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오투잼 시리즈)] [[파일:팝스테이지1.png|width=300]] --[[http://pops.mgame.com|공식홈페이지(엠게임)]]-- - 2012년 8월 8일 서비스 종료. --[[http://pops.buddybuddy.co.kr|공식홈페이지(버디버디)]]-- - 채널링 서비스 종료. [목차] == 개요 == [[엠게임]]에서 개발한 온라인 [[리듬게임]]이자 [[오투잼 시리즈]]의 게임. [[오투잼]]의 계약 종료로 인한 빈 자리를 대신해 엠게임에서 직접 제작하였다. 2007년 2월 공개되어 여러 번의 테스트를 거친 뒤 2008년 7월 오픈 베타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오투잼과는 달리 전체적으로 3D로 만들어졌으며 아바타에는 카툰 렌더링 기법이 사용되었다.[* 이 때문에 당시 리듬게임 기준으로는 요구사양이 높은 편이었다.] === 요구사양 === * '''CPU''' 펜티엄 4 1.4GHz * '''RAM''' 512MB이상 * '''운영체제''' [[Windows 98]] * '''비디오 카드''' [[NVIDIA]] GeFORCE4 MX440 * '''기타''' Direct X 9.0c, 16Bit 지원 사운드 카드 == 플레이 방법 == [youtube(boaed5hcOOk)] 기본적인 플레이 방식은 고전 건반게임과 같이 내려오는 노트를 맞추면 끝. 게이지가 없고, 협력게임이기에 중도폭사는 없다. 기본 키 설정은 D,F,스페이스,J.K(5키) / S,D,F,스페이스,J,K,L(7키)을 사용하며 팝 모드를 발동시킬 땐 G또는 H를 누른다. 난이도는 EZ(이지) / NM(노멀) / HD(하드) / EX(익스트림) / HH(하이퍼하드), 판정은 POP, GREAT, NICE, BAD, OOPS가 존재한다. 스크롤은 항상 일정하기 때문에 곡을 바꿀 때마다 배속을 다시 맞출 필요는 없다. 단, 특정 곡에서 노트가 떨어지는 속도가 변화하는 변속은 존재. === 모드 === 게임 접속시 채널로 구분되며, 총 네가지 모드가 있다. ==== 협력 모드 ==== 난이도, 키 수, 배치 상관없이 모든 유저가 함께 즐길 수 있는 모드. '팝 모드'를 발동시켜 '행복 게이지'를 채울수록 팝스(사이버 머니)가 많이 들어오게 된다. 순위를 뽑지 않아서 부담없이 즐길 수 있는 모드--긴 개뿔 1등하면 리절트에서는 1등 전용 BGM이 나오고 꼴등하면 꼴등 전용 BGM이 나온[* 물론 승률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다. 고수들이 많으면 더 많은 보너스를 받지만[* 물론 행복 게이지를 쌓았을 때 한정.] 일부 초보자들은 순위에 연연해 고수들을 강퇴하는 안타까운 경우도 생긴다. ==== 대전 모드 ==== 팝스테이지 초기 메인 모드였으나, 협력 모드가 나오고 미션 메달 셔틀을 제외하고는 아무도 오지 않게 된 모드. 팝스테이지의 점수 시스템 상 7키 유저들이 매우 싫어하는 모드다.[* 5키와 7키의 최대 점수가 같도록 만들어졌기 때문에 노트수가 더 많고 어려운 7키 패턴의 경우 노트당 점수가 줄어든다.] ==== 클래식 협력 모드 ==== 협력 모드에서 쇼타임만 빼놓은 모드. 여전히 찬밥 신세(...)다. 여기서 미션 메달은 얻을 수 없기 때문에 음악 메달을 노리는 사람 빼고는 거의 오지 않는다. ==== 클래식 대전 모드 ==== 클래식 협력 모드와 동일하지만, 대전 개념이기 때문에 동일한 난이도밖에 고를 수 없고 키는 5키 7키 골라서 할수 있는 버그같은 모드. 팝 게이지 개념이 없으며, 순수 실력으로 승부하는데 문제는 대전 모드이면서 '''승률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 대전 모드인데 승률을 반영하지 않는다. 하지만 중간마다 쉬어가는 쇼타임이 없고 개인 성과에만 집중할 수 있는 기존 리듬게임과 플레이 스타일이 비슷했던 모드였기 때문에 많지는 않지만 리듬게임만 즐기고 싶은 소수 매니아들이 하던 모드였다. === 난이도 === * EZ(Easy)[* 발음대로 읽으면 EZ로 발음이 된다. 사실 이 표현은 [[EZ2DJ]]부터 시작된 아주 오래된 표현이다.] : 매우 쉬운 채보. 난이도가 1~2로 고정이 되어 있다. * NM(Normal) : 노멀이라고는 하지만 이 게임에서는 쉬운 채보이다. 난이도 분포는 3~5. * HD(Hard) : 중수를 위한 난이도. 