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팝 팀 에픽/애니메이션)] [목차] == 개요 == [[팝 팀 에픽/애니메이션]]의 각 장면 및 [[패러디]]를 정리한 문서. 12:00 이후는 B파트이며 12:00 이전의 패러디는 A 파트,[[재방송|B 파트]]의 일부가 같으니 참고. == [[팝 팀 에픽(애니메이션 1기)|1기]] == [include(틀:스포일러)] === 1화 === * '''2:13''' 피피미가 읽고 있는 잡지는 폭주족을 대상으로 한 잡지인 '챔프 로드(チャンプロード)' 2010년 4월호. * '''2:18''' 스튜어디스가 말하는 '비프 오어 치킨?'에서 서양 속어로 비프는 '''맞짱뜨자'''라는 뜻이 있고 치킨은 '''겁쟁이'''라는 뜻이 있다. 요는 '''[[해병(스타크래프트 시리즈)|한판 붙어볼까 애송이?]]'''로도 해석할 수 있는 것. ~~비뽀어치키?~~ * '''2:34''' [[위키백과|일본어 위키백과]]의 팝 팀 에픽 문서가 모자이크된 채로 [[https://ja.wikipedia.org/w/index.php?title=%E3%83%9D%E3%83%97%E3%83%86%E3%83%94%E3%83%94%E3%83%83%E3%82%AF&oldid=63659976|등장.]] * '''2:44''' 애니에서는 포푸코가 박쥐 날개를 다는 것으로 바뀌었으나, 원작에서는 [[슈퍼 마리오 월드]]의 망토이다. * '''2:57''' [[도라에몽(애니메이션)|구 도라에몽 TV 애니]]의 타이틀 연출을 패러디. * '''3:09''' 고전 러브 코메디 애니에서 클리셰급으로 흔히 나오던 "지각해서 식빵물고 달리다가 운명의 상대와 부딫히기" * '''3:21''' [[너의 이름은.]]의 포스터 구도를 패러디했다. 배경음악도 너의 이름은.의 OST [[前前前世]]의 도입부와 흡사하다. 아예 확인사살로 피피미가 "안타, 나와(너, 이름은)?"이라고 묻는다. * '''3:40''' 포푸코의 포즈 및 대사는 일본의 코미디언 그룹 타카 앤드 토시(タカアンドトシ)의 유행어에서 따온 것. * '''3:59''' 포푸코네 집 앞 골목에 있는 종 달린 아치는 일본 게임 [[크로노 트리거]]의 리네 광장 천년 축제를 패러디한 것. 펜던트는 [[마를(크로노 트리거)]]의 펜던트를 패러디. * '''4:07''' 피피미의 '아야나의필링!(いった私のフィーリン!)'이라는 대사는 [[도키메키 메모리얼]]의 [[치트버그]] 동영상[* 일부러 버그를 일으켜 해당 상황을 감상하는 영상. 원본 영상은 제작자인 히텟만(ヒテッマン)이 자신의 작품을 전부 삭제하고 잠적한 바람에 남아 있지 않다.]에서 유래했다. * '''4:10''' [[니세코이]] * '''4:29''' 원래 게임에서 팬던트를 줄지 안 줄지 고를 수 있는데 대놓고 주려다 안 주니까 크로노 트리거에 등장하는 마법 '샤이닝'을 쓰는 패러디. * '''4:37''' [[푸른 유성 SPT 레이즈너]] 1화의 패러디.[* 워낙 오래된 작품이라 그런지 일본에서도 몰랐다는 반응이 꽤 되는 편. [[https://twitter.com/595ABA/status/950188295400468480|원본 장면은 여기서 볼 수 있다.]]] * '''5:13''' [[케모노 프렌즈(애니메이션 1기)|케모노 프렌즈]] 1회의 배경과 비슷하다. 피피미에게는 [[서벌(케모노 프렌즈)|서벌]] 귀도 달려있다. 참고로 피피미의 달리기 자세는 [[자이언트 로보 THE ANIMATION]]에 나오는 [[십걸집]]의 자세이며, 처음에 포푸코가 일어나는 장면은 [[보노보노]]의 [[너부리]]네를 패러디한 것이다. * '''5:23''' [[바람의 검심 -메이지 검객 낭만기-]]에서 [[츠키오카 츠난]]이 [[사가라 사노스케]]에게 작렬탄을 보여주는 장면의 패러디. 포푸코가 작렬탄을 쥔 뒤 취하는 자세 옆에는 사가라 사노스케의 트레이드 마크인 '악(惡)'이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다.[* 여담으로 바람의 검심의 작가 [[와츠키 노부히로]]가 [[와츠키 노부히로#s-3.4|저지른 일]] 때문에 연재는 물론이고 관련 행사도 싸그리 취소된 판국이라 이 패러디도 삭제되지 않을까 했지만 그런 거 없었다. ~~역시 쓰레기 애니(칭찬)~~] 원작 만화에서는 포푸코가 작렬탄을 집는 것으로 끝났으나, 여기서는 뒤따라 폭발 연출이 붙었기에 마치 포푸코가 자폭하는 것처럼 보인다. * '''5:33''' 피피미의 '스키프리?'라는 대사는 [[프리파라]]의 등장인물 [[미나미 미레이]]의 입버릇인 '~프리!'를 패러디한 것이다. 코너 마지막에 포푸코가 취하는 포즈 역시 프리파라의 등장인물 [[마나카 라라]]의 '카시코마(알겠슘돠)' 포즈에서 유래. * '''5:56''' 포푸코가 우산을 집는 부분부터 피피미가 대사를 읊는 장면까지 전부 [[Thunderbolt Fantasy 동리검유기]] 1화에서 나온 시추에이션. 이때의 구도는 [[이웃집 토토로]]의 유명한 버스 정류장 장면이다.[* 공교롭게도 B파트 한정으로 피피미 성우와의 인연이 완성되는데, 피피미를 맡은 [[히다카 노리코]]는 토토로에서 사쓰키 역을 맡았다.] * '''6:17''' [[포켓몬스터 레드·그린]]의 패러디.[* 팝 팀 에픽에 단역으로 출연하고 있는 야노 마사아키 씨가 박사 성우를 맡았다.[[https://twitter.com/bluemasa_peace/status/949678491779284992|#]]][* 이후 역으로 [[포켓몬스터 썬&문(애니메이션)|포켓몬스터 썬&문]]에서도 [[https://www.animenewsnetwork.com/interest/2018-06-09/pop-team-epic-goes-full-circle-in-latest-pokemon-episode/.132542|포푸코가 화가 났을 때의 표정을 써먹었다]].] * '''6:23''' 고전 RPG '산사라 나가'의 패러디. * '''6:29''' [[베르세르크(만화)]]의 [[베헤리트]]를 패러디했다. * '''6:32''' [[엘더스크롤 5: 스카이림]]의 시작 장면을 그대로 가져왔다.[* 이후 이 장면을 그대로 재현하는 [[https://twitter.com/HIGEYOSI360/status/953435501150715904|모드]]가 만들어졌다. [[https://www.youtube.com/watch?v=3lgnnuk1CWY|모드를 적용한 영상.]] ] * '''6:36''' 피피미가 하고 있는 것은 '리셋 마라톤', 줄여서 '[[리세마라]]'. 12년도 [[2ch]]에서 사용하기 시작. game8에서 사용하여 세간에 퍼지게 된 언어. 뜻은 첫 설치 시 무료로 제공되는 레어가챠에서 좋은 카드를 얻기 위해 게임의 설치-가챠-언인스톨을 반복하는 것. * '''6:47''' 과학자 2명의 모습은 [[초시공요새 마크로스 사랑 기억하고 있습니까]] 판 [[브리타이 크리다닉]]과 [[엑세돌 폴모]]를, 피피미의 난입 장면은 영화 [[이퀼리브리엄]]의 [[건 카타]]를, 타이틀과 탈출 장면 BGM은 영화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의 [[https://www.youtube.com/watch?v=NiG_o6nBp6I|Come And Get Your Love]]란 곡을 인용한 것이다. * '''7:16''' [[신세기 에반게리온]]의 [[제레]] 등장 장면의 패러디. 위원회 멤버의 색깔은 이 작품을 제작한 [[킹 레코드]]의 빨강, 파랑, 녹색이다. 그 중 한 명이 손에 돌리고 있는 것은 2017년에 유행한 장난감 '[[피젯 토이#s-3|피젯 스피너]]'이다. * '''7:48''' [[니코니코 동화]]에서 다른 유저가 플레이한 [[슈퍼 마리오 월드]]의 [[타임 어택|RTA]] 동영상을 마치 자신이 플레이한 것처럼 생방송에서 도용한 한 유저가, 영상이 끝날 즘에 뜬 게임 내 자막 'THE END'와 해당 영상에 써있던 자막 "'''마지막까지 시청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를 보고 "'''[[https://dic.nicovideo.jp/a/%E3%82%B6%E3%83%BB%E3%82%A8%E3%83%B3%E3%83%89%E3%81%A3%E3%81%A6%E3%81%AD|더 엔드네요(ザ・エンドってね)]]'''"라고 발언하며 급하게 방송을 끈 것을 패러디. ''''디''' 엔드'가 아니라 ''''더''' 엔드'다. 잘 들어보면 해당 영상의 클릭 소리 두 번도 재현되어있다. [[https://www.nicovideo.jp/watch/sm17337668|해당 영상]] * '''8:05''' 하마의 눈과 눈썹이 프레임마다 달라지는데 각각 [[크리링]], [[초사이어인]]1 [[손오공(드래곤볼)|손오공]]이다.[* 원작에서는 평범한 부쿠부 그림체였다.] * '''9:00''' 의도적으로 얼버무렸으나 억양과 손에 든 맥주로 보아 [[아사히 맥주#s-2.1|아사히 슈퍼 드라이]]맥주 광고에 나온 멘트 [[https://youtu.be/DBKJM-llB1c|아사히↓슈퍼↑드롸아아아아이↓(アサヒィ↓スゥパァ↑ドゥルァァァァイ↓)]]를 패러디.[* 애니판에서 나온 맥주의 상표는 ''''마사시''' 슈퍼 드라이'였지만 원작에선 좀 더 직설적인 '에사히 슈퍼 드라이'였다.] 우리나라에서도 TV에 광고가 나올 때 이 부분은 그대로 따 왔기 때문에 서브컬쳐 계를 잘 몰라도 이 패러디는 알아듣는 사람이 꽤 있다. * '''9:54''' [[파리 신드롬]]. * '''예고''' 2회(?)의 제목인 '헬프! 소소구는 아이돌!(ヘルプ!そそぐはアイドル!)'은 [[비틀즈]]의 1965년 앨범인 [[Help!]]의 일본어 제목 '헬프! 4명은 아이돌!'을 비튼 것. === 2화 === '''오프닝''' 인트로 부분에 나오는 '하라마스코이(ハラマスコイ)'라는 가사는 팝 팀 에픽 원작에서 포푸코가 췄던 '에이사이하라마스코이(エイサイハラマスコイ)' 춤에서 유래한 것. 이 춤은 2015년 11월에 니코니코 동화에서 영상화 되면서 사람들에게 알려졌다. 즉 셀프 패러디.[* 페이크 오프닝에서 페이크 히로인 중 한 명이 거울을 보며 연습하던 춤이 바로 이것이다.] '''타이틀''' [[초차원게임 넵튠]]의 패러디.[* 이차원→초차원, 유희(遊戱)→게임. 뱀부(ヴァンヴー)는 타케쇼보의 타케(竹)를 가리킨다.] '''2:35''' '1화에서 모든 게 끝장난~' 부분은 [[SHIROBAKO]]의 [[SHIROBAKO/등장인물#s-2.3|혼다 유타카]]의 입버릇 '이젠 다 끝났어!(万策尽きたー!)'에서 유래했다. '''2:43''' [[섀도우버스]]의 [[네크로맨서(섀도우버스)#s-2.1|루나]]를 닮은 캐릭터가 등장한다. '''2:53''' 마스코트 캐릭터의 대사는 [[유희왕]] 시리즈에 등장하는 카드 [[저주받은 하인]]의 [[https://twitter.com/waightthinksso|트위터 봇 계정]]이 한결같이 '와이트(저주받은 하인의 원래 이름)도 그렇게 생각합니다!'라고 이야기하는 것을 패러디한 것. 이 패러디는 [[케모노 프렌즈(애니메이션 1기)|케모노 프렌즈 애니메이션]] 패러디인 [[http://www.nicovideo.jp/watch/sm31854709|재규어맨]] MAD에서 유명해졌다.[br] '''3:07''' [[기무라 타쿠야]]가 드라마 [[러브 제너레이션]]에서 사용한 대사인 '잠깐 기다려(ちょ、待てよ!!)'를 용사와 마법사가 흉내낸다.[* 애니 플러스에서 리믹스판 방영때는 [[박신양]]이 [[파리의 연인]]에서 사용한 대사인 "애기야, 가자"로 의역.] B파트에서는 용사는 당나귀 울음소리를, [[101번째 프로포즈]]에서 타츠로가 카오루에게 외치는 대사 ‘나는 죽지 않습니다!( 僕は死にません!)를 마법사가 흉내낸다 '''4:18''' '눈치들 채셨는가(おわかりいただけただろうか)'는 일본의 유명 호러 비디오 시리즈 '[[정말로 있었다! 저주의 비디오]](ほんとにあった!呪いのビデオ)' 속 유명 대사를 그대로 가져온 것. '''4:35''' [[제4차 슈퍼로봇대전]] 중 엘가임의 세이버 연출을 패러디했다. '''4:40''' 피피미의 대사는 팝 팀 에픽 연재 당시 3만 리트윗을 넘을 정도로 화제가 되었던 '내가 좋아하는 애니를 못 보게 된 이유(私が大好きなアニメを見れなくなった理由)'의 대사 일부를 그대로 인용한 것이다. 완전판 대사는 '한 명이라도 많은 사람들이 알아줬으면 좋겠다. 비판은 아무것도 낳지 않는다. 오히려 팬들에게 있어 소중한 추억을 부순다는 사실을'.[[https://matome.naver.jp/odai/2145688642014147101|정리 사이트]][* 참고로 이 작품의 작가는 이후 '내 만화가 순식간에 100만명에게 읽힌 이유'라는 자전적 성격의 만화를 '''유료'''로 공개하여 다른 의미의 화제를 불러일으켰다.][* 애니메이션에서는 도중에 에러가 뜨지만, 원작 팝 팀 에픽에서는 위 대사를 전부 말했으며 만화에 있던 장면까지 따라 그렸다.] '''4:45''' [[메탈기어 솔리드]]의 [[사이코 맨티스]]전에서 나온 블랙아웃 기믹을 패러디한 것. '''4:46''' 1996년에 발매된 슈퍼패미컴용 게임인 [[별의 커비 슈퍼 디럭스]]를 패러디한 것. 이 게임은 세이브 데이터가 잘 날아가는 것으로 악명이 높았다. '''8:09''' [[NHK 교육 텔레비전]]에서 방영하는 '0655'라는 프로그램의 '타나쿠지(たなくじ)' 코너를 그대로 [[https://www.youtube.com/watch?v=aKrJrPXWCg4|패러디.]] '''10:03''' 포푸코가 부르~~다가 옆에서 코러스를 넣는 여학생의 멱살을 잡~~는 노래는 [[https://youtu.be/w_lCi8U49mY|Itsy Bitsy Spider]]라는 영국 동요를 원곡으로 하는 일본의 동요 [[https://youtu.be/uWON6auskAw|조용한 호숫가(静かな湖畔)]]다. 작중에서 피피미가 언급했듯 이 곡은 [[https://www.youtube.com/watch?v=xF20YdcIoU4|돌림 노래]]로 불리기도 한다.[* 영어 더빙판에서는 음계가 비슷한[[https://en.wikipedia.org/wiki/Little_Bunny_Foo_Foo|Little Bunny Foo Foo]]라고 불렀다.] '''15:12''' 일본 드라마 [[101번째 프로포즈]]의 명대사인 '전 안 죽습니다!(僕は死にません!)'를 마법사가 따라한다. [br][br] '''8:09에 나온 [[오미쿠지]]의 내용 순서[* 패러디가 있는 내용에 대한 설명은 각주 참조.]''' * 흉(凶) : 와비이시(詫び石)[* [[퍼즐 앤 드래곤]]에서 서버 장애 등으로 서비스가 원활하지 않을 때 주는 마법석을 지칭하는 말]가 너무 적다. * 대흉(大凶) : [[타케쇼보]] 사원에게 보너스 * 겨울 애니들 사이에서 한바탕 날뛰기 참 힘드네. [* 冬アニメの中大立ち回りって奴は疲れるねぇ : 1982년 방영된 TVA [[우주해적 코브라]] 10화 예고를 패러디. 참고로 이어지는 대사 중에 [[도검난무-ONLINE-|도검난무]], [[오소마츠 상]], [[카드캡터 사쿠라]] 등의 패러디도 등장한다.] 상대방이 도검남자의 형이라는 건 불필요하다고. 하지만, 뭐, 나도 포푸코, 어떻게든 하지. 그런데, 기대하고 있는 6인 형제의 지도의 비밀이라는 거 말야, 컴퓨터에 인풋시켜 봐도 화면에는 아무것도 없어. 어떻게 된거야 이거~? 게다가 키라라 길드의 선대에 돈파치 공격을 하고 말야, 큰일이야! 다음 화, '사쿠라 괴수가 아니라고!' 또 만나요. * 대길(大吉) : 이세계에 환생하다. * 가슴에 넋이 나가 오른쪽의 포푸코를 눈치채지 못한다. [* おっぱいに夢中で右のポプ子に気が付かない : 일본의 유머 사이트 [[보케테]]에 올라온 [[http://livedoor.blogimg.jp/ichigobu/imgs/d/a/da2ba7b2.png|미녀와 고릴라 사진]]을 패러디.] * 대흉(大凶) : 손톱을 너무 깊게 잘라 버렸다. * 팝 팀 에픽 만화책을 살 권리 [* ポプテピピックコミックスを買う権利 : 코에이의 게임 [[오푸나]]가 폭망한 것을 빗대는 인터넷 밈 [[야루오#s-3.5|'상으로 오푸나를 살 권리를 주지']]를 패러디.] * 흉(凶) : 해석 차이로 지뢰를 밟다. [* 解釈違いで地雷を踏む : 일본의 [[부녀자]] 용어. 