 논란에 대한 분명한 해명을 요구했다.[* 헌액식에서 에디 베더가 잭 아이언스와 더불어 애브루지즈를 훌륭한 드러머였다고 언급을 하긴 했다. 다만 잭 아이언스가 같이 공연에 참가한 것과는 대조적이다. 잭 아이언스는 레드 핫 칠리 페퍼스의 멤버로 이미 헌액되었다.] 2017년 5월 [[사운드가든]]의 보컬인 [[크리스 코넬]]이 급사한 이후 소위 시애틀 그런지 밴드의 원년 보컬 중 에디 베더만이 남았다.[* 크리스 코넬의 영향을 깊이 받았던 [[체스터 베닝턴]]까지 코넬의 자살같은 죽음에 영향을 받으며 자살한 뒤로 더욱 흉흉하다.] 크리스 코넬의 딸인 토니 코넬이 [[롤라팔루자]] 2020에서 펄 잼의 'Black'을 커버하였다. == 디스코그래피 == === 정규 앨범 === * [[Ten]] (1991년) * Vs. (1993년) * [[Vitalogy]] (1994년) * No Code (1996년) * Yield (1998년) * Binaural (2000년) * Riot Act (2002년) * Pearl Jam (2006년)[* [[앨범 아트]]가 좀 독특한데, 그냥 반으로 자른 [[아보카도]] 하나가 달랑 있다. 뒷면은 반대쪽 아보카도 조각. 멤버들이 [[과카몰리]]를 먹다가 정해서 그렇다나. 마침 이름도 그냥 펄잼이다보니 이 앨범을 애칭으로 아보카도라고 부르기도 한다. 여담으로 미국에서 그 해(2006년) 최악의 앨범 아트로 선정되었다.] * Backspacer (2009년) * Lightning Bolt (2013년) * Gigaton (2020년) * Dart Matter (2024년) === 컴필레이션 앨범 === * Lost Dogs (2003년) * Rearviewmirror: Greatest Hits 1991-2003 (2004년) * Pearl Jam Twenty (2011년) [[분류:미국의 록밴드]][[분류:얼터너티브 록 밴드]][[분류:그런지 밴드]][[분류:하드 록 밴드]][[분류:로큰롤 명예의 전당 헌액자]][[분류:1990년 결성된 음악 그룹]][[분류:5인조 음악 그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