난이도 분포는 6~11. 예외로 딱 한곡이 있다.[* 왕벌의 비행. 혼자 5키/7키를 불문하고 난이도 14를 찍었다.] * EX(Extreme) : 고수를 위한 난이도. 난이도 분포는 5키는 12~22, 7키는 12~23까지 있다. * HH(Hyper hard) : 최고수들을 위한 난이도. 난이도 분포는 5키는 15~28, 7키는 16~29까지 있다. === 판정 === 다섯 가지 판정이 존재한다. * POP : 정확한 타이밍에 노트를 눌렀을 때 나오는 판정. 정확도 100.00%~90.72% * GREAT : 꽤 괜찮은 타이밍에 노트를 눌렀을 때 나오는 판정. 정확도 90.30%~70.51% * NICE : 그럭저럭한 타이밍에 노트를 눌렀을 때 나오는 판정. 정확도 70.10%~25.56% * BAD : 적절하지 못한 타이밍에 노트를 눌렀을 때 나오는 판정. 정확도 25.15%~0.00% * OOPS : 노트를 놓치면 나오는 판정. 정확도 0.00% BAD판정과 OOPS판정은 콤보가 끊긴다. 시스템 상 롱노트 앞 부분에서 배드가 나오면 롱노트 이펙트가 사라져 판정이 끝난 것 처럼 보이지만 이 때 손을 놓으면 OOPS판정도 추가로 나와 치명적인 정확도 감소가 발생한다.[* 롱노트 하나에는 누를때 한개, 뗄때 한개로 총 2번의 판정이 있기 때문에 노트수도 2개로 인정된다. 단, 롱노트를 아예 누르지 않을 경우 Oops가 1개만 뜨는 버그가 있다.] 타 리듬게임보다 판정범위가 넓은 편이면서 판정 범위 내에 있는 가장 먼저 떨어진 노트를 우선적으로 판정하므로, [[배드밀림|노트 하나 밀린 상태에서는 아무리 정확하게 쳐도 계속 배드판정만 뜰 수 있다.]] ==== 판정 산출 ==== 팝스테이지는 크게 다섯 개의 판정, '''세분화하면 수백 개의 판정(!)'''으로 이루어진다. 쉽게 말하면 같은 POP 판정이라도 정확도가 다르게 나올 수 있다는 얘기. POP 판정은 총 24종류로 박자 단위가 아닌 시간 단위로 결정되며, 100.00% 이외의 판정은 1ms 간격으로 존재한다.[* 워낙에 판정 시스템이 독특한지라 2022년 기준으로는 팝스테이지와 같은 방식의 판정 시스템을 쓰는 리듬게임은 [[MUSYNC]]뿐이다. ] 팝스테이지 판정이 타 리듬게임보다는 쉽다는 소리는 하지만 그건 97% 전후까지의 얘기고 98%부터는 그냥 POP판정은 기본이고 세부판정가지고 싸움을 해야 되기 때문에 98% 이상의 판정을 따내기는 매우 어렵다. 99%는 당연히 하늘의 별 따기 수준. --물론 괴수들은 손쉽게 따낸다-- 덕분에 서비스 종료까지 100.00%의 판정을 달성한 자가 하이퍼하드는 커녕 '''이지 난이도에서도 아무도 없다.''' 2011년 4월 기준 역대 최고 판정은 99.97%. 그 밖에 팝스테이지의 노트 필드는 화면 중간부터 시작해서 타 리듬게임보다 노트가 떨어지는 속도를 늦춰야 하고, 노트가 앞으로 다가오는 것처럼 원근이 적용되어 적응이 필요하며, 롱노트를 뗄 때의 판정도 노트를 누를 때 처럼 --자비없이-- 이루어지는 것이 판정 난이도를 더 어렵게 만든다. === 팝 모드 === 팝스테이지에는 협력 모드 한정으로 '팝 모드'라는 시스템이 있다. 일정 콤보[* 곡 전체 노트수의 7%에 해당하는 콤보를 올리면 1단계, 누적 15%는 2단계, 누적 26%는 3단계까지 회복되며 이 때 노트를 놓치면 초기화가 된다.]가 누적되면 '팝 모드'가 활성화가 되어, 이것을 소모하여 발동시키면 '팝 모드'에 진입하게 된다. '팝 모드' 발동 중에는 점수 보너스와 함께 GREAT과 NICE판정이 POP으로 산출되며(리절트에서도 POP으로 표기), 이 때 정확도 계산도 POP의 최하 판정인 90.72%로 상향 보정된다. 따라서 노트가 밀집되거나 어려운 구간에서 사용하면 큰 효과를 누릴 수 있다. 팝 모드 단계는 총 3단계가 있다. * 1단계 : 점수 20% 추가 * 2단계 : 점수 100% 추가 * 3단계 : 점수 340% 추가 참고로 팝 모드가 끝나기 전 다른 유저가 다시 팝 모드를 발동시키면, 점수 배수는 누적 가산 되고 지속 시간은 회복된다. 즉 여러 사람들이 호흡을 맞추면 쇼타임 혹은 곡이 끝날 때까지[* 클래식은 쇼타임이 없으므로 곡이 끝날 때까지 계속됨.] 배수 뻥튀기가 가능해져 실제로 하이퍼하드의 경우 100만점 이상의 스코어에다가 실력이 숙련자면 리절트에는 올 팝만 있는 경이로운 광경(...)을 볼 수 있다. 게다가 높은 배수를 오래 지속시킬수록 행복 게이지와 랭크도 높아지기 때문에 많은 팝포인트도 얻을 수 있다. === 쇼 타임 === 한 곡당 두번(오투잼 이식곡 중 길이가 1분 40초 내외인 곡은 한번)의 휴식 시간이 주어지며, 캐릭터의 춤 동작을 감상할 수 있다. 