상대가 싫어하는 커플링을 자신이 실수로 이야기했을 때 사용하는 표현.] * 부당판결 * 흉(凶) : 너희 중 누군가 한 명이 죽을 거야, 이제 곧. [* あなたたちのうち、誰か一人死ぬわよ、もうすぐ : 크로노 트리거 제 18장 [[http://livedoor.blogimg.jp/ichigobu/imgs/f/8/f89a1522.jpg|대사 중.]]] * 고양이 사진 * 흉(凶) : 추첨으로 1명'''만''' 대길! 팔로우 & RT '''만''' 부탁드립니다! [* [[트위터]]에서 별로 중요한 건도 아니면서 팔로우와 RT(리트윗) 을 구걸하는 내용] * 중길(中吉) : 고양이가 귀엽다. * 너를 보고 있다. [* お前を見ている : [[엘더스크롤 5: 스카이림|스카이림]]에 등장하는 [[다크 브라더후드]]의 공식 마크를 패러디.] * 말길(末吉) : 검은색 고급차를 들이받아 버린다. [* 黒塗りの高級車に追突してしまう: 일본의 게이 포르노인 [[한여름 밤의 음몽]] 중 제 1장 줄거리를 패러디.] * 대흉(大凶) : 노땅 여장 남자에게 휘둘리다. * 흉(凶) : 개가 도망치다. * 대흉(大凶) : 엄청 귀여운 아이돌 애니메이션에 얽힌 줄 알았더니 쓰레기 애니의 길닦이로 쓰였다. [* めちゃ可愛いアイドルアニメに関われたと思ったらクソアニメの前座にされた : 팝 팀 에픽 1화의 아방을 장식했던 별색 걸드롭을 가리키는 것.] * 승소 * 흉(凶) : 캐스팅에 돈을 너무 많이 써서 적자가 되다. [* 매 회 A/B파트 단위로 유명 성우만 쓰는 킹 레코드를 셀프디스] * 길(吉) : 인터넷에서 너무 까여 아무런 감정도 느끼지 못하게 되다. * 라멘 사진 * 흉(凶) : 최초로 단행본을 제작하게 되었을 때 "모처럼이니 기념으로 단행본이라도 만들어 볼까" 라는 소리를 들었다. * 팝 팀 에픽 블루레이를 살 권리 * 대흉(大凶) : 대기업이 주최한 크리스마스 파티에서 별거 중인 아내와 재회하지만, 갑자기 난입한 테러리스트로 인해 아내를 포함한 파티의 참석자 전원이 인질이 되어, 테러리스트를 상대로 게릴라 전술로 대항하는 상황이 되어버렸다. [* 大企業主催のクリスマスパーティーで別居中の妻と再会するも、突如乱入してきたテロリストによって妻をはじめパーティーの出席者全員が人質となり、たった一人、テロリストを相手にゲリラ戦術で立ち向かう羽目となる。 : 1988년 영화 [[다이 하드]]의 줄거리. 팝 팀 에픽 BD/DVD 패키지 일러스트도 여기서 따왔다.] * 대길(大吉) : 나나치가 귀엽다. [* ナナチが可愛い : 원작 코믹스와 같은 연재지인 망가라이프 WIN의 만화인 [[메이드 인 어비스]]의 인기 캐릭터 [[나나치]]를 가리키는 것. 밑에 나나치가 그려져있다. 참고로 부쿠부는 메인어 애니메이션 방영 당시 포푸코/피피미 콤비가 '팝팀에픽 애니메이션의 흥행을 위해서' 나나치를 납치(...)하려는 상황의 엔드카드를 그릴 정도로 나나치를 좋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재방송 리믹스판에서는 [[메이드 인 어비스: 열일의 황금향|2기 결정]]으로 바뀌어 있다.] * 길(吉) : 이 만화가 대단해! 2019[* 리믹스판은 2022] 수상. * [[타케쇼보]] 본사의 사진. 재방송판에서는 현실을 반영하여 '''이전했습니다'''라고 표시되어 있다. * 말길(末吉) : 포푸코가 마시는 커피는 쓰다... [* ポプ子の飲むコーヒーは苦い : TVA [[장갑기병 보톰즈]]의 [[장갑기병 보톰즈/예고편|제 2화 예고편]]에 나온 '[[키리코 큐비|키리코]]가 마시는 [[우도]]의 커피는 쓰다'라는 대사를 패러디.] * 모두가 다르고 모두가 쓰레기(みんなちがってみんなクソ)[* 일본의 동요시인 가네코 미스즈의 '나와 작은 새와 방울과' 중 한 구절을 패러디. 원문은 '모두가 다르고 모두가 좋다'이다.~~뜻이 정반대~~] * 길(吉) : 럭키 아이템 - 팝 팀 에픽 블루레이[* 리믹스판은 팝 팀 에픽 최신간] * 1회 휴식 * 대길(大吉) : 물을 마시니까 맛있었다! [* お水飲んだらおいしかった! : 일본의 코미디언 프로젝트 그룹 '핫파타이'의 2001년 노래 [[YATTA!]] 가사 중.] * 체포장 (위의 사이클로 반복 [* 마지막 사이클은 A파트 2회차 '1회 휴식' 까지 / B파트 3회차 '검은색 고급차~' 까지]) === 3화 === '''2:26''' 전반적인 코너 구성이 [[일본방송협회|NHK]]의 [[http://www.nhk.or.jp/professional/|'프로페셔널~직업의 격식(プロフェッショナル 仕事の流儀)']]과 판박이. 타이틀은 [[후지 테레비]]의 [[http://www.fujitv.co.jp/thenonfx/|'더 논픽션(ザ・ノンフィクション)']]을 패러디했으며, 거물 내레이터 [[히로나카 마사시]]가 내레이션을 맡았다. '''2:55''' 피피미 주변에 [[프리파라]] 주역 3인방, [[오소마츠 상]], [[노기자카46]] 등이 그려진 낙서가 있다. 왼쪽 위에는 TAKESHOBO라는 딱지도 붙어있다. '''3:04''' 포푸코의 옷은 [[카고 아이]]의 미니모니 시절을 패러디한 것. 담배 피우면서 아이돌 활동을 하는 것 역시 [[모닝구 무스메]] 시절 카고 아이의 흡연 소동을 패러디한 것이다. 그룹명은 [[아무로 나미에#s-4.2|아무로 나미에 with 슈퍼몽키즈]]의 패러디. '''3:18''' 포푸코의 동료 아이돌 중 트윈테일 캐릭터는 전 AKB48 멤버인 [[사토 아미나]]가, 단발머리 캐릭터는 전 SKE48 멤버인 [[하타 사와코]]가 성우를 맡았다. 캐릭터 생김새 역시 담당 성우의 아이돌 시절 모습과 비슷하게 그려졌다. '''4:05''' [[NEW GAME!]]의 주인공 [[스즈카제 아오바]]의 명대사 '[[간바루조이!|今日も一日がんばるぞい!(오늘 하루도 힘내자오!)]]'를 포푸코가 따라한다. 참고로 포푸코는 원작에서 틈만 나면 이 대사를 '''자기가 먼저 한 유행어'''로 만들려고 하고 있다(...).[* 이걸 본 뉴게임 원작자의 [[https://twitter.com/tokutaro/status/954746714828587008|소감.]] ~~그리고 팬들의 무자비한 '화났어?' 폭탄~~] '''4:30''' 포푸코의 의상은 [[AKB48]], [[모모이로 클로버 Z|모모이로 클로버]], [[노기자카46]], [[캬리 파뮤파뮤]]가 실제 입었던 무대 의상을 패러디한 것. 의상 순서도 실제 가수들이 유행한 연도 순으로 배치되어 있다. '''4:33''' 포푸코가 팬의 머리를 맥주병으로 가격하는 장면은 일본 스모 선수 [[하루마후지 고헤이]]가 일으킨 후배 폭행 사건[[http://www.newsis.com/view/?id=NISX20171115_0000149009&cid=10101|#]]을 패러디한 것. B파트에서는 뜬금없이 존댓말로 대사를 하는데, [[프리저|해당 성우가 이전에 맡았던 캐릭터]]의 패러디다. '''5:56''' 피피미가 [[베가(캡콤)|베가]]의 옷을 입고 있다. 사실 생각해보면 [[와카모토 노리오|B파트의 복선]]이었다.(...). 또한 폐허속의 옥좌에 홀로 앉은 지배자 기믹은 [[AKIRA|아키라]]의 패러디. '''6:35''' 수건을 던져달라는 대사는 [[내일의 죠]]를 패러디한 것. 전체적인 화면 구성은 [[록맨 X]]의 [[시그마(록맨 X 시리즈)|시그마 스테이지]]의 [[바바(록맨 X 시리즈)|바바 이벤트]]를 그대로 따라했다. '''6:38''' 대사 중에 '레게 팬'이 언급되는 이유는 레게 라이브 장에서 수건을 응원도구처럼 사용하기 때문. 그리고 일본서도 잘 사용되는 편은 아니지만 '레트로 게임'을 줄여서 '레게'라 말하기도 한다. '''6:40''' 포푸코의 위아래에는 [[울트라 경비대]] 코스튬의 [[초형귀|아돈과 삼손]]이, 앞에는 [[R-TYPE 시리즈]]의 [[포스(알타입)|포스]]가 배치되어 있다. 스테이지 구성은 [[판타지 존]]의 패러디. '''6:41''' 판타지 존의 주역기 '오파오파', 알타입의 [[R-9A 계통#s-2|R-9]]와 [[다라이어스]]의 [[실버 호크]]를 합친 듯한 기체, [[제비우스]]의 [[제비우스#s-3.1|솔 발루]]와 [[그라디우스]]의 [[빅 바이퍼]]를 합친 듯한 기체 등이 적기로 등장한다. 갑자기 등장해서 포푸코를 격추시키는 피피미는 [[마계촌]]의 [[레드 아리마]]를 패러디한 것. 게임 화면 오른쪽 위에 적혀있는 트위터 주소는 [[https://twitter.com/popko_mandrake|실재하는 계정이다.]] '''6:49''' 영화 [[코만도(영화)|코만도]]에서 [[코만도(영화)/일본어 더빙|쿡이 캐딜락 대리점에 들어가 영업사원 포레스터와 대화를 나누는 장면]]을 패러디했다.[* 대사는 다르고 아쉽게도 차로 마지막에 치어버리지도 않는다.] '''7:28''' 영화 [[007 시리즈]] 중 [[황금총을 가진 사나이]]에 등장하는 메인 악역 '프란시스코 스카라망가'의 황금총을 패러디했다. '''8:42''' [[레서판다]]가 [[감바의 모험]]에 등장하는 [[노로이(감바의 모험)|노로이]]로 변신한다. 원작에서는 형태는 [[베이맥스]]인데 머리에 [[건담(기동전사 건담)|연방의 하얀 악마]]의 얼굴 모양을 덧씌운 로봇이었다. ~~둘 다 하얗다~~ 타케쇼보 쪽 블로그에서는 이 로봇에 "베이맥[[쿠소]]"라는 이름을 붙였다. '''10:17''' '패러디가 너무 많은데 가급적 오리지널 요소로 승부해주세요'라는 팬의 지적에 대해 [[마나카 라라]]의 '카시코마(알겠슘돠)' 포즈로 답변한다.[* 팝 팀 에픽 TVA 곳곳에서 프리파라의 패러디가 다수 등장하는데, 이는 작가인 부쿠부가 [[https://pbs.twimg.com/media/DT_ynsnV4AAF83B.jpg|프리파라 애니의 광팬]]인 것과 무관하지 않다는 평가이다. 링크의 사진을 보면 부쿠부 혼자 프리파라 애니 최신화에 17만 포인트 가까운 공헌도를 쌓은 것을 알 수 있는데, 니코니코 동화의 공헌도는 광고에 투입된 니코니코 포인트, 광고 표시 회수, 광고 클릭 회수를 합한 수치이며, 니코니코 포인트는 1포인트 당 1엔에 구입이 가능하다. 즉 광고 표시 회수와 클릭 회수를 감안하더라도 한화로 약 '''150만원''' 정도를 프리파라 최신화 광고에 쏟아부었다는 소리(...).][* 원작에선 '만화에 너무 복붙이 많으니 다른 만화의 정성을 보고 배우라'는 지적을 듣고 포푸코가 '마음을 울리는 지적'이라며 울기 시작하고 "그 지적, 꼭 가슴에 새기겠습니다!!"라며 우는 포푸코 그림을 복붙하며 받아치는 내용이었다.] '''10:27''' [[드래곤볼]]의 [[프리저]]가 나메크성을 폭파시키면서 했던 30분 드립이 나온다. 포푸코의 B파트 성우도 프리저역의 [[나카오 류세이]]. === 4화 === '''0:16''' 초반에 나온 [[즉신불]]은 산 채로 무덤에 들어가서 [[미라]]가 되는 수행법을 뜻한다. 이후 옆에 있던 아저씨가 그걸 했으면 왜 살아있는 거냐고 태클을 걸자 썰렁하다('''サム'''イ)며 앞에 '''サム'''가 들어간 글자를 나열하며 [[다자레]]를 하는데, 썸씽 엘스('''サム'''シングエルス)는 90년대 일본에서 인기를 끈 밴드 Something ELse를, [[삼겹살]]('''サム'''ギョプサル)은 말 그대로 삼겹살을, 섬턴 돌리기('''サム'''ターン回し)는 공구를 이용해 강제로 자물쇠를 열고 남의 집에 침입하는 범죄행위를,[* 현관문에 달려있는 수동 개폐장치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713714&cid=42318&categoryId=42318|섬턴]]이라고 부른다.] 사무하라 신사('''サム'''ハラ神社)는 오사카에 실재하는 [[신사]]를 가리키는 말이다.[* 영어 더빙판에서는 즉신불을 "Fasting untill you're dead(죽을 때 까지 금식)" 로 번역하였고, サムイ를 "'''Un'''cool(멋없다)"로, 뒤에 이어지는 대사를 "He's '''un'''cool! He's '''un'''couth! He's '''un'''sophisticated! He's '''un'''challenging! He's totally '''un'''pleasant!(저 사람 멋없어! 저 사람 불편해! 저 사람 무식해! 저 사람 재미없어! 저 사람 완전 불쾌해!)" 라고 앞에 접두사 Un이 들어간 부정적인 형용사를 나열하는 것으로 번역해서 단순한 말장난의 나열이었던 원판과 다르게 태클 건 아저씨에 대한 직접적인 비난으로 바꿨다.][* 단행본 정발판에서는 "아재 노잼[[(웃음)]]"(포푸코), "썰렁해~", "[[설렁탕을 사왔는데 왜 먹지를 못해|썰렁탕을 사 와서 먹지도 못해~]]"(피피미)로 패러디.] '''2:47''' 해설자들의 이름(J 카비, 존 K)은 일본의 유명 해설자인 [[존 카비라]]와 [[숀 K]]를 패러디한 것. 두 해설자의 생김새가 같기 때문에 [[카비라 지에이]](川平慈英)&존 카비라 형제를 패러디한 것일 수도 있다.[* 카비라 지에이도 스포츠 해설자로 활약 중.] '''2:53''' 영화 [[쿨 러닝]]의 패러디.[* B 파티 포푸코 성우인 겐다 텟쇼는 일본판 쿨 러닝에서 어빙 어브 블리처를 더빙했다.] '''3:46''' [[해나-바베라]]의 애니메이션 '[[웨키 레이스]] (Wacky Races)'[* 1968~69년도에 방영된 [[미국 애니]]. 이상한 컨셉의 레이서들이 경주를 펼치는 것이 주 내용. 2017년에 새로운 작화로 [[리부트]] 되었다.][* ~~팝팀에픽이라면 뭐가 나와도 이상하지 않지만~~ 뜬금없이 고전 미국 애니가 나온 이유는 [[http://dic.nicovideo.jp/t/a/チキチキマシン猛レース|이 시리즈가 일본에서 엄청난 인기를 끌었기 때문]]. [[타임보칸]]은 이 작품을 베끼다시피 한 애니다.]에 등장하는 [[웨키 레이스#s-3.1|Dick Dastardly와 Muttley]][* 웨키 레이스의 주인공격인 두 악당 콤비. [[와일 E. 코요테]]처럼 [[https://youtu.be/SUQg07Jf9XM?t=4|여러 함정들로 레이스를 방해하려 들지만 이런 종류의 만화가 그렇듯 오히려 자기가 당하게 되고, 그 상황을 지켜보던 Muttley가 특유의 웃음 소리로 실실 쪼개는 게 주 패턴]]이다.]를 패러디한 것. '''4:10''' [[범인#s-1.1]](...). 범인들과 펭귄이 충돌사고를 일으키는 장면은 [[YAIBA]]의 [[http://livedoor.blogimg.jp/ichigobu/imgs/5/4/5429d976.jpg|패러디이다.]][* YAIBA의 저 에피소드 자체가 웨키 레이스의 패러디이다. 즉 이중 패러디.] B파트의 피피미 성우가 초대 [[모리 코고로]] 성우라는 걸 감안하면 은근히 노린 장면.[* 마침 이 에피소드 피피미 연기투도 모리 코고로와 같이 잡았다.] 그리고 두 작품 모두 [[아오야마 고쇼]]의 작품. '''4:36''' [[이니셜D]]의 [[나카자토 타케시]]와 그의 애마 [[닛산 스카이라인 GT-R#s-2.3|닛산 스카이라인 R32 GT-R]]이 등장한다. 'GT-R의 R은 무패신화의 R이다!' 역시 작중에서 나카자토 타케시가 한 대사이며, GT-R이 등장할 때 [[이니셜D/수록곡|이니셜D 애니메이션판 OST]]와 흡사한 [[유로비트]]풍 배경음악이 나온다. '''4:49''' 피피미가 [[P-3|P-3C]] 초계기로 변신하여 등장한다.[* [[고로아와세]]로 3을 '미'라고 읽을수 있기에 P(ipi)-3(미)C(oach)를 뜻하는 개그라는 [[https://youtu.be/IjqYS_R0AHI?t=120|해석도 있다]].] 이때 피피미를 해설하는 장면은 BS아사히의 [[http://www.bs-asahi.co.jp/cgtv/|카 그래픽 TV]]를 패러디했다. B파트의 피피미 성우 [[카미야 아키라]]는 초대 카그래픽 TV의 나레이터. '''5:09''' 슈퍼 패미컴용 게임 [[에프제로|F-ZERO]]에서 부스터가 생길 때 나는 음성을 패러디. '''5:17''' [[19XX -THE WAR AGAINST DESTINY-]]의 보스 클리어 연출을 패러디. '''5:42''' [[인조인간 키카이다]]의 패러디. '''5:48''' 피피미의 변신 장면은 [[트랜스포머 시리즈]](특히 [[트랜스포머 시네마틱 유니버스|영화판]])의 변신 장면을 패러디한 것. [[F-14]]로 변형하는 것은 [[초시공요새 마크로스]]의 가변 전투기 [[VF-1(마크로스 시리즈)|VF-1]]를 패러디한 것으로 보인다.