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수용체]][[분류:면역계]] [목차] == 개요 == 패턴인지수용체(pattern recognition receptor, PRR)는 선천성 면역세포가 외부 침입자나 손상된 자가 세포를 인식하는 데에 사용하는 [[수용체]]의 집단이다. == 기능 == 다세포생물은 정상적이라면 세포밖에 있어선 안 되는 물질이라거나, 가지고 있을리가 없는 물질들을 인식한다. 대표적으로 단세포 생물에만 있어야 하는 것들. DNA나 이중가닥 RNA, 그냥 RNA[* 대부분의 경우 이 물질들이 세포 밖에 있을 이유가 없다. 왜냐하면 정상 진핵세포라면 [[전사(생물학)|전사]]-[[번역(생물학)|번역]] 과정을 거쳐 [[단백질]]로 변환되기 때문이다. [[호중구]]가 종종 DNA로 만든 박테리아잡이 덫을 만들긴 하지만...], 박테리아의 세포벽 구성물질인 만노오스(mannose)라든가 LPS(지질다당체) 같은 게 대표적. PRR의 일부는 포식 수용체로서 백혈구의 [[포식작용]](phagocytosis)을 증진하며, 이는 보통 위에서 말한 세균이나 진균의 세포벽 성분인 만노스, 지질다당체, [[베타글루칸]], [[펩티도글리칸]] 등을 [[PAMP]]로 한다. [[톨유사수용체]]와 같은 PRR은 포식 수용체로 작용하지 않는다. == 종류 == 대표적인 PRR에는 [[톨유사수용체]](Toll-like receptor, TLR), [[C형 렉틴 수용체]](C-type lectin receptor, CLR), [[RIG-I-유사 수용체]](Retinoic acid-inducible gene-I-like receptor, RLR), [[NOD-유사 수용체]](Nucleotide oligomerization domain-like receptor, NLR), [[AIM-유사 수용체]](Absent-in-melanoma-like receptor, ALR) 등이 있다. 각각의 수용체들은 서로 다른 종류의 [[리간드]]를 인식하여 다양한 방면에서 면역계 증진 기능을 한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면역계/용어, version=101, paragraph=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