하지만 현실은 채팅하라고 만든 개념. === 컬렉션 북 === 팝스테이지의 컬렉션 시스템으로 미션 메달, 레벨 메달, 음악메달, 과제 메뉴가 있다. 미션 메달과 과제는 서버 점검시마다 초기화가 된다. 미션은 곡을 시작할 때 협력/대전, 플레이 인원, 난이도 선택 조건을 모두 만족할 경우 시작되는데 이 때 메달을 얻는 조건은 정확도, 올콤보, 행복 게이지, 점수 등이 요구된다. 이러한 메달을 모으고 요구 레벨이 되면 상점에서 살 수 없는 의상 30일치를 보상으로 얻을 수 있다. 레벨 메달은 말 그대로 레벨을 올리면 주는 메달로, 이모티콘과 소량의 팝 포인트를 보상으로 주는 것 말고는 의미가 없다. 음악 메달은 곡별 패턴마다 각각 4개씩 존재하며 협력/대전 정확도메달과 올콤보메달 그리고 클래식 정확도메달과 올콤보메달이 있다. 랭킹이나 자신의 기록 표기에서는 5키와 7키를 하나로 묶고 구분이 안 되는 경우도 많지만, 음악메달에서는 5키와 7키의 기록이 완전히 따로 나누어져 있다.[* 현재 모을 수 있는 음악메달의 총 개수는 117(곡)*4*5(난이도)*2(키) = 4680개.] 메달을 모아도 보상은 따로 없지만, 음악 메달로 그동안 자신이 했던 곡들의 기록을 쉽게 확인 할 수 있다. * 정확도 동메달 : 정확도 85% 이상 * 정확도 은메달 : 정확도 90% 이상 * 정확도 금메달 : 정확도 95% 이상 * 올콤보 금메달 : 올콤보(모두 Nice 이상의 판정) * 정확도 다이아몬드 메달(히든) : 선행조건[* 난이도와 키를 바꾸지 않으면서 같은 곡을 7판 연속으로 플레이 하는 것으로, 채널 구분이 없고 도중 접속을 끊어도 이어진다. 선행조건을 한 번이라도 만족해놓으면 이후에 연속으로 플레이 하지 않아도 언제든지 해당 곡 총 4개의 다이아몬드 메달에 도전 할 수 있게 된다.] 완료, 정확도 99% 이상 * 올콤보 다이아몬드 메달(히든) : 선행조건 완료, 모두 POP 판정 과제 메뉴는 주어진 판수를 채우면 보상으로 추가 팝 포인트를 주는 개념이다. == 곡 목록 == 아래 수록곡은 서비스 종료 후 모모(현 [[오투잼컴퍼니]])에서 판권을 인수하여 모두[* 단, SQR 작곡가의 Love U Miss U와 Fly high는 제외, 해당 작곡가가 운영했던 302:SKOOL에 소속되었던 rb free의 곡도 문제없이 가져온 마당에 저 두곡이 왜 수록되지 않았는지는 불명.] 오투잼 시리즈의 수록곡이 되었다. || '''번호''' |||| '''제목''' |||| '''아티스트''' |||| '''비고''' || || 1 |||| Present |||| [[Warak]] |||| || || 2 |||| [[시간여행(팝스테이지)|시간여행]] |||| Brandy |||| [[EZ2AC TT]] 이식[* [[CV2]] 선공개, TT v2.00 정식 수록.] || || 3 |||| First love |||| 신익주[* 예명은 이그나이트.] |||| || || 4 |||| Be your love |||| 박준영 |||| || || 5 |||| [[Shining(팝스테이지)|Shining]] |||| [[Warak]] |||| [[EZ2AC FNEX]] 이식 || || 6 |||| 마법의 궁전 |||| [[Warak]] |||| || || 7 |||| White memory |||| MIYU |||| || || 8 |||| Over the top |||| rakon |||| || || 9 |||| Dance with me |||| 임근재 |||| || || 10 |||| Lonely princess |||| Ti7 |||| || || 11 |||| [[유령의 축제 2 (Sneak)]] |||| Brandy |||| [[EZ2AC FNEX]] 이식 || || 12 |||| Love Fighter |||| Brandy |||| || || 13 |||| [[Cross Time]] |||| Brandy |||| [[EZ2AC NT]], [[TAPSONIC WORLD CHAMPION|TWC]], [[EZ2ON REBOOT : R]] 이식 || || 14 |||| OEO |||| Ray |||| || || 15 |||| Do it |||| Sunny |||| || || 16 |||| 도레미 |||| Ray |||| || || 17 |||| 유혹 |||| 신익주 |||| || || 18 |||| [[Blue Moon(팝스테이지)|Blue moon]] |||| nao.paradigm[* 팝스테이지에서는 em9로 표기되어있다. 