[* VF-1은 F-14에서 모티브를 따온 것으로 유명하다.] 참고로 B파트에서 피피미 성우를 맡은 [[카미야 아키라]]는 해당 작품에서 [[로이 포커|VF-1에 탑승한 적이 있다.]]~~몇 중 패러디냐~~ '''5:54''' 영화 [[탑건(영화)|탑건]]의 로고를 패러디. 이 영화는 F-14가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작품이기도 하다. '''6:02''' "[[벽치기#s-2|카베동]]해줘~" 부분은 도키메키 메모리얼의 패러디. 횡스크롤 액션 부분에 등장하는 적은 슈퍼 패미컴용 게임 [[동키콩 컨트리]]에 등장하는 [[동키콩 컨트리#s-7.1|징거]]를 모티브로 한 것이다. 배경 역시 같은 게임의 가시 스테이지를 패러디. '''6:13''' '''타케쇼보가 박살난다.''' 그 후 주인공들이 추는 춤은 [[동키콩 컨트리 2]]에 등장하는 [[딕시콩]]과 [[디디콩]]의 스테이지 클리어 애니메이션을 패러디한 것. '''6:18''' 일본 유명 프로그램인 [[피타고라 스위치]]의 징글을 패러디했다. '''6:27'''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 특유의 크리스탈 모양 [[https://www.google.co.kr/search?q=final+fantasy+save+points&client=ms-android-kt-kr&prmd=ivn&source=lnms&tbm=isch&sa=X&ved=0ahUKEwiXt5HpsfrYAhWMU7wKHbO-BKgQ_AUIESgB&biw=412&bih=652&dpr=2.63|세이브 포인트]]가 나온다. '''6:38''' [[드래곤 퀘스트 11]]의 로딩 화면을 패러디. '''7:16''' [[Earth Wind&Fire]]의 1981년 곡 'Let's Groove ' 뮤직비디오를 패러디.[[https://www.youtube.com/watch?v=Lrle0x_DHBM|(원곡)]] [[https://www.youtube.com/watch?v=l0FY-7_qtaQ|(비교영상)]] 배경에 흐르는 글자는 [[니코니코 동화]]의 흐르는 코멘트를, 문자가 사다리꼴로 올라가는 부분은 저 유명한 [[스타워즈]]의 인트로 해설을 패러디한 것이며, 올라가는 내용은 [[5ch|2ch]]의 스레드이다. 또한, 다른 에피소드의 음악파트와는 달리 이곡만큼은 가사 자막이 나오지 않는데, 영어처럼 들리지만 실은 일본어로 되어 있는 가사이기 때문이다(예: anti touch more sin just touch more = アンチたちも信者たちも). 일본인 특유의 독특한(...) 영어발음 덕분에 듣기 더 혼란스러워지는 건 덤. '''8:15''' [[성검전설 3]]의 보스 '제블퍼'가 사용하는 마법 '헬 서던크로스'의 패러디.[[https://pbs.twimg.com/media/DUj4NYZVAAAS1FY.jpg|#]] '''9:33''' 전반적인 장면은 1983년 게임 [[스페랑카]]의 패러디. 2번째 장면의 사망 포즈와 음성은 [[저주의 관]]의 패러디. 3번째 장면의 승리포즈는 1985년도 게임인 '근육맨 머슬 태그매치(キン肉マン マッスルタッグマッチ)'를 옮겨왔으며, 그 후에 오는 화면은 [[메탈기어 솔리드 3]]에서 [[리볼버 오셀롯|미래에 살아있는 캐릭터]]가 사망했을 때 등장하는 [[타임 패러독스#s-6.3|게임오버]]를 패러디했다.~~타임 패러독스가 일어났다!!~~ 스테이지 곳곳에 배치된 원형 그래프 모양 아이템은 [[http://www.nicovideo.jp/watch/sm1980094|원형 그래프로 알아보는 게임 업계 점유율의 변천]]이라는 니코니코 동화 동영상에서 따온 것이다.[* 비율 자체는 원작의 '네/아니오' 그래프에서 따왔다.] '''09:50''' 포푸코가 외친 "우정파워로 되살아나줘!"는 [[근육맨]]에서 나오는 [[정의초인]]의 중요한 힘 중 하나. 그 때문인지 B파트의 피피미 성우도 [[근육맨]]의 주인공인 [[근육 스구루]]로 유명한 [[카미야 아키라]]다. '''10:06''' 일본의 유명한 괴담 [[메리#s-2.2.1|메리의 전화]]를 소재로 삼았다. '''16:55''' '''[[겟타로보|체~인지!]]''' / '''[[도구로 동생|풀파워!]]''' '''17:36''' 포푸코의 대사는 [[터미네이터 2]] 클라이막스 때 나오는 [[T-800]]의 대사(지옥에서 만나자구, 베이비)를 패러디한 것. 겐다 텟쇼는 일본판 T-800의 성우이기도 하다. '''17:40''' '''[[머슬 도킹|머슬 도킹~!]]''' '''18:08''', '''21:45''' 카미야 아키라의 대표 배역 중 하나인 [[북두의 권]]의 [[켄시로]]의 기합 소리를 패러디. '''21:41''' "포푸코! 미래를 바꿔서는 안 됩니다!(ポプ子!未来を変えてはいかんですよ!)"는 [[근육 스구루]]의 명대사인 "방귀는 참으면 안됩니다!(屁のつっぱりはいらんですよ!)"를 패러디한 것. === 5화 === '''0:13''' '''[[Nice boat.]]''' BGM은 [[증기선 윌리]]의 패러디. [* 원작에서는 연출, 장면구성 모두 증기선 윌리를 패러디했는데, 원작자 [[https://twitter.com/bkub_comic/status/959825675606663168|트윗]]에 따르면 사실 '''영상자체는 만들어 놨지만''' [[저작권|의문의 압력에 의해 Nice boat.로 대체되었다고 한다.]] 아무래도 [[월트 디즈니 컴퍼니|상대가 상대]]다 보니...][* 이것에 아쉬워한 어느 팬이 직접 편집당한 그 영상을 상상으로 재현하기도 했다![[https://m.youtube.com/watch?v=HndahMcVCJU|여기서 볼 수 있다]] ] 재방송판에서는 --어느정도 깡이 생겼는지-- 모자이크 처리하는 방식으로 기어코 만화 원작의 장면을 제대로 구현하였다. '''2:04''' 앞 타이틀은 [[러키☆스타]], 뒤는 [[아오하라이드]]의 타이틀 디자인을 패러디. '''2:29''' 사쿠라기 이요=일본 연예인 [[마츠모토 이요]]+[[아이다 리카코|담당 성우]]의 다른 캐릭터인 [[사쿠라우치 리코]]의 이름을 조합한 것. '''2:54''' [[DUEL LOVE#s-2|헤븐 상태]]의 패러디. '''3:45''' TV 속 인물은 일본의 어류학자 겸 탤런트인 [[사카나군]]을 패러디한 것. 이때 나오는 '고등어 맞잖아(鯖じゃねぇか)' 라는 대사는 [[초광전사 샹제리온]] 10화의 서브 타이틀인 '고등어 아니야!(サバじゃねぇ!)'에서 비롯되었다.[* 샹제리온은 '선바이저'라는 변신 아이템을 이용하는데, 일본어가 통하지 않는 사람한테 이걸 갖다 달랬더니 '사바(고등어)'를 가져다 준 데서 비롯된 개그 타이틀이다. 실은 여기서 끝나지 않고 후반부에서 변신 아이템이 아니라 무기를 고등어와 착각해서 갖다주는 에피소드가 나온다. 제목도 '고등어 아니야!! 2'. ~~거짓말 같지만 진짜다~~] '''4:35''' [[연방vs지온]]의 용어이자 비매너 행위의 일종인 '샤게단'을 패러디.[* 기체를 빠르게 좌우로 흔들어 상대를 도발하는 행위. 일본에서는 [[티배깅]]에 준하는 비매너 행위로 인식되고 있다. '샤게단(シャゲダン)'은 '샤아 전용 겔구그 댄스('''シャ'''ア専用'''ゲ'''ルググの'''ダン'''ス)'를 줄인 말로, 샤아 전용 겔구그가 이러한 행위를 할 때 가장 적합한 기체이기에 이런 이름이 붙었다.] '''4:49''' [[고사기]]에 나오는 [[이나바의 흰토끼]] 전설을 패러디. 상어들의 모습은 원작에서 포푸코와 같이 놀았던 상어와 같다. '''5:18''' 부엌칼로 사람을 찌를 때 날 부분이 위로 가게 잡는 것이 보다 살상력이 높다. 즉 이 장면의 이요는 '''정말로 피피미를 죽이려고 했다는 것.''' '''6:00''' [[러브 라이브! 선샤인!!|러브라이브 선샤인]]이 [[러브 라이브!|러브라이브]]로부터 5년 뒤를 배경으로 한다는 것을 패러디한 장면. '''6:04''' [[사쿠라우치 리코#s-5.1|러브라이브 선샤인 애니메이션 10화]]의 고백 장면을 패러디. '''6:26''' 게임 화면은 [[biim 시스템]] 형식의 RTA 동영상,[* 대사 및 용어도 '''전부''' 패러디했다.] 해설 캐릭터는 [[윳쿠리]], 게임 화면 오른쪽 위의 '貼らないでいい'는 [[5ch|2ch]] 용어인 'ハランデイイ',[* 니코니코 동화 곰돌이 푸 관련 영상에서 자주 나오는 표현이기도 하다.] 플레이 중인 게임은 [[https://kids.yahoo.co.jp/games/sports/013.html|곰돌이 푸의 홈런 더비]][* 게임 선정 및 흐름으로 미루어 [[http://www.nicovideo.jp/watch/sm27744248|이 영상]]을 패러디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런 애니에 진지 빨면 어떡해(こんなアニメにマジになっちゃってどうするの)'라는 대사는 패미컴 게임 [[타케시의 도전장]]의 엔딩 대사, 배경 맨 위의 아이콘은 [[https://twitter.com/twiter_de_m|'트위터에서 한 마디 하는 맨(ツイッターで物申すマン)']], 가운데는 [[록맨 8]]의 [[프로스트맨]] 스테이지의 경고 표시[[http://livedoor.blogimg.jp/ichigobu/imgs/2/3/23451980.png|#]], 맨 아래는 일본의 유명~~안좋은 의미로~~ 유튜버 [[syamu]]을 패러디한 것이다. 6:53부터는 윳쿠리 형태로 데포르메된 주인공 2명의 [[크로마 키|BB소재]]가 등장하는데, 니코동에서 합성 MAD 영상 안에 [[BBEMYBABY|합성소재를 BB소재로 배포하는 걸 패러디 한 것이다.]] '''6:58''' [[http://www4.nhk.or.jp/kyounoryouri/|NHK 오늘의 요리]]를 패러디. '''7:25''' [[노다 타츠키]]의 데뷔작 'がらくた屋まん太'에 등장하는 찌개(煮) 요리를 패러디. '''7:40''' [[젤다의 전설 시간의 오카리나]]에 등장하는 케포라 게보라를 패러디한 부엉이가 등장. '''8:24''' '''[[마릴린 먼로]]~''' '''8:31''' [[언더테일]]의 [[언더테일/등장인물#s-3.2.2|레서 도그]]처럼 목이 늘어나는 피피미. '''8:59''' '딸꾹질을 100번 하면 [[딸꾹질#s-4|죽는다]]'라는 도시전설을 패러디. '''9:01''' 죠죠의 기묘한 모험 [[슈트로하임]]의 대사 '자폭하는 수 밖에 없어!' 패러디 마침 5화 [[죠셉 죠스타|성우]]가..... '''9:10''' [[치트버그]] 관련 네타인 패미컴판 은하영웅전설에 나온 라인하르트의 엔딩 대사 '아아, 끝났다......!(アア、オワッタ……!)'를 패러디.[[http://livedoor.blogimg.jp/ichigobu/imgs/6/4/643c4269.png|#]] 화면 구도는 '니시키가오[* 게임에서 캐릭터 얼굴이 [[치트버그]]로 인해 깨져보이는 것. 본 현상이 유명해진 FC 캡틴 츠바사의 첫 대전상대 '니시키가오카 중학교'에서 이름을 따 왔다.] 컨테스트 2014' 대상작인 '라인하르트와 키르히아이스'를 패러디한 것.[[http://livedoor.blogimg.jp/ichigobu/imgs/6/6/661b450b.png|#]] '''9:11''' [[신기동전기 건담 W]] 10화의 윙 건담 자폭 장면을 패러디. '''9:15''' [[https://www.youtube.com/watch?v=8YzdMtn9qEM|이치로의 레이저 빔으로 인류 멸망.]] '''10:02''' 포푸코가 [[미키 마우스|목숨을 내다버린]] 데스게임을 시전한다. [[월트 디즈니 컴퍼니]]의 작품이 대상인만큼 [[소음 검열|삐 처리]]가 많아서 처음 들을 때는 뭘 흉내내는 건지 이해가 어려운데[* 대화 내용을 유추해 볼 때 아마도 [[플루토(디즈니 캐릭터)|애완견]]과 노는 장면으로 추정.], B 파트의 [[나카무라 유이치]]가 수준급의 성대모사를 하는 장면에서 눈치채기 쉽다. '''10:39''' 영화 [[이지 라이더]]의 엔딩곡인 'Born to be Wild'의 인트로를 패러디.[[https://www.youtube.com/watch?v=rMbATaj7Il8|#]] 화면 구성은 게임 [[사막 버스]]의 패러디. '''22:10''' [[용호의 권 시리즈|다른 작품]]에 나오는 [[미키 로저스|미키]]의 유명한 신음소리를 따라한다. '''스기타 토모카즈의 애드립''' 내가 솔방울맨이여(ワテがふぐりマンや)[* 솔방울(ふぐり)은 [[킨타마|불알]]의 은어로 쓰인다.] 솔방울맨을 지네인간으로 만들어주지(ふぐりマンをムカデ人間にしてやる)[* 호러 영화 [[인간지네]] 시리즈를 가리키는 것.] SGGK[* [[캡틴 츠바사]]에 나오는 표현인 Super Great Goal Keeper를 가리키는 말. 참고로 스기타의 트위터에선 스기타가 플레이 하고있는 캡틴 츠바사의 스마트폰 게임의 플레이 현황을 간간이 올리고 있다.] 파・[[자지|칭코]][* [[은혼]]의 한 장면을 패러디.[[https://pbs.twimg.com/media/DVH64NnVwAEYfSb.jpg|#]]] 자아, 그럼 시작(はいよーいスタート) / 간다! 뎃뎃데데데데 캉(イクゾー!デッデッデデデデ カーン)[* biim 시스템의 필수 요소를 그대로 따라했다. 참고로 전자는 [[한여름 밤의 음몽#s-2.2]]의 대사를, 후자는 [[로맨싱 사가]] [[https://www.youtube.com/watch?v=et-a7r7CmOk|나이트하르트의 테마]]를 패러디한 것이다.] 무슨하타 무슨사부로(何畑何三郎)[* 1994년작 일본 드라마 '[[후루하타 닌자부로]](古畑任三郎)'의 OP 연출을 언급.[[https://www.youtube.com/watch?v=Xv4kYOFURLg|#]]][* 여담으로 이 부분의 '엄청 기네''이거 목부분에 스탭롤같은거 넣으면 되겠어' 등 갑작스런 프리 토크(...)는 스기타와 나카무라가 대기시간에 한 잡담을 음향 감독이 듣더니 '지금 그 토크를 그대로 쓰자'고 해서 급거 애드립으로 추가되었다고 한다.] 이츠모노라멘(いつものラーメン)[* Born To Be Wild 가사 중 Get your motor runnin' 부분이 '이츠모노라멘'으로 들렸다는 타모리 클럽 관련 일화를 가리키는 것.][* 리믹스판에선 스기타가 친 이 애드립이 정식 대본에 추가됐으나 카지 유우키는 차마 그걸 할 순 없었기에 급거 시모노 히로와 함께 프리 토킹을 시작했는데, 주된 내용은 스기타상이랑 나카무라상이 이렇게 엄청난걸 질러버리고 갔는데 우리가 그걸 어떻게 뛰어넘냐는 이야기였다.] === 6화 === '''0:26''' [[학원 핸섬]]의 미츠루기 사쿠야처럼 생긴 캐릭터가 등장한다.[* 8:29에도 사이온지 테루히코 닮은 캐릭터가 등장한다.] '''오프닝''' 원작자인 오카와 부쿠부의 직업 표기가 [[버츄얼 유튜버|버추얼 유튜버]]로 표기되었다. 아래의 구독 구걸을 봤을 때 노리고 넣은 셈. '''타이틀''' 일본에서 컴퓨터와 바둑/쇼기 기사가 대결하는 이벤트를 전왕전(電王戦, でんおうせん)이라고 부르는데, 이걸 살짝 비틀어 [[공각기동대 시리즈]]의 전뇌전(電脳戦, でんのうせん)으로 만들어 놓았다. '''2:49''' [[히카루의 바둑|고스트 바둑왕]]의 패러디. '''2:55''' 포푸코의 첫 상대였던 사천왕 중 첫 번째는 시합을 채 진행해보지도 못하고 [[놈은 사천왕 최약체지|패배를 선언했다.]][* 이름부터가 [[자버|카마세(鎌瀬)]]이니 말 다한 셈. 참고로 かませ犬를 흔히 언더독이라고 번역하는데, かませ犬는 '흥행을 위해 상대가 안 되는 싸움에 일부러 투입하는 버림패'를, 언더독은 '스포츠에서 우승이나 이길 확률이 적은 팀이나 선수'를 일컫는 말로 서로의 뉘앙스가 다르다.] '''3:02''' '''[[GG|GG요~]]''' '''3:26''' 일본의 연예인 [[블루종 치에미 with B]](ブルゾンちえみwithB)를 패러디. '제35기 여왕' 부분은 그녀의 유행어인 '35억'을 패러디한 것.[[https://www.youtube.com/watch?v=8puMpOhm_5s|#]] BGM은 그녀의 '커리어 우먼' 코너에서 사용된 [[오스틴 머혼]]의 'Dirty Work'를 어레인지한 것이다.[[https://www.youtube.com/watch?v=CX-un4obyU0|#]] '''3:29''' 포푸코 쪽 玉패 옆에 절묘하게 [[킨타마|金패가 위치해 있다.]][* 참고로 쇼기에서 왕장은 왕(王)과 옥(玉) 2개가 있는데, 경우에 따라 상급자나 연장자가 王패를, 하급자나 연소자가 玉패를 사용한다.][* 다만 시리즈 구성을 맡은 아오키 준의 [[https://twitter.com/aokijun/status/962365232457793536|트윗]]에 따르면 치에미 vs 포푸코의 기보는 쇼기 프로그램을 이용해 재구성한 것이라고 하므로 의도적인 패러디는 아닐 수 있다.] '''4:46''' [[미시마 헤이하치]]를 닮은 인물이 등장하며[* 대사 속 1인칭도 [[와시]]로 헤이하치와 동일하다.], 해당 장면의 BGM이 묘하게 [[철권 7]] 풍으로 바뀐다. '오쿠센만 케이초'라는 이름의 의미는 단위인 [[억(수)|억]], [[1000|천]], [[10000|만]], [[경(수)|경]], [[조(수)|조]]. '제123대 영세명인' 부분의 123은 일본의 유명 쇼기 기사 '가토 히후미(加藤'''一二三''')'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5:18''' 오쿠센만이 포푸코들의 기에 밀리는 장면은 [[이사야마 하지메]] 원작 [[미나가와 료지]] 그림의 [[https://pbs.twimg.com/media/DVr--jcV4AALYV-.jpg|'킬링 폰(キリング・ポーン)']]을,[* B파트에는 같은 작가의 [[진격의 거인]]에 나오는 [[엘런 예거]]와 [[코니 스프링거]]의 성우 2명이 포푸코와 피피미의 성우로 등장했다.] 포푸코와 피피미가 함께 쇼기말을 내미는 장면은 [[드래곤볼/인조인간 편]]의 [[손오공(드래곤볼)|손오공]]과 [[손오반]]의 합체 에네르기 파를,[* 당시 손오공이 유령이었던 것처럼 이 장면의 피피미도 [[후지와라노 사이|유령]] 상태이다.] 오쿠센만이 날아가는 장면은 [[셀(드래곤볼)|셀]]의 최후를 패러디한 것이다. 오쿠센만의 잔해는 [[T-800]], 사지가 분해된 채 이야기하는 모습은 [[애쉬(에이리언 시리즈)|애쉬]]의 패러디. '''6:01''' 건물 최상층에 올라가 진실과 대면하는 장면은 영화 [[블레이드 러너]]를 패러디한 것. '''6:07''' 좌우에 늘어선 컴퓨터들은 일본의 슈퍼 컴퓨터 '케이(京)'의 패러디이다. 마더 AI PP-1000은 [[터미네이터 2]]의 [[T-1000]]과 바둑 인공지능 [[알파고]]를 패러디.[* 색깔도 금속 질감의 회색 계통이다.] '''6:56''' [[러시(죠죠의 기묘한 모험)|오라오라vs무다무다]]처럼 보이지만 실은 [[드래곤볼 Z]] 전투신의 길항 장면을 패러디한 것.[* 적은 수의 동화를 루프시켜 전투신을 구성한 드래곤볼처럼, 포푸코는 4장, 피피미는 3장의 동화만으로 장면을 연출하고 있다.] 이때 잘 보면 포푸코는 엄지를 아래로 내리는 사인과 [[ILY sign]]과 [[뻐큐]]를 날리며, 피피미는 [[부적]]과 [[바둑돌]]과 [[유희왕]] 카드를 들고 있다. '''7:06''' "[[너의 이름은.|너의 이름은]]" 이라고 외치면서 [[에네르기파]]를 쏜다. 이때 키미노 나'''와''' 라고 하지 않고 키미노 나'''하''' 라고 하는데, 일본어에서 は는 조사 "은/는"으로 사용할 때는 "와"라고 읽지만 그냥 읽을때는 "하"라고 읽는다. 이걸 이용해서 에네르기파의 원 명칭인 "카메하메하"를 "키미노나하" 로 비틀어서 패러디한 것 '''7:28''' '''[[럭키 비스트|몸은 잃어버렸어도 AI의 핵은 리본에 남아있었군요!]]''' '''8:27''' '카레삣삐(彼ピッピ)'라는 말은 일본의 유행어로, [[썸|친구 이상 연인 이하 관계]]의 남자를 뜻한다. 적절한 한국 유행어로 치환하면 [[썸|썸남]] 정도. '''8:50''' '''[[딤로스|딤로스~!]]''' '''9:12''' '이제 곧 발렌'''틴'''이니까~'는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의 [[블라디미르 발렌틴]]을 가리키는 대사.[* 첫번째 보브네미밋미에서 야구 관련 소재를 많이 다루었기 때문에 이것의 연장선상에서 다루어진 패러디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10:15''' [[유튜브]]에서의 채널 구독 구걸 행위를 패러디.[* 재더빙판에선 [[한번 죽어볼래]]가 나왔는데 같은 화에 나온 피피미의 성우가 [[노토 마미코]]라서 나온 애드립이다.] '''14:03''' A파트와는 달리 B파트에서는 포푸코가 [[카라아게]] 가게 얘기를 하는데, 이는 포푸코의 B파트 성우인 [[시모노 히로]]가 중증 카라아게니스트라는 점을 활용한 [[성우개그]]. '''20:33''' 1000%라는 구호는 [[노래의☆왕자님♪]]의 1기 애니메이션 부제 진심 LOVE 1000%에서 따온 것이다. B파트의 조합이 [[쿠루스 쇼]]와 그의 쌍둥이 동생 쿠루스 카오루라서 나온 애드립. === 7화 === '''0:18''' A파트에서는 팝 팀 에픽 코믹스 1권이 소개되지만, B파트에서는 코믹스 2권으로 바뀌어 있다. '''2:39''' 실사 파트는 AC부가 2014년 [[문화청 미디어 예술제]] 때 선보인 [[https://www.youtube.com/watch?v=09o0nRFAwN8|안전운전 안내서(安全運転のしおり)]]의 패러디. B파트에서는 서로의 목소리를 바꿔 더빙했다. [* 이 헬셰이크 야노 에피소드가 화제가 되자 후에 AC부의 단독 공연에서 마그마 믹서 무라타의 이야기도 추가해서 공연했다. [[https://youtu.be/tRLlneFefuo|#]] ] '''2:43''' 근육맨의 캐릭터인 [[빅 더 무도]]와 [[일본 무도관]]을 합체시킨 '빅 무도관(ビッグ武道館)'이라는 건물이 등장한다. '''3:03''' [[탄게 단페이]]를 닮은 매니저가 등장한다.[* 3화 게임 파트에서도 등장했다.] '''3:30''' [[죠죠의 기묘한 모험|다른 작품]]에서 [[오토이시 아키라|기타를 치는 캐릭터]]의 [[모리쿠보 쇼타로|안의 사람]]이 B파트의 포푸코 성우로 등장했다. '''5:53''' 기본적인 화면 구성과 [[https://youtu.be/GolvMA4ZBTs|BGM]]은 [[슈퍼 마리오 카트]]를, 왼쪽의 무지개는 동 게임 시리즈의 고난도 스테이지 [[무지개 로드#s-3.1]]를 패러디. 목표 차량을 뒤에서 여러 번 들이받아 처치하는 장면과 아나운스는 [[체이스 HQ]]의 패러디이다. '''6:00''' 화면 오른쪽에 [[언더테일]]의 [[메타톤]] 풍 피피미가 등장한 뒤 [[메타톤/전투|메타톤 EX]]와의 보스전 패러디가 전개되고, 이후 언더테일에서 플레이어가 사망할 시 나오는 하트가 깨지는 연출이 패러디된다.[* 언더테일 제작자 [[토비 폭스]]도 이 장면을 보고 [[https://twitter.com/tobyfox/status/964946726636412928|트윗을 남겼다.]]] '''6:19''' 포푸코의 대사인 '도와줘서 생큐~!(助けてくれてサンキュー!)'는 [[메가 드라이브]] 판 게임 '[[오소마츠 군#s-3.3|오소마츠 군 우당탕탕 극장]](おそ松くんはちゃめちゃ劇場)'의 [[https://pbs.twimg.com/media/DWP-c9EVoAEp_6s.jpg|스테이지 클리어 화면]]을 패러디한 것. 참고로 이 작품은 '''원작자가 제작사에 호통치며 들어와 재떨이를 내던졌다'''는 도시전설이 있을 정도의 쓰레기 게임이다. '''6:52''' '''[[スリル(음악)|아~아~아~아~ 아기가 되어 버렸어!/베비베비]] 베이비베이비베이비베이비 베이베~'''[[https://www.youtube.com/watch?v=WfMEHQjHdH4|#]][* 단행본 정발판은 [[울랄라세션]]의 [[아름다운 밤]]으로 변경되었다.] '''7:45''' 참고로 요리에 사용된(?) [[매너티]]는 보호종으로 지정된 동물이다. (...) '''9:10''' '''[[히카사 요코|테헤페로(・ω<)]]'''[* 해당 대사의 주인은 4화 A파트에서 포푸코 역을 맡았다.] '''9:22''' 피피미가 [[기스 하워드]]의 [[막고 던지기]]를 쓴다. '''9:26''' 전설의 에로게 [[동급생 2]]의 엔딩 장면을 패러디. 참고로 코오로기 사토미는 동 작품의 [[타나카 미사]] 역을, 야지마 아키코는 [[미즈노 토모미]] 역을 맡은 적이 있다. '''9:32''' 피피미의 대사는, 포켓몬스터 시리즈에서 낚시를 할 때 아무것도 낚지 못했을 때 나오는 '안 낚이네...(つれないなあ・・・)'를 패러디한 것. '''9:46''' 피피미의 포즈는 일본 만화 [[낚시광 산페이]](釣りキチ三平)의 [[http://livedoor.blogimg.jp/ichigobu/imgs/d/7/d7b956ea.jpg|유명 일러스트]]를 패러디한 것. '''10:00''' A파트 피피미 성우 야지마 아키코의 대표작인 [[짱구는 못말려|크레용 신짱]] 아이캐치에서의 신짱의 보이스. '''10:01''' 초반에 자동차가 나오는 화면은 [[아웃런]]을 패러디했고, 자동차가 거북이 등껍질에 맞아 뒤집어지는 장면은 [[마리오 카트]]를 패러디했다. 이후 자동차가 풀숲으로 뛰어들자 화면이 [[포켓몬스터 레드·그린]]의 전투 화면으로 전환된다. 이때 피피미의 모습은 영락없는 [[닥트리오]]이며, 화면 구성은 허드슨의 GB용 게임 [[https://pbs.twimg.com/media/DWQCZOLVoAEa52k.jpg|로봇 퐁코츠]]의 패러디. 공격 커맨드 선택문 중 '올 풀 만드라고라(オールプルマンドラゴラ)'와 '에이사이하라마스코이(エイサイハラマスコイ)'는 원작에 나왔던 대사의 재활용이다. '''10:21''' 헬 서던크로스가 '''또''' 나온다. '''10:31''' '''[[포켓몬스터|포푸코는 눈 앞이 깜깜해졌다!]]''' '''18:51''' '''[[Mass Destruction|베이비베이비베이비베이비 베이베~]]'''[[https://www.youtube.com/watch?v=6jFaoLrLzd4|#]][* B파트의 토리우미 코스케와 모리쿠보 쇼타로는 [[페르소나 3]]의 [[이오리 준페이]]와 [[페르소나 4]]의 [[하나무라 요스케]]를 맡았다. 원전이 페르소나 3의 전투 BGM이라 페르소나 4 본편에서는 해당 BGM이 나오지 않지만 애니메이션인 [[P4A]]의 왕 게임 장면에서 해당 BGM이 나온다.] '''19:39''' 일본의 전설적인 프로레슬러 [[안토니오 이노키]]의 명대사인 '기운만 있으면 뭐든지 할 수 있어(元気があれば何でもできる)'가 등장한다. 뒤이어 동 인물의 트레이드 마크 대사인 '간닷!!(行くぞ!!) 1, 2, 3, 다(ダー)ㅅ!!'도 등장한다. 주인공들의 말투 자체도 안토니오 이노키의 그것과 같다. '''20:06''' Japon Mignon은 [[프랑스]]의 남북 기후가 서로 다른 점에 착안하여, 북부 출신인 감독 티보 트레스카(Thibault Tresca)가 '''[[자학]]개그'''를 친다. 자세히 보면 포푸코와 피피미가 사진을 찍는 사진은 프랑스 남부인 [[프로방스]]주의 관광 홍포 포스터, 포푸코와 피피미가 버스를 기다리던 정류장은 프랑스 북부인 [[일드프랑스]]주의 [[https://fr.wikipedia.org/wiki/Porte_de_Bagnolet|포르뜨바뇰레]]이다. '''21:27''' 포푸코의 대사는, 세가의 육성 게임 [[씨맨]]에서 산란 시에 나오는 '이런 게 나왔는데요(こんなんでましたけど)'라는 대사를 패러디한 것. === 8화[* 아베마TV 한정으로 8화를 8번 연속 재방송하여 8화라는 화수 자체를 [[엔들리스 에이트|패러디로 만들어 버렸다.]]] === '''02:09''' [[야쿠자]]물[* 포푸코의 수감번호가 893번인데, 이걸 일본어로 붙여서 읽으면 야쿠자가 된다. 자세한 건 항목 참조.] 영화의 고전 명작, [[의리없는 전쟁]]의 패러디. [[https://youtu.be/CPL-eFuUfhg|BGM]]도 원작의 테마곡과 거의 똑같은 수준으로 따라했다. 초반 무대로 등장하는 [[아바시리 형무소]]는 영화 [[https://ja.wikipedia.org/wiki/%E7%B6%B2%E8%B5%B0%E7%95%AA%E5%A4%96%E5%9C%B0_(%E6%9D%B1%E6%98%A0)|아바시리 번외지 시리즈]]를 패러디한 것으로 보인다. '''02:19''' 여죄수가 휴대폰으로 [[라인(메신저)|라인 스티커]]를 전송하고 있다. "만화는 본 적 없어"라는 발언이나, 이에 포푸코가 열받아서 그녀를 덮치는 전개를 보았을 때 [[팝 팀 에픽|원작만화]]의 라인 스티커일 듯[* 국내에는 카카오톡 이모티콘으로 나왔다]. '''03:10''' 3화에도 나왔던 '카시코마'가 또 나온다. A파트 포푸코 성우인 [[모로호시 스미레]]는 아이카츠에서 [[호시미야 이치고]]를 맡았는데, 졸지에 [[아이카츠!|반다이 작품]]의 캐릭터가 경쟁사인 [[타카라토미 아츠]]의 [[프리파라|작품]] 유행어를 외치는 기묘한 상황이 연출되었다.[* 다만 [[모로호시 스미레]]는 [[프리파라]]에서 우사쨔역으로 출연한 적이 있다.] '''03:18''' 주인공들이 레몬을 핥으며 [[얼굴개그]]를 하는 장면은 [[톰과 제리]] 129화 'The Cat Above and the Mouse Below'의 한 장면을 패러디한 것이다.[[https://www.youtube.com/watch?v=Xs-UmEDCSks|#]] 또한 굳이 레몬을 핥는 이유는 의리없는 전쟁의 배경이 된 히로시마가 일본내 레몬 생산률 1위이기 때문. '''04:03''' 폭력단 회장의 이름(飯田橋二七三)과 타케쇼보의 주소(東京都千代田区'''飯田橋二丁目7番3号''')가 같다. 조직원들의 머리도 대나무로 되어있다. 폭력단 이름은 칙쇼회(竹生会, ちくしょうかい)인데 이는 일본어 욕설인 [[칙쇼|칙쇼(畜生)]]와 발음이 같다. '''04:11''' [[마피아 카지타]]가 배경에 우정출연한다.[* 마피아 카지타가 주인공인 오카와 부쿠부의 만화가 [[전격 G's magazine]]에서 연재 중이며, 둘은 개인적으로도 굉장히 친하다.]. 배경 깃발에 그려진 와니(鰐)라는 글자는 일본의 출판사 [[https://ja.wikipedia.org/wiki/%E3%83%AF%E3%83%8B%E3%83%96%E3%83%83%E3%82%AF%E3%82%B9|와니북스]]를 가리키는 것으로, 부쿠부는 이곳에서 [[https://comic.pixiv.net/works/2597|'리스봇쿠리(リスボックリ)']]라는 만화를 연재한 적이 있다. '''04:23''' 널브러진 쓰레기들과 쓰레기통 옆의 기름성냥으로 미루어, 기름성냥으로 담뱃불을 붙이려다가 집을 홀라당 태워버린 니코동 유저의 동영상을 패러디한 듯.[[https://www.youtube.com/watch?v=f20h6FShDYk|#]] '''04:58''' [[https://pbs.twimg.com/media/DW0Eq5mUMAAbyu7.jpg|폭력단 사훈]]과 [[https://pbs.twimg.com/media/DW0EsNAVwAEGOCK.jpg|타케쇼보 사훈]]의 내용이 같다. 폭력단 사훈 왼쪽 귀퉁이에는 아예 '주식회사 타케쇼보'라고 써있다.~~숨길 생각도 없구만~~ '''05:45''' 포푸코 왼쪽에 [[아빠는 요리사]]의 [[일미(아빠는 요리사)|카즈미]]가 앉아있다. 오른쪽 인물의 생김새는 [[호모오]]. '''07:16''' 원작만화의 에이사이하라마스코이 춤이 나오지만 춤 동작은 원작과 달리 [[스트리트 파이터 2]]에서 [[블랑카]]가 쓰는 근접 강펀치와 하단 강킥의 반복이다.[[https://youtu.be/N2n4Nn20jc4?t=20s|#]][* 원음성이 에이사이~하라마스코이~였던 반면에 영어 더빙은 에이! 