이유는 불명.] |||| [[EZ2ON REBOOT : R]] 이식 || || 19 |||| Zetz |||| Kaz |||| || || 20 |||| RUN |||| [[Warak]] |||| || || 21 |||| H2 |||| HAYATE |||| || || 22 |||| Little Star |||| Muzie |||| || || 23 |||| Gonna B alright |||| 신익주 |||| || || 24 |||| Police Attack |||| Ti7 |||| || || 25 |||| [[잘가라(O2JAM)|잘가라]] |||| TJ |||| [[EZ2AC TT]], [[EZ2ON REBOOT : R]] 이식 || || 26 |||| Kingdom of disco |||| EON |||| || || 27 |||| [[애인을 내려주세요]] |||| [[Warak]] |||| [[EZ2AC NT]], [[TAPSONIC WORLD CHAMPION|TWC]] 이식 || || 28 |||| Feel this love |||| Ti7 |||| || || 29 |||| Only U |||| 신익주 |||| || || 30 |||| 날개 |||| [[BLOODMOON]] |||| || || 31 |||| I Love Dance |||| Teddy bear |||| || || 32 |||| Yapp |||| Muzie |||| || || 33 |||| [[Super Stylin']] |||| [[Warak]] |||| [[펌프 잇 업 PRIME 2|PIU PRIME 2]], [[TAPSONIC WORLD CHAMPION|TWC]], [[TAPSONIC BOLD|BOLD]] 이식 || || 34 |||| 사랑애로(隘路) |||| Ti7 |||| || || 35 |||| Merry merry Christmas |||| 신익주 |||| || || 36 |||| Love maker x-mas |||| Ti7 |||| || || 37 |||| Visual Dream Remake |||| [[Warak]] |||| || || 38 |||| Pray U |||| White |||| || || 39 |||| 다같이 춤춰봐 |||| 신익주 |||| || || 40 |||| Sx3 (심심송) |||| Ti7 |||| || || 41 |||| Lipstick |||| [[Warak]] |||| || || 42 |||| 내리는 비가 그칠 수 있게 |||| [[Warak]] |||| || || 43 |||| Polaris |||| HiTaZ |||| || || 44 |||| 왕벌의 비행 |||| Jinny |||| 클래식 리믹스 || || 45 |||| Cross |||| [[Warak]] |||| || || 46 |||| 샤랄라 |||| MIYU |||| || || 47 |||| 마우스의 꿈 |||| [[Pory]] |||| 라이센스 리믹스[* 원곡 : [[Pory]] - Dream of Mouse.] || || 48 |||| [[비행(팝스테이지)|비행(飛行)]] |||| [[Warak]] |||| 라이센스 리믹스[* 시드 사운드 디지털 싱글 白夜 수록곡.][br][[EZ2AC FNEX]], [[TAPSONIC BOLD]] 이식 || || 49 |||| 이제부터 진검승부 |||| [[ampstyle]] |||| || || 50 |||| I love U forever |||| 박준영 |||| || || 51 |||| [[Memoriola]] |||| 신익주 |||| [[EZ2AC NT]] 이식 || || 52 |||| Lost Paradise |||| MIYU |||| || || 53 |||| 부끄부끄 |||| rb free |||| || || 54 |||| Drawing in my heart |||| HiTaZ |||| || || 55 |||| Mercury |||| [[BLOODMOON]] |||| || || 56 |||| [[Move it on (DJ HD Mix)]] |||| Brandy |||| [[EZ2AC TT]], [[EZ2ON REBOOT : R]] 이식 || || 57 |||| 월광 3악장 |||| Jinny |||| 클래식 리믹스 || || 58 |||| Supa ride |||| Teddy bear |||| || || 59 |||| Free love |||| rb free |||| 라이센스 || || 60 |||| 낯선하루 |||| [[Warak]] |||| || || 