사이! 하라마스코이!로 연기톤이 다르다.] '''07:54''' [[https://www.koyama-happy.com/|주식회사 코야마]]의 '마계의 드래곤 야광검 키홀더(魔界のドラゴン夜光剣キーホルダー)'를 패러디. 이 상품은 지난 2016년 팝 팀 에픽 원작 만화의 컬래버 상품으로 [[https://natalie.mu/comic/news/212399|판매된 적이 있다.]] 즉 '''홍보.''' '''08:18''' 앞머리를 너무 잘랐다면서 [[다이하드]]의 [[존 맥클레인]], 축구선수 [[아우신두 사르토리]][[https://ja.m.wikipedia.org/wiki/アルシンド・サルトーリ|#]][* 1990년대에 J리그에서 활약한 브라질 축구선수. 그 당시도 애니에서의 모습처럼 탈모의 증세가 있었는데, 현재는 옆머리만 남은 상태이다.], 선교사 [[프란치스코 하비에르]]가 등장한다. ~~B파트에서는 "럭키~ 하비에르여서 다행이야"라고 애드립이...~~ '''08:40''' 포푸코가 보고 싶어하는 '태양과 녹색의 건강 타임(太陽と緑の健やかタイム)'은 [[아이카츠]] 애니메이션이 오후 6시에 방영되던 시절, 직전 시간대에 방영된 [[https://003003.jp/item/ryokukou_01.html|'료쿠코아오지루(緑効青汁)']] 선전을 가리킨다.[* 이 광고는 [[TV 도쿄]]에서만 볼 수 있었기 때문에, 정말로 아는 사람만 아는 패러디가 되어버렸다.] '''09:10''' 포푸코가 틀어주는 비디오는 [[LSD(게임)]]의 오프닝을 패러디한 것이다. '''09:35''' 라운드 시작과 종료시의 연출은 [[길티기어]], 포푸코가 사용한 선제공격은 [[베가(캡콤)|베가]]의 헤드 프레스, 피피미가 사용한 반격기는 [[액슬 로우]]의 천방석, 결정타로 사용한 필살기는 SFC판 [[기동무투전 G건담]]의 갓핑거이다. 피피미의 승리포즈는 [[드래곤볼Z 초무투전|드래곤볼Z 초무투전 2]] 손오반의 그것[* 원작 만화에서는 포푸코가 초무투전 셀의 패배연출을 흉내낸다며 쓰러지고 그걸 본 피피미가 이 승리포즈를 취한다. ~~이 장면이 3화에서 나왔어야 했는데~~]이며, 하단에 살짝 보이는 포푸코의 커맨드 리스트는 [[노엘 버밀리온]]의 기술표. B파트에서 추가로 포푸코의 패배 보이스가 [[M.U.G.E.N.]]의 [[쿵푸맨]]의 것. '''10:11''' 전체적인 구성은 [[만화 일본 옛날이야기]]를 패러디했으며, 패러디 소재로 쓰인 전래동화는 [[꽃 피우는 할아버지]]. '''10:44''' 엔딩곡 담당의 [[이가라시 히로미|포푸코]]가 자신들이 본편 애니에 나오지 않는 걸 불평하는데, 오히려 왜 자신들이 엔딩곡을 부르는지 의문삼는 [[마츠자키 레이|피피미]]에게 [[오카와 부쿠부|원작자]]가 [[안키라|안○○]]를 좋아하기 때문이라고 추측한다. 이에 피피미도 그의 [[https://www.pixiv.net/member.php?id=9948|○○브]]를 봤다면서 납득한다(...). '''12:09''' 베이컨을 제일 좋아한다든지, "쿄와네" 라고하는 것을 볼 때 [[키노시타 유카]] 패러디로 보인다. '''18:26''' '''[[자와#s-3.1|ざわ…ざわ…]]''' === 9화 === 처음으로 TVA 키 비주얼이 본편 내용과 관계없는 화다. '''02:23''' [[밴 헤일런]]의 [[https://youtu.be/SwYN7mTi6HM|Jump]]를 거의 베끼다시피 했다. '''02:37''' 배경은 [[뉴욕]]의 [[타임 스퀘어]]. [[코카 콜라]], [[포카리스웨트]], [[롤렉스]], [[스바루(자동차)|스바루]], [[무민]], [[맥도날드]], [[고스트버스터즈]], [[케모노 프렌즈]], [[오사카]]의 [[도톤보리 강]]의 글리코 사인 패러디 광고판이 보인다. ~~BAMBOO는 십중팔구 타케쇼보~~ ~~[[스즈카제 아오바|오늘 하루도 힘내자오]] 드립도 있다~~ '''02:48''' 광고판 패러디가 나오기가 무섭게 포푸코와 피피미가 [[고스트버스터즈]] 옷을 입고 등장하여 프로톤 빔으로 불량배들을 날려버린다. '''03:28''' 피피미가 팔씨름을 하는 건 [[실베스터 스탤론]] 주연의 팔씨름 영화 [[오버 더 탑]][[https://en.wikipedia.org/wiki/Over_the_Top_(film)|#]]의 패러디. 그녀의 세번째와 네번째 상대로 [[로보캅]]과 [[T-800]]이 등장한다. '''03:37''' 지하철 벽면에 있는 낙서에 KAWAII, [[타케쇼보|TAKESHOBO]]~~한자로도 적혀있다. 竹書房~~, [[오카와 부쿠부|OKAWA BUKUBU]], [[팝 팀 에픽|POP TEAM EPIK]], KUSO MANGA, NICE TO MEET YOU, [[메멘토 모리|MEMENTO MORI]] 등이 적혀 있고, 포푸코 머리 위에는 DVD KAEYO(DVD 사라), 죠셉 무릎 옆에는 BLU REY~~RAY~~ KAEYO(블루레이 사라) 라고 적혀 있다. '''03:52''' [[도요토미 히데요시|도요토미]] + [[히데부|히데]] + [[오카와 부쿠부|부쿸ㅋ]][* B파트에서는 대사가 바뀐다. 성우의 애드립으로 추정. 이 때 언급하는 만지(卍)는 여고생들이 주로 사용하는 말로 "대박"같은 의미] '''03:55''' 쓰레기 통을 난로 삼아 모인 채 노래를 부르는 건 영화 [[록키]]의 도입부 패러디. 노래도 해당 영화의 사운드트랙인 [[https://youtu.be/YT0mVfVoYNw|Take you back]]을 따라했다. '''04:00''' 피피미와 포푸코의 차를 밀고 있는 두 명의 남자는 [[파이널 판타지 XV]]의 주인공 [[녹티스 루시스 카일룸]]와 [[글라디올러스 아미시티아]]. 게임 오프닝의 차를 미는 씬의 패러디 '''04:13''' [[쇼생크 탈출]]에서 앤디 듀프레인이 감옥을 탈출했을 때의 장면 패러디. 장소는 [[브루클린 다리]]이다. '''04:37''' TV아사히 계열에서 방송되던 드라마, '신춘 드라마 스페셜 마구로'의 [[https://youtu.be/NCdObJJ9klA|예고편]]. [* 영상에서 나오는 배우는 일본의 국민배우 [[와타리 테츠야]]. ] '''05:01''' 피피미가 참치를 자른 뒤 "[[칼등치기]]야"라고 말하는데~~일단 칼등으로 어떻게 참치를 베었는지는 넘어가고~~, 이는 [[망나니 장군]]을 비롯한 일본 시대극에서 자주 쓰이는 대사이다. '''05:29''' 주인공 죠셉이 신고 있는 나이키 신발은 영화 [[백 투 더 퓨처|백 투 더 퓨처 2]]에서 주인공 마티 맥플라이가 신었던 신발이다.[[https://www.google.com/search?q=back+to+the+future+nike+shoes&client=ms-android-lgu-kr&prmd=ivn&source=lnms&tbm=isch&sa=X&ved=0ahUKEwjs98egh9LZAhXFkJQKHW8dAJ4Q_AUIESgB&biw=360&bih=612&dpr=3|사진]] '''06:11''' 뒤쪽 끝자리를 자세히 보면 [[누스레트 괵체|솔트 배]]가 있다. '''06:18''' 이 이야기의 주인공인 뉴욕시장의 [[마이크 해거|정체]]는..... '''06:41''' 8화에 이어서 또 한번의 격투게임 패러디. 라운드 시작과 종료 연출은 여전히 [[길티기어]], 포푸코가 [[기동전사 건담 EXTREME VS FULL BOOST|건담 vs 시리즈]]에서 [[건담 슈피겔]]이 쓰는 멧서 그란츠를 사용, 이에 피피미가 [[막고 던지기]]를 시전[* 이때 피피미가 "으으으~ 용서서못해!!"라고 외치는데, 이는 [[기스 하워드]]가 원조[[아랑전설]] 중간 데모에서 외친 [[무슨 지거리야|전설적인 오타]]이다]하지만, 포푸코가 [[치프 자너프]]의 참성랑아로 반격해서 게임을 끝내버린다. 한편 하단에 보이는 피피미의 커맨드 리스트는 [[블레이블루 시리즈]] 캐릭터 중 [[명왕 이자나미]]의 기술표인데, '자애의 유'에 해당하는 기술인 '불악구의 유'를 일본어로 읽으면 [[Fuck You|푸아크노유]]... '''06:54''' 포푸코의 승리대사, "자, 한번 세계를 쟁취해볼까요"는 [[군마현]]의 한 임시공무원이 파리의 격투게임 대회에서 우승했다고 거짓말을 했다가 아사히신문에 기사까지 떠버린 [[Facebook]] 글에서 비롯되었다[* 이 사람이 쓰던 예명이 '길티 이토'였는데, 거짓말 행각이 발각되고 정식공무원으로의 길도 막히면서 말그대로 Guilty 이토가 되어버렸다(...)]. [[http://dic.nicovideo.jp/t/a/ギルティ伊藤|니코니코 대백과 링크]] 또한 포푸코의 승리포즈는 [[슈퍼 스매시브라더스 for 닌텐도 3DS / Wii U|대난투4]]에서 [[사무스 아란|제로 슈트 사무스]]의 그것. '''07:21''' [[강백호(슬램덩크)|강백호]]의 훅훅 디펜스. '''07:24''' [[갑충왕자 무시킹]]에서 등장하는 궁극필살기, [[https://youtu.be/nmquW6DCvrU|슈퍼 카게로]]. '''08:25''' 포푸코와 피피미가 앉아서 대화하는 노을 진 강변은 [[시간을 달리는 소녀(애니메이션)|시간을 달리는 소녀]]에서 [[콘노 마코토|마코토]]와 [[마미야 치아키|치아키]]가 헤어졌던 노을 진 강변을 패러디했다. '''08:56''' [[미스터 칠드런]]의 노래인 [[https://youtu.be/HHU4Nv3H9zk|센터 오브 유니버스]]. B파트에서는 "앤드 디 어스"라는 애드립이 나오는데, 이건 [[도쿄 디즈니씨]]의 어트랙션인 센터 오브 디 어스를 두고 하는 말이다. '''09:04''' 외국 코미디 프로그램에서 웃기는 대사가 나온 뒤에 나오는 [[https://youtu.be/gpaOy8b8X6A|두둥~탁!]]하는 [[두둠칫|드럼 소리]]를 패러디했다. 문제는 '''웃기는 얘기를 하기도 전에''' [[드럼]]을 친 데다 분량도 쓸데없이 긴 것으로서 거의 드럼 솔로가 되어 버렸다. '''10:42''' '''이런 저런 페어 써먹는 거'''. 본편 성우들이 [[THE iDOLM@STER|아이돌 마스터]]의 성우임을 의식한 드립.[* [[아마미 하루카]]와 [[키사라기 치하야]].] 엔딩을 부른 [[이가라시 히로미]]와 [[마츠자키 레이]]는 [[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데레마스]]의 캐릭터를 맡았다. '''14:05''' A파트에서는 영어인 대사를 전부 [[오키나와어]]로 바뀌었다. 번역 담당은 해당 지역 출신 [[게닌]]인 [[https://ja.wikipedia.org/wiki/新垣正弘|아라카키 마사히로]]. 주인공 죠셉의 성우도 오키나와 출신인 [[시모지 시노]], [[신가키 타루스케]]로 교체됐다. '''15:18''' 불운(하드 럭)과 춤(댄스)을 췄다고!(ハードラックとダンスっちまったよ)는 질풍전설 특공의 타쿠(疾風伝説 特攻の拓) 라는 만화에 나온 유명한 대사를 패러디한 것. [[https://moto-neta.com/manga/hardluck-dance/|#]] '''15:20''' '''[[후지와라 분타|86은 드라이버를 키우는 차라고!]]''' '''16:53''' '''[[이시카와 고에몽(루팡 3세)|하찮은 걸 베어버렸군....]]'''[* 여담으로 [[나미카와 다이스케|이 대사의 원 주인]]은 8화에서 피피미를 맡았다.] '''19:37''' '''[[큐베|큣뿌이]]''' '''20:33''' "[[잉베이 말름스틴]]!!!!!" ~~어째서?~~ '''22:02''' 피피미가 주문한 요리는 [[앙두예트]] 코르세(L'andouillette corsée). "농후한 앙두예트"라는 뜻으로써, 무슨 요리인지는 항목을 참고하자(...). 한편 포푸코가 시킨 요리는 사라도 오 [[치즈/종류#s-2.18|마로와유]] 쇼(La salade au Maroilles chaud). "마로와유 치즈 샐러드"라는 뜻이다. [[카수 마르주]]급의 괴식은 아니지만 역시 만만치 않은 냄새로 유명한 치즈. 결국 포푸코와 피피미는 이런 음식들을 버티지 못하고 [[라멘]] 체인점으로 가는데, 매장 내에 팝팀에픽 오프닝곡이 흐르고 있다. === 10화 === '''타이틀''' [[긴자]] 호스티스 탐정(銀座ホステス探偵)은 일본 드라마 [[호스티스 탐정 위기일발]](ホステス探偵危機一髪)[[https://ja.m.wikipedia.org/wiki/ホステス探偵危機一髪|#]]의 패러디. 또한 메인 에피소드가 추리물이어서인지 A파트/B파트의 주연성우가 모두 탐정물에 출연한 경력이 있는 성우로 구성되어있다.[* A [[탐정 오페라 밀키 홈즈]], B [[명탐정 코난]]] '''00:10''' 애니메이션 화풍은 [[스튜디오 지브리]]의 [[가구야 공주 이야기]], 악역(?)인 타케쇼보 히코마로는 등장인물은 드라마 [[미토 고몬#s-4]]에서 등장하는 [[http://dic.nicovideo.jp/a/%E4%B8%80%E6%9D%A1%E4%B8%89%E4%BD%8D|이치죠 산미]]의 패러디. 그리고 "숨어 있어도 쓰레기 만화는 냄새로 알수 있다"는 영화 [[야규일족의 음모]][[https://ja.wikipedia.org/wiki/%E6%9F%B3%E7%94%9F%E4%B8%80%E6%97%8F%E3%81%AE%E9%99%B0%E8%AC%80|#]]에서 나오는 [[https://twitter.com/hashtag/%E7%83%8F%E4%B8%B8%E5%B0%91%E5%B0%86%E6%96%87%E9%BA%BF|카라스마 아야마로]]의 대사 "숨어 있어도 짐승은 냄새로 알수 있다"에서 따왔다. '''02:17''' 포푸코가 마시고 있는 건 [[푸딩]]이다. ~~마시는게 아니잖아~~ '''03:03''' A5랭크[* 피피미는 이 고기를 50엔에 샀다고 하는데, 실제로는 ~~당연하지만~~ 그런 가격에 절대로 살 수 없는 고급 고기이다.]급의 쇠고기에 마블링으로 [[팝 팀 에픽|PPTP, ポプテピ]]라고 여기저기 써져있다. '''03:07''' 기본적인 게임 구성과 [[https://www.youtube.com/watch?v=e3pcFij-14g|BGM]]은 [[뿌요뿌요 시리즈|뿌요뿌요]], 배경에 보이는 패널은 [[패널로 퐁 시리즈|패널로 퐁]]이며, 연쇄가 끝나고 난 후는 [[팝픈 뮤직]]의 패러디이다. '''04:01''' [[에네르기파]]의 자세[* 이 또한 [[이나즈마 일레븐]]의 [[가니메데 프로톤]]의 패러디.]로 축구공을 날리면서 "오라 캐논"을 외친다. 오라 캐논은 [[성전사 단바인]]에서 등장하는 오라 병기중 하나....지만, 여기서는 [[파이널 판타지 VI]]에서 [[매슈 레네 피가로]]가 쓰는 장풍계열 필살기의 패러디이다. '''04:34''' 포푸코가 자기가 설치한 함정에 [[와일 E. 코요테|스스로 빠지면서]] "보브! 네! 미미미!"라고 외친다. '''04:53''' 니혼테레비 계열의 드라마, 「화요일 서스펜스 극장」의 [[https://youtu.be/Fu8ME7XH6dY|아이캣치 BGM]]. '''05:29''' [[스포일러|부제]]가 도입부에서 패러디한 가구야 공주 이야기의 부제, 「공주가 저지른 죄와 벌」과 거의 똑같다. '''05:42''' 배경에 보이는 강아지 사진은 스탭이 키우고 있는 [[https://twitter.com/kaopin1000/status/972512484450947072|개]]라고 한다. '''05:43''' 경부의 이름이 히구레(日暮)인데, [[명탐정 코난]]의 [[메구레 쥬조]] 경부 이름(目暮)에서 줄 하나만 지운 거다(...). 성우도 [[챠후린|동일인물]]. 그래서 B파트에서 같은 작품에 출연하는 타카기 와타루와 코야마 리키야가 "히구레래, 이래도 되는거야?"라고 애드립을 치며 낄낄 웃는다. '''05:59''' 여관 숙객 중 다나카라고 매우 수상쩍게 복면을 쓰고 있는 자가 있는데, [[소년탐정 김전일]]의 에피소드 [[이진칸촌 살인사건]]에서 등장하는 렌조 히사히코의 패러디이다.[* 참고로 [[이진칸촌 살인사건]]은 트릭 도용 문제로 애니메이션화 되지 못해서 인지도가 낮다.] 포푸코가 그를 범인으로 지목하면서 "진실은 언제나!"라고 외치는데, 이건 [[에도가와 코난]]의 "진실은 언제나 하나!" 