61 |||| Light breeze |||| PARABIRTH |||| || || 62 |||| 러빙유 |||| [[Pory]] |||| || || 63 |||| [[Visual Dream !!]] |||| Brandy |||| [[EZ2AC TT]], [[EZ2ON REBOOT : R]] 이식 || || 64 |||| Animate Star |||| [[Warak]] |||| || || 65 |||| 초콜렛 |||| D-Joon |||| || || 66 |||| Strawberry Lemonade |||| rb free |||| 라이센스 || || 67 |||| [[The Power of Light]] |||| [[MAX(작곡가)|MAX]] |||| [[EZ2ON REBOOT : R]] 이식 || || 68 |||| Distro X |||| Red Pulse |||| || || 69 |||| Invite from Lamian |||| Bunkcat |||| || || 70 |||| Nostalgia |||| [[Warak]] |||| || || 71 |||| 행방불명 |||| [[Warak]] |||| || || 72 |||| 꼭두각시 |||| D-Joon |||| || || 73 |||| 별의기적 |||| Bunkcat |||| || || 74 |||| 증오 |||| Red Pulse |||| || || 75 |||| 싫어 |||| MIYU |||| || || 76 |||| Blue step |||| Muzie |||| || || 77 |||| Instant world |||| [[Warak]] |||| || || 78 |||| ...ing 1.0 |||| HISOST |||| || || 79 |||| Sunny Day |||| rakon |||| || || 80 |||| Wavy |||| Red Pulse |||| || || 81 |||| Way to Dream |||| HISOST |||| || || 82 |||| Funky love |||| Kaz |||| || || 83 |||| Happy nation |||| [[Pory]] |||| || || 84 |||| Let's Go |||| Sunny |||| || || 85 |||| A Special Day |||| [[Warak]] |||| || || 86 |||| Kamilla |||| rakon |||| || || 87 |||| Blood |||| Rock |||| || || 88 |||| Girl's wing |||| Licafunk |||| || || 89 |||| Love is… |||| Ti7 |||| || || 90 |||| Welcome to Silva |||| Ti7 |||| || || 91 |||| Save your smile[* HD 5키 기준으로도 '''989'''개나 되는 엄청난 노트 수로 HH 7키는 아예 2000개를 넘는곡.] |||| tacat |||| || || 92 |||| 음악을 들려줘 |||| Ti7 |||| || || 93 |||| Journey |||| Jun.Y |||| || || 94 |||| 1 more time |||| Kaz |||| || || 95 |||| 루돌프 캐롤 |||| [[BLOODMOON]] |||| || || 96 |||| 산타클로스 되기 |||| [[Warak]] |||| || || 97 |||| ...ing 1.5 |||| HISOST |||| || || 98 |||| Skater sing sing |||| Ti7 |||| || || 99 |||| Sweet nights |||| [[Pory]] |||| || || 100 |||| Just Dance |||| Music& |||| || || 101 |||| Wish |||| D-Joon |||| || || 102 |||| Collapse |||| Caster |||| || || 103 |||| Turn it upside down |||| Red Pulse |||| || || 104 |||| Ever + More |||| [[MAX(작곡가)|MAX]] |||| || || 105 |||| So funk |||| rakon |||| || || 106 |||| Love U Miss U |||| SQR & Energy Jack[* 이 두 분과 보컬을 부른 Jewy는 Vistee 멤버이다. Jewy는 보컬, SQR은 작곡, Energy Jack은 작곡과 랩.]|||| 라이센스 리믹스[* 원곡 : Vistee - Lovin'You.] || || 107 |||| 하늬바람 높새바람 |||| [[ampstyle]] |||| || || 108 |||| Make it rock |||| Red Pulse |||| || || 109 |||| 너에게로 날다 |||| [[Pory]] |||| || || 110 |||| Fly high |||| SQR |||| 라이센스 리믹스[* 원곡 : Vistee - 달의 기억 ~Get You Free~][* 다만 제목도 그렇고 [[키로츠]]의 Fly high와도 비슷한 부분이 많다. 아무래도 키로츠의 Fly high도 Vistee의 곡을 바탕으로 만든 곡으로 보인다.] || || 111 |||| Let Me Tell |||| [[Warak]] |||| || || 112 |||| [[Move it on !!|Move it on]] |||| Brandy |||| [[EZ2AC NT]] 이식 || || 113 |||| [[Can You Feel !!|Can you feel]] |||| Brandy |||| [[EZ2ON REBOOT : R]] 이식 || || 114 |||| Un Final Feliz |||| [[Warak]] |||| || || 115 |||| [[유령의 축제]] |||| Brandy |||| [[EZ2AC TT]][* [[EZ2AC NT]]의 [[EZ2AC CV2]] 선행수록. 이후 TT에서 정식 수록], [[TAPSONIC WORLD CHAMPION|TWC]] 이식, [[EZ2ON REBOOT : R]] 이식 || || 116 |||| Tonight |||| MIYU |||| || || 117 |||| [[이루어 지지 않는 건]] |||| [[Warak]] |||| || || --- |||| 칼춤(Sabre Dance) |||| Jinny[* 트위터를 통해 확인 완료.] |||| 클래식 리믹스, '''미공개곡[* 다 만들어놨더만 저작권 문제로 등록되지 않았다고 전 관계자가 밝힘.]''' || == 이야깃거리 == 다른 리듬게임과는 달리 노트 필드가 평면이 아닌 3D로 만들어져 뒤쪽으로 비스듬히 기울어져 있고, 노트가 뒤에서 앞으로 날아오는 형식을 취하고 있는데, 이것이 기타 히어로의 인터페이스와 유사하다 하여 잠깐 논란이 있었지만 팝스테이지가 생각보다 관심이 없는 게임이라 금방 묻혔다. 다른 온라인 리듬게임들이 유저 간의 대전을 기초로 한다면, 팝스테이지는 유저들이 대전모드보다 협력모드를 더 많이 플레이하는 기이한 현상을 보여준다. 대전모드가 훨씬 먼저 나왔는데도 대전모드 채널에 가면 사람이 없다. 그도 그럴 것이 예전에는 접속시 채널 선택이 기본적으로 협력 채널에 맞춰져 있어서 유저들이 협력 채널로 몰렸던 것. 패치 이후 모든 채널을 한 번에 볼 수 있게 바뀌긴 했으나 대전모드가 찬밥 신세인 것은 여전했다. 수록곡은 팝스테이지 오리지널곡과 오투잼 이식곡이 대부분. 특히 오리지널 곡은 신익주[* 오투잼에서 TeddyBear라는 그룹으로 곡을 제공한적이 있으며, 그 때 제공한 오투잼 곡인 Supa ride와 I love dance가 팝스테이지에도 이식되었다.], 이철원, [[시드 사운드]], [[Warak]] 등 많은 아티스트들이 참여하여 높은 퀄리티를 보여주며, 오투잼에 참여했던 Brandy가 팝스테이지에 참여, Brandy가 작곡했던 예전 오투잼의 곡들을 다시 즐길 수 있다. 쇼타임에 대해서 말이 많았다. 쇼타임의 특성 때문에 작곡의 어려움이 있는데다[* 8마디x2 의 쇼타임 구간이 반드시 들어가야 하기 때문에 이에 대해 신경써야 한다.] '게임의 흐름을 끊는다'는 이유로 기존 리듬게임 유저들에게 많은 반발을 샀다. 이후 패치를 통해 쇼타임이 없는 클래식 모드를 내놓았지만, 이미 유저들은 협력 채널에 적응이 되어서 클래식 채널은 소수의 매니아층을 제외하고 별다른 관심을 받지 못했다. 유저가 소수에다가, 점점 유저 연령층이 낮아지고 있기 때문에[* '과거 성인 유저들은 거의 다 군대갔다!'라는 안타까운 소식이...] [[키보드 배틀]]이 심심하면 일어난다. 소수의 서클([[클랜]] 개념)에서 고정적인 유저들이 활동하게 됨으로써 게임 내에서건, 자유게시판에서건 각종 [[떡밥]]이 일고 있다. 실로 온라인 계의 [[테열거병]]이 아닐 수 없지....만 테열거병을 만든 [[리듬게임 갤러리]]에서의 팝스테이지에 대한 인식은 거의 제로[* 온라인 리듬게임의 몰락도 한 몫 했다.]다. 2011년 5월 쯤 들어서서 서클의 권력화는 소멸되었고 2011년 4월 30일, 공식적인 업데이트 중단 2주기가 되는 날이었고 2012년 7월 6일에 '''서비스 종료''' 공지가 떴다. 