드립. '아레레~(어라라); 드립도 덤으로 나온다. '''06:10''' 여관주인을 비롯한 일부 캐릭터들이 애니메이션판 [[소년탐정 김전일]]풍의 작화로 그려져있다. '''06:55''' 피해자의 [[다잉메시지]]가 오카미, 즉 여관주인을 지목하고 있다. 그리고... '''07:13''' 살인이 일어난 방이 564호실인데, 이걸 [[고로아와세]]로 읽으면 殺し, 즉 살인이란 뜻이 된다. '''07:16''' 음료수자판기의 DoDo는 일본의 음료수 회사인 [[https://www.dydo.co.jp/|다이도 드링코]] 로고를 따라한 것. '''07:38''' 포푸코가 경시청 홈페이지를 해킹해서 조사하는 장면은 [[데스노트]]의 [[야가미 라이토]], 귀를 기울이는 피피미는 [[노노무라 류타로]], 과학 수사중인 포푸코는 [[오보카타 하루코]]의 패러디. '''08:03''' 원작만화에서는 포푸코의 "완전히 이해했어"라는 대사와 더불어 "이해하지 못함"이란 표시가 떴었는데[* 라인 스티커 및 카톡 이모티콘으로도 있는 장면이다], 여기서는 표시도 "완전히 이해했음"이라고 나온다. '''08:04''' 아이캐치에서 문이 닫히고 다시 열리는 장면은 [[명탐정 코난]]의 아이캐치, 용의자와 피해자의 사진이 나열된 장면은 [[소년탐정 김전일]]의 애니메이션 에피소드 시작시의 패러디.[* 이는 김전일 애니메이션에서 File.이 붙는 연작 사건에 한해서 사건 개요를 간략하게 알려주는 형식으로, 사건 시작부터 시작해 사건 종결 에피소드까지 타이틀콜이 나오기 전에 해당 장면이 나온 뒤에 에피소드가 시작된다. 해당 장면에서 사망자는 색을 어둡게 처리하거나, 흑백으로 처리한다.] '''08:53''' ~~1년 남았긴 하지만~~ [[2019년|내년]]이 명탐정 코난 연재 25주년이다. '''10:03''' [[러브 라이브!/애니메이션|러브라이브!]]에서 [[소노다 우미]]가 [[코사카 호노카]]의 뺨을 때린 장면 패러디. ~~성우개그~~ B파트에는 그 소리가 더 우렁차다. '''12:27''' B파트 오프닝에 효과음이 추가된다. ~~압권은 [[네일배트]]로 TV를 내리찍었을 때 지직거리는 배경음악~~ [* 마지막화가 아닌 10화에서 이 연출을 사용하는 건 이 오프닝을 사용하는 마지막 에피소드가 10화이기 때문]. '''15:07''' [[죠죠의 기묘한 모험]] 4부의 스탠드 [[더 핸드]]의 효과음 가온- 그리고 성우 톤은 [[니지무라 오쿠야스]]다. '''15:51''' [[새틀라이트 캐논]]!![* [[타카기 와타루]]의 [[가로드 란]].] 포푸코는 A파트와 마찬가지로 오라 캐논을 외치는데, B파트 포푸코 성우인 [[코야마 리키야]]는 단바인의 후속작인 [[린의 날개]]에서 악역[* 원작 소설판에서는 주인공이었다]인 사코미즈 신지로 역을 맡았었다. '''18:15''' 여기서 포푸코가 [[모리 코고로]]의 추리 헛짚기 대사를 한다. 포프코가 [[모리 코고로]] 성우이기 때문에 성우개그 성립. [* 우습게도 4화에서는 1대 모리 코고로 성우가 피피미 성우로 출연했었다.] '''19:14''' A파트와 달리 킨시쵸[* [[스미다]]구에 있는 [[킨시쵸역]] 주변을 말한다.] 최고의 참견쟁이라고 하는데 킨시쵸의 발음이 [[경시청]]과 비슷해서 치는 드립이다. 자세한 건 [[킨시쵸역]] 항목 참조. '''19:52''' 포푸코가 '경부님께 보고다!'라는 모리 코고로의 단골대사를 모리 코고로 풍으로 말한다. 이미 내려놓은 타카기 와타루가 대놓고 코고로 느낌이 난다고 말한다. === 11화 === '''00:00'''' [[주온(2002)|주온]]에서 원한을 뜻한 온(怨)을 집관(館)자로 바꿨다. '''00:38''' 신발을 신고 춤을 추는 장면은 록 밴드 [[사카낙션]]의 곡 네이티브 댄서 (ネイティブダンサー)의 뮤직 비디오에서 나온 춤과 매우 유사하다. [[https://twitter.com/zzuuunnn/status/975058848057733120|#]] '''00:46''' 2~10화 OP에서 사용된, TV가 박살날 때의 촬영 뒷배경이 잠깐 나온다. ~~의외로 작네~~ '''01:21''' 건배 장면에 나온 캔은 [[하이네켄]][* 에히메켄이라고 되어있는데, A파트 포푸코 성우인 [[미즈키 나나]]가 [[에히메]]현 출신이다], [[산토리]]의 [[스트롱제로]], [[https://www.google.co.kr/search?client=ms-android-kt-kr&biw=412&bih=652&tbm=isch&sa=1&ei=Y6etWq27KoH10gT0yaa4BA&q=kirin+hyoketsu&oq=kirin+hyo&gs_l=mobile-gws-img.1.0.0i19.62126.64439..65933...2....197.1082.0j9..........1..mobile-gws-wiz-img.....3..0j35i39.zgZHrAI4TsU%3D|기린 효게츠]], [[레드불]]이다. 탁자에는 [[프링글스]], [[츄하이]], [[호로요이]], [[가루비]] 감자칩, 그리고 [[수박]]이 놓여져있는데, 겨울인데 어째서인지 있는 수박은 후반에 복선으로 밝혀진다. '''03:03''' [[샤이닝(영화)|샤이닝]]에서 쌍둥이 여자 유령이 등장하는 장면의 패러디. 사실 본편 에피소드는 주온보다는 샤이닝 패러디에 가깝다. '''03:34''' 자동차의 번호가 [[4자 금기|44-44]].... '''05:14''' [[슬래셔 영화]]에서 피해자가 자동차로 도망가려고 할 때 엔진이 시동되지 않는 클리셰. 실제로 B파트의 코멘터리에서도 언급된다. '''05:24''' 액자에 있는 그림은 원작자 [[오카와 부쿠부]]의 [[https://twitter.com/bkub_comic|트위터]] 및 [[https://www.pixiv.net/member.php?id=9948|픽시브]] 프로필 아이콘. '''05:55''' 죽은 주연들의 영혼이 흑백 사진 안에 갇혀 있는 건 영화판 샤이닝의 엔딩 패러디. ~~어째서인지 다들 포푸코/피피미의 표정을 하고 있다.~~ 또한 본편 에피소드의 포푸코와 피피미의 대사는 전부 [[백마스킹]] 처리되어 있는데, 창문 밖으로 지나갈 때의 "아 춥다 추워"로 시작해 아야가 화장실에 있을 때의 대사는 "잠깐, 좀 비켜!", 화장실 밖에 나와서 둘의 유령을 발견할 때는 "어떡할래, 누가 먼저 말걸래? 말해? 말할까?", 레이나가 도망쳐나와 차의 시동을 걸 때는 "그거 기어, 후진으로 돼있다" ~~의외로 친절하다~~ 마지막으로 사진 속에 전원이 갇혀있는 장면에서는 "동료란 좋구나", "그러네, 야구 팀 만들고 싶어", "앞으로 3명 남았네"라고 말하고 있다. ~~더 죽일 생각인가~~ B파트에서는 아저씨들의 수다로 변경.[[https://youtu.be/50FwVCsfttk|역재생 영상]] 리믹스 버전에서는 이 에피소드 부분이 4인방 기준이 아니라 포푸코와 피피미의 대화 중심으로 이루어져 백마스킹 되지 않은 채로 진행된다. '''07:10''' 피피미가 포푸코가 읽는 책이 [[지탄다 에루#s-2.2|신경쓰인다]]면서 나무로 변해버린다.[* 그 대사를 친 캐릭터의 성우는 4화 A파트의 피피미 성우였다.][* 리믹스 버전에서는 실제로 신경쓰인다로 유명한 [[지탄다 에루]]를 맡았던 [[사토 사토미]]가 11화 피피미에 캐스팅 되었다.] 일본어로 "신경쓰인다(気になる)"와 "나무가 된다(木になる)"발음이 きになる로 같은 데에서 따온 [[언어유희|말장난]][* 영어자막판에서는 피피미가 "I would"라고 말한 뒤 나무로 변한다. Would와 Wood가 발음이 비슷하다는 걸 노린 [[초월번역]]]. 나무로 변한 뒤의 도시배경은 [[오사카]]시이다. '''07:35''' 힛코시샤라는 이사짐 센터 회사 [[https://www.youtube.com/watch?v=L_3Ijwh-7lU|광고]] 패러디.[* 이 회사는 현재 야쿠자와 관련된 [[블랙기업]]으로 밝혀져 평판이 매우 안 좋은 상태이다.] '''08:58''' 보브네미밈미는 다른 애니메이션보다 작화 매수가 적다는 지적[* 원작만화에서는 [[복붙]], 애니메이션 3화에서는 [[패러디]] 투성이라는 지적이 있었다]에 감명받은(?) 포푸코가 [[로토스코핑]] 기법으로 그려진 에이사이하라마스코이 춤을 춘다. 춤동작은 보브네미미미 오리지널. '''10:27''' 앞으로 최종화 밖에 안남았다는 상황에 위기감을 느낀 엔딩곡 담당 [[이가라시 히로미|포푸코]]와 [[마츠자키 레이|피피미]]가 [[오카와 부쿠부|원작자]]에게 [[안키라|안○○]]를 더 푸쉬하라며 자신들의 애니 출연을 강요한다. 그리고 결국 12화에서는... '''11:24''' 예고편 줄거리는 별빛 걸드롭 앤솔러지 코믹에 [[https://twitter.com/1192_yakikagen/status/975047492461981696/photo/1|정말로 있는 내용]]이다. 앤솔러지가 복선이었던 셈. '''12:00''' [[지크 지온]] 패러디.[* B파트 피피미 성우인 긴가 반죠는 [[기동전사 건담]]에서 [[기렌 자비]] 역을 맡았었다.] '''13:24''' [[https://ja.wikipedia.org/wiki/BB%E3%82%B4%E3%83%AD%E3%83%BC|BB고로]]라는 예능인이 [[이나가와 쥰지]]흉내를 내며 코멘터리를 한다. 이는 [[파라노말 액티비티]]의 일본어판 DVD특전에서 이나가와 쥰지가 코멘터리 한것의 패러디. 마지막에는 샤이닝 패러디를 눈치채는데, 원작 제목을 언급하지 않으려고 S닝이라고 말하려다가 결국 샤이닝이라고 말해버린다(...). '''20:59''' 아이캐치에서 '자폭, 유폭, 조심하기를'이라는 대사를 치는데 [[장갑기병 보톰즈]] TVA 4화 마지막에 나오는 5화 예고의 대사다. === 최종화 === * A 파트 '''00:00''' 도입부는 [[세가 새턴]]의 기동화면으로, 정품인증이 통과된 상태를 패러디했다. '''00:11''' 전설의 [[쿠소게]], [[데스크림존]]의 [[https://www.youtube.com/watch?v=aRmtQFC02wo|오프닝]]. B파트에서는 지금은 유명해진 "위에서부터 온다, 조심해!"[* 원작 게임에서는 해당 계단이 개방되어 있어 올라갈 수 있었지만, [[https://twitter.com/chiemin1063/status/977583024874299392|지금은 폐쇄되어 있어 올라가지 못한다.]]]. "뭐지, 이 계단은?". "모처럼이니까 난 이 빨간 문을 고르겠어!" 대사가 나온다.[* A파트에선 [[세가 새턴]] 부팅로고까지 흉내냈다.] 참고로 이 쿠소게를 제작한 [[에콜]] 소프트웨어는 최종화 스탭롤에 '''제작 협력'''으로 회사명이 올라와 있다. '''01:16''' 1화에서 이어지는 [[제레]] 패러디. BGM은 [[환타지아(애니메이션)]]에서도 사용된 [[모데스트 무소륵스키]]의 교향시, 「민둥산의 하룻밤」. "푸아송 모르텔[* Poison Mortel, 프랑스어로 치명적인 독이란 뜻.]", "니힐리티 파스[* Nihility Farce, 영어로 허무한 희극이란 뜻.]", "쉬링커 세데이션" 등 [[중2병]] 쩌는 명사들은 덤이다. 그리고 B파트에서는 말투가 다양한 사투리로 바뀌고, 연기 톤도 바뀌어서 위원회들도 성우가 바뀐거 같지만 실제로는 A파트와 동일한 성우이다. '''03:06''' 위원회가 원래 계획했던(?) 팝 팀 에픽 애니메이션의 모습이 나온다. [[주문은 토끼입니까?/애니메이션|주문토끼]], [[블렌드·S/애니메이션|블렌드·S]] 애니메이션의 캐릭터 디자인을 담당했던 [[오쿠다 요스케]]가 그렸다. '''03:38''' 햄릿의 사신이라는 자객들의 복장이 [[은하영웅전설]]의 [[은하제국(은하영웅전설)|제국군복]]이다. 그리고 방송이 끝난 뒤 은하영웅전설 신작의 광고가 나온다. '''04:10''' 자객 중 한명이 [[야무치]]의 사망 포즈로 쓰러져있다. '''04:26''' 애니메이션 선전 포스터로 쓰이던 장면이 나온다. 그 포스터는 카미카제 동화의 [[https://myanimelist.net/anime/34167/Cocolors|Cocolors]]란 애니메이션 영화의 포스터를 패러디한 것이기도 하다. ~~정작 팝 꼭지는 스페이스 네코 컴퍼니가 제작~~ '''04:36''' [[Fate/Grand Order|어느 평범한 모바일 게임]]의 카드 합성.--정작 그 게임에는 강화 실패가 없다-- A파트에서는 [[키위(과일)|키위]]가 나오지만[* 뜬금없이 키위가 나오는 이유는 포푸코가 화났을 때의 눈동자 디자인이 [[키위(과일)|키위]]의 단면도에서 따왔기 때문이다~~아니 이것도 뜬금없어~~.] B파트에서는 그냥 피피미가 나온다. '''05:07''' 보브네미미미는 지금까지 A파트 B파트의 내용이 바뀐 적이 거의 없는데[* 7화에서 목소리를 서로 바꾼 적은 있다.] 이번에는 A파트 B파트 내용이 완전 다르다. '''05:33''' 영화 [[인터스텔라]]에서 등장하는 [[블랙홀]], [[인터스텔라/천체#s-2|가르강튀아]]. '''05:41''' [[집 보는 에비츄]]의 주인공인 에비츄 패러디.[* 마침 해당화에서 피피미를 맡은 [[미츠이시 코토노]]가 에비츄의 담당 성우다. 다만 여기서는 비슷하게 생긴 [[햄토리]] 성우인 [[마미야 쿠루미]]가 연기했다.] 특유의 유아같은 말투도 재현해놨다. '''06:08''' 리본과 머리모양은 [[쿈코]]와 [[스즈미야 하루히]] 패러디. '''06:16''' 영화 [[시스터 액트]]에서 찬송가 [[https://www.youtube.com/watch?v=ctjG4MjJwEA|하늘의 여왕]]을 부르는 장면 패러디. 가사 "할렐루야"에 맞춰 "죽여버린다"라고 부른다.[* [[안키라|안◯◯]]가 전반부에서 노래를 맡았지만, 이들이 11회 전반부 끝에서 크레딧이 뜰 때 황급히 요구한 건 일반적인 포푸코와 피피미 배역이었기 때문에... 12회 전반부의 크레딧에서는 1회~6회의 닫는 노래가 대신 흘러나왔지만, 사운드트랙 앨범에 실린 [[안키라|○키○]]의 여섯번째 수다(?)에서는 본편에 목소리 출연을 못해서 아쉬워하는 내용이 나온다. ([[안키라|○○라]]가 나온 건 [[오카와 부쿠부|작가]]가 팬이라서 그렇다)] '''07:32''' [[닥터 슬럼프]] 주인공인 [[노리마키 아라레]]의 필살기(?)인 지구 쪼개기. '''07:32''' [[닌자 슬레이어]]의 [[인살어|야쿠자슬랭]]. '''08:08''' 폭발화염에 포푸코에서 피피미로 변하는 얼굴이 살짝 보인다. '''08:13''' [[타케쇼보]]의 직원 중 한 명이 [[올가 이츠카|단장]]의 사망 포즈로 쓰러져있다.[[https://www.youtube.com/watch?v=cqSmP2HCOug&feature=youtu.be&t=102|#]] '''08:21''' [[츠키노 우사기|'''정의의 이름으로 널 용서치않겠다!''' (달을 대신해 벌해주겠다!)]] 근데 정작 그 대사의 [[미츠이시 코토노|주인]]은 피피미 성우이다.[* 여담으로 포푸코 성우인 [[코야마 마미]]는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 Crystal|같은 작품]]에서 [[퀸 세레니티]]의 성우도 맡았지만, 마법소녀 장르의 대선배격이라 할 수 있는 [[밍키모모]]의 성우이기도 하다.] '''08:30''' 직원이 말한대로 타케쇼보는 이 애니메이션 제작에 한푼도 출자하지 않았다. ~~덕분에 내용상 엄청 디스당했지만 공짜로 홍보도 되었으니 이득?~~ '''08:50''' [[기동무투전 G건담]]의 아이캐치. A파트는 [[샤이닝 건담]], B파트는 [[갓 건담]]이다. '''08:56''' [[킹 레코드(일본)|킹 레코드]]에 쳐들어가는 포푸코와 피피미.[* 타케쇼보 본사는 실제 건물의 모습 그대로 그렸지만 킹 레코드는 마왕성 같은 가상의 건물로 그려져있다.~~자기네들 건물은 밝히기 싫은건가~~ 실물 매체 (DVD, 블루레이) 3부의 표지에 킹 레코드의 실제 본사가 나오긴 하다.] 이 때 BGM으로 [[모차르트]]의 [[Dies irae|진노의 날]]이 나오는데, 이는 [[신세기 에반게리온]]에서 [[나기사 카오루]]가 [[터미널 도그마]]로 향할 때 [[교향곡 제9번(베토벤)|환희의 송가]]가 BGM으로 사용된 것과 비슷하다. '''09:00''' 문에 걸린 자물쇠는 [[역전재판 시리즈]]의 [[사이코 록]]. '''09:01''' 벽을 박살내면서 하는 대사가 각각 다르다. A파트에서는 각 성우가 맡은 대표 캐릭터를 어필하는 [[노리마키 아라레|'''응챠''']]와 [[카츠라기 미사토|'''서비스 서비스!!!''']][* 각 성우 본인 것이 아닌 상대방 성우의 대표 대사를 했다.], B파트에서는 포푸코가 "우아하게"라고 말하며 문을 박살내는데, 이는 [[토오사카 가문]]의 가훈인「어떤 때에도 여유롭고 우아하게」를 줄인 말이다[* [[Fate/Grand Order]]의 예장 카드로도 존재한다.]. 당연하게도 피피미는 [[코토미네 키레이|'''유열''']]이라고 말하며 박살낸다. '''09:04''' [[이카리 신지|'''목표를 센터에 넣고 스위치...''']][* 참고로 신지의 성우인 [[오가타 메구미]]는 트위터에서 스케줄 문제로 [[팝 팀 에픽/애니메이션|팝 팀 에픽]] 녹음에 참가하지 못했다고 [[https://twitter.com/Megumi_Ogata/status/960831920681623552|밝힌 적]]이 있다.] 포푸코가 기관총으로 사용되는 건 [[https://www.youtube.com/watch?v=5KWTAq3GkfA|자기 애완 고양이로 기관총을 흉내낸 한 남자의 유튜브 동영상]]에서 따왔다. '손과 손을 맞대고, 행복'이란 대사는 '하세가와'라는 불단 전문 회사의 광고에 나오는 대사이다.[[https://youtu.be/Zw4-KzIcubQ|*]] '''09:05''' 킹 레코드의 경비병들 디자인이 [[젠트라디]]와 흡사하다. B파트에서는 경비병들의 비명 사이에 앞서 나왔던 햄토리의 비명이 섞여 있다. '''09:37''' [[메트로이드]]의 [[마더 브레인(메트로이드 시리즈)|마더 브레인]]...인데 소뇌가 좀 [[고환|엄한 모습]]을 하고 있다. 위원회가 뇌에 흡수되면서 외치는 "[[신성 브리타니아 제국|올 하일]] 스타차일드!"에서 "스타차일드"는 과거 킹 레코드 내부에서 애니메이션 음악을 담당한 레이블을 말한다. 현재는 킹 레코드 레이블로 통합된 상태. '''09:45''' 킹 레코드 건물이 [[귀암성]]처럼 변한다. 자칭 [[아카식 레코드]]. B파트에서는 합체한 위원회들의 목소리 싱크로가 맞지 않아 뭐라 말하는지 듣기가 힘들다. '''09:50''' [[슈퍼로봇대전 BX]]의 [[황금신 스페리올 드래곤|나이트 스페리올 드래곤]]의 연출을 완벽히 따라했다. [[https://twitter.com/mad_blossom_luc/status/977649020226084865?s=09|슈퍼로봇대전 BX와 팝팀에픽 패러디 비교]] '''10:17''' [[메탈마리오|'''잇츠미!!!''']] '''10:51''' [[아오이 쇼타]]가 피겨 스케이트 포즈로 달려오는 것은 [[킹 오브 프리즘]]의 [[키사라기 루이]]역의 성우 패러디. * B 파트 '''13:44'''~~ [[오박사(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핏! 피X카츄!''']], [[닥트리오|No.51이라고 하면 그래~ 닥ㅌ-..]] ~~ '''14:49''' 블루레이 첫주 판매량이 고작 4천장이라고 위원회가 불평한다.[* 요즘 시장에서는 잘 나온 편이다.] '''15:30''' ~~오오~! 그 햄릿의 사신[[포켓몬|포X몬]]이!?~~ '''17:30''' [[방가방가 햄토리]]의 주인공인 햄토리 패러디. 성우도 [[마미야 쿠루미|동일인물]]이다. 말투인 "헤케"와 "~것이다(~のだ)"도 재현해 놨다. '''19:50''' [[솔 배드가이|'''그랜드 바이퍼!!!''']] '''20:18''' "보이, 어른을 약올리면 안된다고"는 [[근육맨]]의 등장인물인 [[테리맨]]의 명대사. [[왕위쟁탈전]] 에피소드에서 하야미 쇼가 테리맨의 성우를 맡았었다. '''20:52''' '''[[코토미네 키레이|유열]]''', '''[[토오사카 토키오미|우아하라]]''' '''21:00''' [[메이드 인 헤븐(죠죠의 기묘한 모험)|'''메이드 인 헤븐!!!''']] 포푸코와 피피미 성우 [[하야미 쇼]]와 [[나카타 조지]]는 둘 다 [[엔리코 푸치]]의 성우를 맡은 적이 있다[* 전자는 [[죠죠의 기묘한 모험 All Star Battle|ASB]], 후자는 [[죠죠의 기묘한 모험 Eyes of Heaven|EoH]]][* 해당 애드립은 나카타 조지가 제안한 것이라고 한다. 하야미 쇼도 흔쾌히 받아들였다고 한다.[[https://twitter.com/joujinakata123/status/977695120840470528?s=19|트윗]].]. '''22:07''' 참고로 하야미 쇼와 나카타 조지는 [[용자 시리즈]]의 [[용자 엑스카이저]], [[전설의 용자 다간]], [[용자성전 반간]]의 주역 메카 역할을 맡은 적이 있다. '''22:21''' A파트에서 죽었던 피피미가 멀쩡한 이유는 아오이 쇼타가 [[루프물|시간을 되돌렸기 때문이다]]. 복선 회수. '''22:37''' 주연 캐스팅에 포푸코역으로 [[타카다 유우키]]와 피피미역으로 [[하타 사와코]]가 끼어들어있다[* 하타 사와코는 3화에서 아이돌 단역으로 등장한 적이 있긴 하다]. 둘은 상기에도 언급된 카미카제 동화의 Cocolors에서 주연을 맡았는데, 해당 영화 앞에 붙은 팝 팀 에픽 영상에서도 목소리를 맡은거라 한다. '''22:54''' [[아오이 쇼타]]가 '''자기 자신'''의 가면을 쓰고 있다. 여담이지만 아오이 쇼타가 입고 있는 복장은 2018년 [[일본 무도관]]에서 [[미즈키 나나]]와 공연할 때 착용한 옷이다. 그리고 방송이 끝나자마자 바로 아오이 쇼타 새 싱글의 광고가 흘러나왔다. '''23:25''' 별빛 걸드롭 2기 제작이 발표된다. 그리고 [[팝 팀 에픽(애니메이션 2기)|3년 뒤...]] '''23:50''' 그런 거 없다. === 만우절 스페셜 13화[* 만우절 스페셜은 방송국별로 포푸코와 피피미의 성우를 바꾸는 기행(...)을 저질렀다. 각각 청룡, 주작, 현무, 백호의 4가지 버전이 존재.] === '''00:14''' 한 남자가 피피미를 보고 [[오오바리 마사미|바리해졌다]]라 지적하고 포푸코가 부정하는데... 정말로 오오바리 마사미가 그렸다. [[https://twitter.com/G1_BARI/status/1113103569010319360|오오바리 본인이 인증한 콘티]] [* 그래서인지 도입부에 누가 담당했는지가 ????로 표시되어 있다.][* 오프닝 크레딧에서 오오바리 마사미가 슈퍼바이저가 아니라 슈퍼'''바리저'''로 나온다.] 그 다음에 나오는 로봇물 패러디 오프닝은 오오바리가 담당했던 작품들의 향연. '''00:35''' [[마법기사 레이어스(TVA)|마법기사 레이어스 TVA]] 1기 오프닝. '''00:48'''에 나오는 타케쇼보 건물도 마찬가지로 레이어스 오프닝의 자가토 패러디이다. '''01:12''' 오오바리 마사미하면 빠질 수 없는 [[용자검법]]. '''02:04''' 푸드트럭이 등장하기에 마치 뭔가 먹을 걸 파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케보란 [[이케멘]] + [[목소리|보이스]]합성어이다. 쉽게 말해 꽃미남 목소리. 이케멘 보이스가 여성들한테 주로 먹히는 소재다보니 A파트는 감미로운 목소리로 두근거리게 하는 식으로 연기했고, B파트는 [[섹드립]]을 치는 뉘앙스로 연기했다. '''-청룡 버전''' : A. "버터, 감자"를 멋지게 말한다. / B: "다진, 버섯(なめこ, おろし)"를 느끼한 목소리로 속삭인다. '''-주작 버전''' : A. "粒合の, にぎり"라고 하자 포푸코가 호오~하며 음흉하게 웃는다. / B. 피피미가 귀를 대보라고 한 뒤 "이케바나, 보케이"라는 말과 함께 '''알지?'''라고 말하자 포푸코도 뭔가 알아챈듯 음흉하게 웃는다. '''-백호 버전''' : A. "[[바나나]], [[머핀]]"을 끈쩍이는 목소리로 말했다. / B. A파트와 연기가 비슷한데 대사가 "바나나, '''[[망고]]'''"로 바뀌었다. 이 두 과일이 좀 엄한 의미로 쓰인다는 점이나 이 말을 들은 포푸코가 음흉하게 웃는 걸 보면 노린 듯. '''-현무 버전''' : A. 이쪽은 A파트도 섹드립을 쳤는데 피피미가 "'''젖은''', [[센베]]"라고 하자 포푸코가 "저, 젖어..?"라며 말을 더듬는다. / B. "[[고추잡채|'''고추''', 잡채]]"에서 [[고추|앞부분]]을 강조하자[* 원문은 チンジャオロース(친쟈오로스)인데 "'''친''', 쟈오로스"로 끊어읽었다. 친은 일본에서 '''[[거시기]]'''를 부르는 속어.(...)] 포푸코가 킥킥거린다. '''03:00''' NTV의 유명프로그램이었던 [[엔타노카미사마|エンタの神様(엔타노가미사마)]] 의 등장인물 소개신 '''03:09''' [[https://www.youtube.com/watch?v=FQKMonrT0hc|아르바이트 사이트 광고]]에 출현한 적이 있다고 언급한다. 해당 사이트의 이름은 an인데, 경쟁사인 타운워크의 캐치프레이즈를 포푸코가 말하다가 제제를 받는다. '''03:53''' 자신을 신앙하라면서 포푸코한테 권총을 내미는 건 [[크툴루]]. 현무버전에서 중간에 캠프해라 라거나 캠프파이어를 외치는건 성우들이 주연으로 나왔던 [[유루캠]] '''04:36''' [[람보(영화)]]의 후반부 패러디. 피피미 대령이 난동을 핀 포푸코를 설득하는데, 유독 주작 버전에서만 [[하나자와 카나]]]의 촌스러운 사복 센스를 셀프 [[패션 테러리스트|디스]](한다. 현무버전에서는 콩트 종료시의 멘트가 [[유루캠|산기슭에서 캠프하고 싶다고..]] '''04:40''' 배경의 보안관 중에 [[마피아 카지타]]가.... '''07:21''' 피피미가 [[언더테일]]의 [[메타톤]] 포즈를 취하며 나타난다. '''07:44''' [[E.T.(게임)]] 타이틀 화면.[* A파트에는 포푸코, B파트에는 피피미가 나온다] 참고로 이 파트부터는 노래가 끝날때까지 리듬에 맞춰서 동작을 하거나 기합을 내는데, 이는 [[리듬 세상]] 패러디.[* 아예 타이밍에 맞춰 동작을 하는 파트도 있다.] '''07:46''' [[퐁]] '''07:52''' 화면 구성은 [[드래곤 퀘스트]][* 실제로 사용가능한 주문 중에 [[호이미]]...가 아니고 포이미란 선택지가 있다], "어른도 아이도, 누나도"라고 나오는 가사는 [[마더 2]]의 캐치프레이즈이며, 플레이어 이름으로 등장하는 미나미, 시바, 아이네, 미사는 [[별을 보는 사람]]의 등장인물들이다. '''07:58''' [[제비우스]][* 무기도, 잔기 표시도, 심지어는 나무조차 [[뻐큐|중지를 치켜든 손]] 모양이다.] '''08:00''' [[소닉 더 헤지혹]]. 가사는 [[용호의 권 시리즈|100메가 쇼크]]. '''08:03''' [[록맨 X]] '''08:06''' [[스트리트 파이터 2]]. 가사는 [[카유우마|카유우마이]] '''08:09''' [[봄버맨 시리즈]] '''08:12''' [[클락 타워]]. "뭘해도 절망"은 [[사혼곡: 사이렌]]의 캐치프레이즈인 "[[아무리 발버둥쳐도 절망]]"의 패러디이며, 동시에 나오는 가사는 [[엘 샤다이(게임)|괜찮아, 문제없어]]. '''08:15''' [[버추어 파이터]] '''08:18''' [[팝픈뮤직]], 캐릭터들이 추는 춤은 [[VIP 선생]] '''08:20''' [[록맨 8]] 프로스트맨 스테이지. '''08:24''' [[QWOP]]. 가사는 [[완다와 거상]]의 캐치프레이즈 '최후의 일격은 안타깝다(最後の一撃は、せつない)'의 패러디로, 차이는 '최후의'(最後の)를 '마지막'(終わり)으로 바꾼 정도. '''08:26''' 화면구성은 [[마인크래프트]], 대사창은 [[반조-카주이]]. 피피미의 대사인 ゆゆうじょうパパワー는 신대학원 환광록에서 캐릭터 둘이 합체기술을 쓸 때 하는 대사[* '우정파워'라고 대사를 외치는데 둘의 타이밍이 약간 어긋나는 바람에 '우우정파파워'가 되어버렸다.]이고 포푸코의 대사인 テキストがまだない(텍스트가 아직 없다)는 [[니폰이치 소프트웨어]]의 게임 나락의 성에서 나오는 버그. 둘 다 [[PS2]]로 발매되었다는 것과 [[KOTY]] 후보라는 공통점이 있다. '''08:28''' [[퍼즐앤드래곤]]의 가챠 화면. "지금 당장 지워라"는 [[진 여신전생]] SFC판에서 65535분의 1확률로 나온다는 도시전설이 돌았던 "당장 꺼라" 패러디. '''08:33''' '''[[야가미 이오리|달을 보면서 생각해라]]'''[* 정확한 승리대사는 "달을 볼 때마다 생각해라"이다.] '''[[후하 진|대단한 사나이다]]''' '''08:36''' 가사는 [[인도인을 오른쪽으로]]. '''09:27''' 포푸코가 있어야 할 자리에 [[404 Not Found|404]]라고 나온다. '''10:16''' [[도라에몽]]의 도구 걸리버 터널. 터널을 통과하면 작아졌다 원래대로 커졌다 하는 도구인데 여기서는 압축기마냥 압축돼서 나온다. '''10:28''' [[사자에상]]의 엔딩 '''11:39''' [[https://youtu.be/2cilUkfw2JE?t=232|파이널 판타지 XV 오프닝 장면]]. '''[[스퀘어 에닉스]]'''의 협찬까지 받아서 만들었다. '''19:35''' [[스페이스 인베이더]] '''19:45''' [[큐버트]] '''19:50''' [[꾸러기 닌자 토리|닌자 핫토리군]]의 패미컴 게임, "닌자 핫토리군 ~ 닌자는 수행해야 됩니다의 권~"의 보너스 스테이지. 여기서는 [[도라에몽|도라야끼]]를 먹고 있다.[* 원작에서는 아령을 피하고 오뎅을 먹어야 된다.] '''19:53''' [[사가 시리즈]]의 게임보이 판 2번째 작품인 "Sa.Ga2 비보전설". "네가 제일 못생겼어!"도 해당 게임에서 주인공이 하는 발언이다. '''19:56''' [[파이널 파이트]]의 컨티뉴 스크린. 원작에서는 구형 폭탄이 아닌 다이너마이트 뭉치로 나온다. '''19:59'''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 선택지 중에 있는 "42TH존"은 [[선소프트]]의 '아틀란티스의 수수께끼'에 나오는 즉사구간인 "42th Zone"을, "죽어죽어 빔(しねしねビーム)"은 1세대 [[포켓몬스터]]에서 퀴즈머신의 문제였던 "기술머신28은 [[구멍파기|죽어죽어빔]]인가?"에서 따왔다. '''20:00''' [[죠죠의 기묘한 모험(SFC)]]에서 Dio의 [[무다무다]]가 우다우다로 들리는 [[몬더그린]] 패러디. '''20:02''' [[https://www.youtube.com/watch?v=KIsJCMtqJQM|일본에서 pc에 기본으로 설치되어 있던 에어하키 게임]]. "당신은 포푸왕을 쓰러뜨렸습니(あなたはポプ王を倒しまし)"는 'Wild Animal Sports Day'란 게임에서 나오는 "당신을 악어 왕을 쓰러뜨렸습'''니'''"에서 따왔다. '''20:05''' 80년대 세대라면 친숙할 [[https://www.youtube.com/watch?v=k94etWNjHis|가위바위보 게임]] '''20:08''' [[컵헤드]] '''20:14''' [[四八(仮)]]의 [[https://youtu.be/2ciCURJ7SbI?t=130|히바곤 에피소드]][* 해당 에피소드 플레이중에 버튼을 연타하면 바로 엔딩을 볼 수 있는데 여기서 나오는 コッ...エーボクノ......完는 일본에서 네타화 되었다.] . 실사 피피미 역을 맡은 건 본 파트 애니메이션을 담당한 Spe3 [[https://twitter.com/chiemin1063/status/1113063403981955074|본인]]. 니코니코동화(주작)버전 한정으로 [[디디디 대왕/애니메이션|디디디 대왕]][* "ZOY! [[에스카르곤|에스카르…]]"라고 하는 대사] '''20:16''' [[델타룬]] '''20:18''' [[https://www.youtube.com/watch?v=tOEyehYBrT0&t=|움직이는 메모장]] '''20:30''' [[스매시브라더스 시리즈]]의 "~가 참전!" 장면 패러디. '''20:35''' 페스트 노즈는 프랑스 북서쪽의 [[브르타뉴]] 지역에서 매주말마다 열리는 켈트 민족의 전통축제이다. 