동년 8월 8일에 서비스 종료. === 서비스 종료 이후 === 곡의 판권은 [[모모(게임 제작사)|모모(現 오투잼컴퍼니)]]가 회수, 2012년 9월 18일부터 팝스테이지 곡들이 리마스터링 된 버전으로 [[오투잼 U]]에 수록되었다. 이후 사실상 [[오투잼 시리즈]]의 [[Sabin Sound Star|정사로 편입되었다.]] 그 예로 오투잼 시리즈와 [[HIGH5]]의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많은 팝스테이지 곡들이 오투잼 로고를 달고 HIGH5로 이식되었으며, 오투잼-[[EZ2AC]]-[[펌프 잇 업]]의 삼각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Super Stylin']]은 [[펌프 잇 업 PRIME 2]]에 이식되었고 하이파이브에도 이식된 [[애인을 내려주세요]], [[Memoriola]]는 [[EZ2AC TT]]에 이식되었다. 2013년 6월 23일 팝스테이지 공식카페에 [[EZ2ON]]으로 넘어간 유저가 게임 적응을 못하겠다는 신세 한탄 글이 화제가 되기도 했다. 인기곡 몇 곡만 하고 지나치게 판정만 신경쓰는 차가운 모습이 많이 보인다는 이유. 이지투온이 리듬게임 중에서도 매니악한 성향이고 라이트한 분위기였던 팝스테이지와는 괴리감이 느껴질 정도로 성향이 다르니 어쩔 수 없긴 하지만... 서비스 종료 6년만에(2018년) [[리버스 엔지니어링]]을 통해 유일한 [[프리 서버]]가 개발되었다. 클라이언트를 가지고 있었다는 게 신기할 정도(…) == 역사 == *[[2007년]] [[2월 15일]] 리듬 액션 음악 게임 ‘팝스테이지’ 첫 공개 *[[2007년]] [[2월 22일]] '팝스테이지', 22일 1차 쇼케이스 테스트 시작 (22일 ~ 24일) *[[2007년]] [[2월 24일]] '팝스테이지' 호평속에 1차 쇼케이스 끝남. *[[2007년]] [[5월 16일]] '팝스테이지' 2차 쇼케이스 돌입 (16일 ~ 20일) *[[2007년]] [[9월 19일]] 3차 쇼케이스 시작 (19일 ~ 21일) *[[2007년]] [[11월 7일]] 4차 쇼케이스 시작 (7일 ~ 11일) *[[2007년]] [[12월 6일]] '팝스테이지' 정식 홈페이지 첫 공개. *[[2007년]] [[12월 13일]] 1차 프리오픈베타 'Live Jam Party' 시작 *[[2007년]] [[12월 29일]] '팝스테이지' 공식 홈페이지 오픈. *[[2008년]] [[2월 5일]] '팝스테이지' 1차 프리오픈베타 'Live Jam Party' 종료. *[[2008년]] [[4월 4일]] UCC통한 신인가수 발굴 프로젝트 시작. *[[2008년]] [[5월 23일]] 2차 프리오픈베타 'Live Jam Party : Part 2' 시작 (5월 23일 ~ 6월 13일) *[[2008년]] [[7월 7일]] 3차(마지막) 프리오픈베타 'Final Live Jam Party' 시작 (7일 ~ 21일) *[[2008년]] [[7월 17일]] '팝스테이지' 공식홈페이지 오픈. (현재의 홈페이지) *[[2008년]] [[7월 29일]] 오픈 베타 테스트 시작 *[[2009년]] [[4월 30일]] 업데이트 및 개발 중단 *[[2012년]] [[8월 8일]] 게임서비스 종료 *[[2012년]] [[8월 22일]] 웹 사이트 종료 === [[사설서버]] === [[엠게임]]의 몸집이 점점 줄어드는 상태에서 서비스 종료가 됐고 이후 곡 판권이 [[오투잼컴퍼니|모모]]에 인수되면서 사실상 부활이 요원한 상태였다. 그렇게 잊힐 무렵 소수 인원이 서비스 종료 직전 클라이언트로 게임을 리버싱하여 2018년 8월 11일에 싱글 플레이 서버를 오픈하는데 성공, 이후 몇 번의 업데이트를 거치며 현재는 멀티 플레이를 포함한 게임 내 기능을 대부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특이사항이 있다면 시즌제로 매년 평균 2~3주 정도밖에 열지 않는데, 아무래도 컨텐츠 업데이트가 없다보니 365일 내내 열어두면 유저가 계속해서 감소할 게 뻔하여 택한 선택인 듯. --그리고 무엇보다 서버비가 원수다.-- 엄연히 '''저작권법을 위반한 불법이다.''' 그럼에도 [[엠게임]]과 [[오투잼컴퍼니|모모]]가 딱히 터치를 하지 않는 이유는 판권이나 개발사의 의지 등을 포함하여 게임의 부활 가능성이 0에 가깝기 때문인데다 금전적인 후원을 받지 않고 운영진 사비로 서버를 열어 운영하고 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오투잼]]처럼 확실한 답변[* 이 쪽은 [[오투잼컴퍼니|모모]] 대표가 '''불법인 걸 인지만 한다면''' PC 오투잼을 부활시키기 전까진 마개조 된 구동기나 사설서버 등을 즐겨도 무관하다는 입장을 밝혔다.]을 받은 것은 아니지만, [[Warak|한 작곡가]]가 찾아와 상업적인 운영이 아니라면 문제제기 할 생각이 없다는 부분에서 사실상 확인사살. 다만 [[오투잼컴퍼니|모모]]가 현재 [[밸로프]]에 인수되어 [[알투비트]]에 오투잼 곡을 넣거나 [[오투잼 - 뮤직 & 게임]]의 유통을 맡는 등 판권을 적극 활용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 향후 어떻게 될지는 다시 지켜봐야 될 것이다. 결국 밸로프가 [[O2Jam Online|오투잼 PC 버전]]을 부활시켰지만 처참한 상태를 보여주고 관리도 전혀 없는 모습을 보여주어 현 시점에서도 사설서버를 여는데는 별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 사설서버 역사 === * 2018년 8월 11일 1차 베타 진행. 싱글 플레이를 제외한 모든 기능이 동작하지 않았다. 2018년 8월 20일 종료 * 2018년 9월 21일 2차 베타 진행. 이때부터 멀티 플레이 및 기초적인 기능[* 일부는 현재도 기존 서버와 연동을 끊지 못한 탓인지 웹을 통해서만 동작한다.] 이 동작하기 시작했다. 2018년 10월 5일 종료 * 2018년 12월 23일 크리스마스 시즌 진행. 정상적인 게임이 가능하기 때문인지 이때부터 베타라는 말은 사용하지 않는다. 미러, 랜덤, 풀 랜덤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고 더미 데이터로만 남아있던 곡 칼춤(Sabre Dance)과 Mercury의 구버전 채보[* 현재 Mercury는 추가 당시 [[트릴#s-4|트릴]] 패턴으로 인해 유저들이 난이도에 불만이 많아 하향이 된 채보다.]가 추가됐다. 2019년 1월 2일 종료 * 2019년 2월 12일 겨울 시즌 진행. 서클, 메신저, 귓속말 등 여러 커뮤니티 기능들이 동작하기 시작했다. 2019년 3월 2일 종료 * 2019년 6월 30일 여름 시즌 진행, 특이사항 없이 2019년 7월 29일 종료 * 2019년 12월 31일 송년회 시즌 진행, 원래 24시간이 채 안되는 시간동안 진행할 예정이었지만 서버 문제로 인해 연장하었다. 이모티콘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고 해당 시즌 이후부터 서클 이미지를 오픈때마다 정기적으로 신청 받는다. 2020년 1월 6일 종료 * 2020년 6월 12일 데이터 센터 이전 테스트를 위한 시즌 진행, 2020년 6월 15일 종료 * 2020년 12월 24일 크리스마스 시즌 진행, 2021년 1월 2일 종료 * 2021년 4월 24일 봄 시즌 진행, 공휴일 기념으로 3일 더 연장하였다. 2021년 5월 20일 종료 * 2021년 7월 31일 여름 시즌 진행, 2021년 8월 23일 종료 * 2021년 12월 24일 크리스마스 시즌 진행, 유저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하루 더 연장하였다. 2022년 1월 3일 종료 * 2022년 4월 9일 봄 시즌 진행, 2022년 4월 25일 1시에 종료 * 2022년 8월 6일 여름 시즌 진행, 2022년 8월 22일 1시에 종료 * 2022년 12월 24일 크리스마스 시즌 진행, 2023년 1월 2일 1시에 종료 * 2023년 7월 7일 1차 여름 시즌 진행, 쥬니어네이버에 있던 미니팝스 플래시 게임들을 프리서버 홈페이지에서 할 수 있게 되었다. 2023년 7월 24일 1시에 종료 * 2023년 9월 15일 2차 여름 시즌 진행, 2023년 9월 25일 1시 10분에 종료. 이 시즌을 끝으로 시즌제 운영을 하는 대신 지정된 휴일에 여는 방식으로 전환할 예정이라고 한다. == 외부 링크 == *[[https://www.popstage.net|팝스테이지 프리서버 홈페이지]] *[[https://discord.gg/unc9HzG|팝스테이지 프리서버 디스코드]] [각주] [[분류:오투잼 시리즈]][[분류:2008년 게임]][[분류:PC 온라인 게임]][[분류:2012년 서비스 종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