주말에 열리는 만큼 교회예배일하고도 겹치는데, 포푸코는 그걸 인지 못하고 계속 음악에 맞춰 전통춤을 춘다는 내용. === 만우절 스페셜 14화 === '''00:01''' 오프닝 배경에 나오는 집들 중에 [[https://youtu.be/OPgXj-SPCpM?t=80|사자에상 ED]]에 나오는 집이 보인다. '''01:25''' "히야시두부와 히야시얏코의 차이는 크기뿐"이라는 피피미의 잡지식에 포푸코가 연타하는 건 [[트리비아의 샘]]에서 등장하는 "헤에~" 버튼이다. '''03:03''' [[육법]]전서[* 여기서는 六法全書가 아닌 ろっぽー全書라 나온다]는 헌법, 민법, 상법, 형법, 민사소송법, 형사소송법을 수록한 서적이다.....는 요약하자면 드라마 [[리갈 하이]] 오프닝 패러디. '''03:03''' [[프리티 사미|쥬게무 쥬게무]][* [[프리티 사미]]의 OVA판 변신주문 앞부분이며('''ジュゲームジュゲーム'''ゴコウノスリキレー サミーデービスブロイラーチキン), TV판이랑 주문이 다르다.] 캐논![* 현무버전 한정 애드립] '''03:28''' 핀란드의 듀엣 그룹 Armi Ja Danni의 [[https://www.youtube.com/watch?v=slGLYt3--GY|I Want to Love You Tender]] MV[* 일본에서는 ''''구린 mv''''로 유명한 영상이다.]. '''03:59''' 유명 작품 패러디하면 검열당한다고 불평하면서 5화의 도입부 장면이 나온다. 상기에도 나오지만 그 장면에서 패러디하려고 했던 건 [[증기선 윌리]]... '''04:50''' '''[[가르마 자비|팝팀에픽에 영광 있으리!!!]]''' '''05:29''' [[프리티 사미|쥬게무 쥬게무]] 레저렉션! [* 현무버전 한정 애드립] '''05:45''' [[캡틴 츠바사]]에서 타치바나 형제의 필살슛인 "스카이러브 허리케인"을 막기 위해 타키 하지메와 키스기 텟페이가 골대 위로 올라간 장면--반칙 아닌가--. '''12:30''' [[켄시로|가슴에 북두칠성 모양의 흉터가 있는 사나이]]... '''13:13''' [[히이로 유이|너를 죽이겠다]][* 현무버전 한정으로 포푸코 성우인 [[미도리카와 히카루]]의 애드립] '''14:31''' [[히이로 유이|제로는 아무것도 말해주지 않아...]][* 현무버전 한정 애드립] '''14:41''' [[보보보보 보보보|코털진... 아 빨리 나와!]][* 현무버전 한정 애드립] '''19:02''' "서, 설마, 손공이냐!?" [* 히텟만의 [[치트버그]] 영상 시리즈(1화 주석 참조)의 [[드래곤볼Z 초사이어인전설]]. [[피콜로(드래곤볼)|피콜로]]의 "설마! 손오공이냐!?(まさか!ソン・ゴクウか!?)" 라는 대사에서 손오공이 손공(ソン・ウ)으로 버그가 났다. 일본 쪽에서도 한글로 번역된 것을 네타로 쓸 때도 있는데 번역기를 돌린 건지 "설마, 성·우인가!?"라는 의미불명의 발음을 쓰고 있다.][* 현무버전 한정으로 피피미 성우인 [[코야스 타케히토]]의 애드립] '''19:52''' [[히이로 유이|나는 죽지않아!]][* 현무버전 한정 애드립] '''20:48''' '''[[브로리|1인용 포드로 말이냐?]]'''[* 피피미 성우인 [[시마다 빈]]의 애드립(청룡버전 한정)] '''21:08''' [[그리드맨|이것이... 한 있는 목숨의 힘이다!]][* 현무버전 한정 애드립] '''21:09''' '''[[카미유 비단|수정해주겠어!!!]]'''[* 포푸코 성우인 [[토비타 노부오]]의 애드립(청룡버전 한정)] == [[팝 팀 에픽(애니메이션 2기)|2기]] == ※애니플러스 공식 영상 기준으로 시간대 작성 === 1화 === '''00:47''' 1기 14화 스토리에서 이어지는 형식으로 [[아오이 쇼타]] 주연의 'Endless love'라는 이름으로 특촬 히어로 스타일의 오프닝이 시작된다. 오프닝 영상 출연 배우 중에 [[가면라이더 히비키]]와 [[가면라이더 덴오]]에 출연한 [[나카무라 유이치(배우)|나카무라 유이치]]도 있다. 오프닝 타이틀의 등장연출은 [[가면라이더 덴오]]및 [[가면라이더 드라이브]]와 비슷하며, 아오이 쇼타가 착용하는 변신 벨트는 디자인은 포푸코의 얼굴을 베이스로 버클 하단의 입을 제외하고 [[가면라이더 BLACK RX]]의 선라이저와 닮았다. 시계 모양 아이템은 [[가면라이더 지오]]의 [[라이드워치]]를 연상케 한다. 이 영상의 감독은 현재 여러 특촬 시리즈에서 활약 중인 [[사카모토 코이치]]가 담당했으며, 히어로 슈트 조형은 [[토에이]] 특촬물의 슈츠 조형을 담당하고 있는 레인보우 조형이 맡았다. * 오프닝 배역 아오이 쇼타 役 / [[아오이 쇼타]] 타임 패트롤 대장 役 / [[나카무라 유이치(배우)|나카무라 유이치]] 수수께끼의 소녀 役 / [[사이바 미즈키]] 히로인 役 / [[모로호시 스미레]] 아저씨 役 / [[에바라 마사시]] '''04:28''' 포푸코의 발소리는 [[기동전사 건담]] 시리즈에 등장하는 양산형 모빌 슈트들의 구동음을 패러디. 직후의 병원 신에서, "이 아이, 발소리가 양산형이에요."는 이것을 의미한다. '''04:42''' 포푸코의 동작은 실존하는 [[프로레슬링]] 기술인 '토르베지노'. '''04:48''' 포푸코와 피피미가 무지개를 타고 활강하는 장면은 [[꿈의 라이브 프리즘스톤]]에 등장하는 [[린네(꿈의 라이브 프리즘스톤)|린네]]의 패러디로 추정된다.[[https://twitter.com/maskedridernile/status/1576321872311951361|#]] '''07:57''' 배경 부스가 [[올 나이트 닛폰]]. '''08:47''' 아이캐치 타이틀이 [[스퀘어 에닉스]]로 바뀌면서 [[초코보]]를 소재로 영상이 등장한다. 참고로 이 장면은 엔딩 스탭롤에 공식 콜라보라는 표기가 있으므로 패러디가 아니다.[* 만일 패러디였으면 초코보를 자체 모자이크로 처리했을 것이다.][* 애니플러스 번역에선 '초X보'라고 검열했다.] '''09:11''' 때는 배경에 [[모그리]]도 등장한다. 왼쪽 아래의 애니메이션은 'FF5 맘보 de 초코보' 싱글CD의 [[https://twitter.com/Yoshikawa1024/status/1576316473408360448|띠지]]를 패러디한 것이다. '''08:49''' [[블레어 위치]]를 비롯한 페이크 다큐 형식의 공포영화의 클리셰를 패러디. '''09:25''' [[슈퍼맨]]의 패러디. '''11:17''' 성우 뒷풀이 코너의 왼쪽 위 타이틀은 [[쿠로야나기 테츠코|테츠코의 방]]을 패러디한 것. B파트의 같은 코너에서는 [[https://www.asahi.co.jp/shinkon/|신혼씨 어서오세요!]]의 패러디 타이틀로 바뀌어있다. 애니플러스에선 각각 [[아침마당]]과 [[대국민 토크쇼 안녕하세요]]를 활용하여 번역했다. === 2화 === '''00:49''' [[피안도]] 시리즈의 통나무. '''00:58''' [[문워크]] '''01:13''' [[십걸집#s-3|십걸집 달리기]] '''02:04''' [[픽사 애니메이션 스튜디오#s-1|픽사 로고]] '''02:30''' [[샤이닝 핑거|핑거─!!]] '''05:08''' 일본의 제약회사 '어스 제약'에서 실제 판매 중인 [[https://www.earth.jp/nomat/lineup/|어스 노매트]]의 콜라보 코너. 1화의 초코보와 마찬가지로 패러디가 아니다. '''05:46''' 1기 13화 오프닝에서 이어지는 장면으로 [[오오바리 마사미|오바리 마사미]] 작품에서는 최종 결전의 무대로 달이 자주 등장한다. '''05:54''' [[킹 레코드(일본)|킹 레코더]]의 성우가 [[하야미 쇼]]. 하야미 쇼는 다수의 용자물과 오바리 작품에 출연한 바 있는데, 이로 인해 B파트 한정으로 [[시시오 가이|용자왕 가오가이가]]와 [[듀크 파이어|용자경찰 제이데커]]라는 조합이 성립된다. '''06:11''' [[용자검법]]. 그 뒤에 거의 수직으로 날아올라 적을 향해 돌진, 폭발을 뒤로 한 채 마무리 포즈를 잡는 것까지 오바리 작품에 단골로 등장하는 시퀀스이다. '''08:53''' [[그레이트 합체]]. 풀버스트 시의 모습은 [[그레이트 다간 GX]]를 닮았는데, 다간의 일본 성우가 하야미 쇼였다. '''10:48''' 엔딩에서 내부 설계도가 나오는 연출은 [[마징가 Z]], [[마징카이저]]의 엔딩에서 나오는 연출이다. '''11:18''' 일본의 버라이어티 방송 [[https://www.ntv.co.jp/hirunan/|점심입니다!]]를 패러디. 애니플러스에서는 [[2TV 생생정보|생생 정보통]]을 활용하여 번역했다. '''23:10''' 팝팀에픽 2기 대신 구입할 만한 것으로 히야마 노부유키는 [[츠바키 산주로]]를, 모리카와 토시유키는 본인이 대표 이사로 있는 [[액셀원]] 소속의 [[미나세 이노리]]의 CD를 말한다.[* 미나세 이노리의 음반 레이블은 [[킹 레코드(일본)|킹 레코드]]라서 사실 어느 것을 사든 킹 레코드가 이득이다.] === 3화 === '''02:52''' [[도라 디 익스플로러]]를 메인으로 패러디 하면서 영어 교육용 애니메이션의 정형적인 패턴을 보여준다. B파트에선 우치다 유우마가 실제 영어 교육용 자료처럼 발음까지 신경 써서 영어 문장을 말한다. '''06:23''' [[미하마 치요]]의 탈착형 양갈래 머리. '''06:56''' 슈퍼맨 메인 테마를 패러디. '''07:07''' 피망과 피피맨의 발음의 유사성을 이용해 피망을 싫어하니 피피맨도 그만둔다는 개그. '''07:15''' [[나나치]][* 성우도 동일한 [[이자와 시오리]]다.]가 직접 나와 맛있는 음식 랭킹에 나온 음식을 먹고 뿅 가는 모습을 보여준다. '''08:41''' 과거 일본 예능에서 자주 하던 기상 몰래카메라. '''09:06'''에 나오는 피피미의 대사는 A파트 피피미 성우가 [[나옹(로켓단 삼인방)|나옹]]의 담당 성우인 것을 이용한 성우개그이다. '''09:15''' 3D 게임에서 곧잘 발견되는 T자 포즈 버그의 패러디. '''09:30'''에서는 물리 엔진 버그를, '''09:33'''에서는 그런 버그들의 대명사격인 [[겟단]]을 패러디했다. 버그 걸린 포푸코를 건드린 피피미가 함께 버그에 걸린 뒤 배경 밖 세상으로 떨어지는 장면과 전체 BGM은 일본 윳쿠리 실황 플레이어인 시모엘(シモエル)의 [[스케이트(게임)#s-2.3|스케이트 3]] 물리 버그 소개 영상을 참고한 것.[[https://twitter.com/simoeru/status/1581615278953140224|#]] '''09:46''' [[THE X-FILES]] '''09:53''' 1화와 똑같이 [[스퀘어 에닉스]]로 아이캐치 타이틀이 바뀌고 [[초코보]] 소재 영상이 나온다. 내용은 팝 팀 에픽 1기 3화에서 나온 장면이다. '''10:56''' 엔딩 영상은 실제 [[킹 레코드]] 본사로 쳐들어간 인형탈 포푸코와 피피미를 보여준다. '''22:05''' 후반부 엔딩에선 [[타케쇼보]]에 쳐들어갔다. '''14:52''' 전체적으로 B파트는 애드립의 비중이 높다.[* [[https://twitter.com/enojunjunjun/status/1581482120819535872|에노키 준야의 말에 따르면 이것도 꽤 편집된 거라고 한다.]]] 콧노래를 부르다가 말하는 [[앙상블 스타즈!|앙스타]][* 공교롭게도 피피미의 성우는 실제로 [[사자나미 쥰|앙스타 캐릭터]]로 출연한 적이 있다.] '''15:04''' [[건담|건X]] '''16:22''' 포푸코가 [[에노키 준야|자기 이름]]을 검색했을 때 타임라인이 조용하다고 하자, 피피미가 에노키 준야의 실명을 대고 대사를 친다. '''17:00''' 테피백에게 받은 돈으로 [[FX마진]]에 투자한다고 한다. 이후 상품이 진열되어있다고 말하면서 '친친'이라며 슬쩍 섹드립을 친다. '''17:30''' 포푸코의 성우가 [[에노키 준야|자기 이름]]의 성씨 부분을 떼어 [[팽이버섯|섹드립]]을 친다. '''19:31''' 포푸코 성우가 말한 '동경심은 막을 수 없어!' 라는 대사는 메이드 인 어비스 1기 12화에서 나나치가 한 명대사를 인용한 것. === 4화 === '''00:14''' 반다이의 격투게임인 [[드래곤볼Z 초무투전]]을 베이스로, A파트는 [[오라오라]] 배틀, '''12:05''' B파트는 [[북두의 권]]을 패러디했다. '''00:23''' 드래곤볼 시리즈에서 셀 역을 맡은 [[와카모토 노리오]]의 성대모사. 마구잡이로 기탄을 날린 뒤 [[해치웠나|해치웠나?]]로 이어지는 시퀀스가 셀에게 발악하던 베지터의 구도에서 따왔기 때문에 사용한 패러디로 추정된다. '''02:13''' [[JR 도카이]]가 1993년부터 실시 중인 '그래, 교토에 가자' 캠페인. '''02:27''' [[KFC]]와 [[펩시|펩시콜라]]의 패러디. '''02:48''' [[기동무투전 G건담]]의 [[스토커(기동무투전 G건담)|스토커]]처럼 생긴 인물이 심판을 본다. 등장대사는 [[메다로트]]에 나오는 미스터 우루치의 패러디. '''03:31''' [[무사시 건도]]의 명대사 '우옷 눈부셔!(うおっまぶしっ!)' '''04:22''' [[닥터옐로우]] '''06:11''' 배경이 [[우유니 사막]]이다. '''06:51''' 1기에 이어서 또 나온 [[https://www.youtube.com/watch?v=8YzdMtn9qEM|이치로의 레이저 빔으로 인류 멸망]] '''07:32''' 성우개그로 [[헌터×헌터]]의 벤즈 나이프를 언급한다. 정확히는 벤즈 나이프 중 하나인 [[클로로 루실후르]]가 사용한 독이 들어있는 모델. '''08:00''' '내가 가진 모든 것을...'은 소위 곤육몬 모드로 들어갈 때 한 [[곤 프릭스]]의 대사이며 [[점프 포스]]에도 구현되어 있다. '''08:09''' 좋아요 게이지와 배경, 그리고 숨길 생각이 없는 리프 실드로 미루어 [[록맨 시리즈]]의 패러디로 보인다. '''09:05''' 이번에도 [[스퀘어에닉스]] 콜라보로 [[포토피아 연속살인사건]] 소재 영상이 나온다. 아이캐치도 해당 게임 패키지 그림의 패러디[[https://www.zel-life.com/entry/portpia|#]]. '''09:44''' [[범인은 야스]]. '''10:15''' [[명탐정 피카츄(영화)|명탐정 피카츄]]에서 피카츄의 얼굴을 패러디. '''22:36''' 엔딩 중 [[센류]] 배틀 장면의 NG 부분이 별도로 나오는데, 이는 B파트 포푸코 성우인 [[이시마루 히로야]]가 성룡 전담 성우임을 의식한 패러디이다. C파트도 당시 성룡 영화 특유의 '劇終'으로 마무리된다. === 5화 === '''00:21''' [[We Are the Champions]] '''03:20''' [[엘가로드 연대기]] 같은 판타지 배경의 이야기를 [[에메랄드 소드]] 풍의 음악과 함께 노래한다. '''05:22''' '우라'와 '켄'으로 말장난을 하는 개그로 가공의 인물 우라사와 켄스케를 이야기하나 애니플러스에선 '등', '권'으로 번역하여 [[권상우]]의 [[말죽거리 잔혹사|김현수]]를 활용해 번역했다. '''06:47''' [[테니스의 왕자]] 조합이라서 숟가락으로 [[파에야]]를 날리는 효과음이 [[테니스]] 효과음이다. 중간에 [[피피미]]가 맞고 라이프가 -1이 되는건 [[버추어 캅]]의 [[버추어 캅#s-2.1.1|인질]]과 같이 게임상에서 우호 캐릭터를 공격하면 발생하는 패널티. '''06:59''' [[토마스와 친구들]]의 캐릭터 모습. 옆에서 왼손을 들고 자전거를 타는 크툴루는 [[https://www.youtube.com/watch?v=lVGhtpvSDfc|에노덴 자전거 형님(江ノ電自転車ニキ)]]의 패러디이다.[* 2021년 8월에 에노시마 전철 305호의 시운전을 촬영하기 위해 철덕들이 모였는데, 웬 외국인이 자전거를 타고 305호 옆을 달려와 촬영을 방해하는 바람에 소동이 일어난 사건.] '''07:43''' [[Livin' la Vida Loca]] '''19:51''' B파트에서 애니플러스 자막상 비슷한 라틴풍 리듬을 가진 [[Dash(백지영)|DASH]]를 언급한다. '''08:27''' [[고이즈미 신지로]] 특유의 [[순환 논법]]. 방송 포맷은 [[야리스기 도시전설]]에서 따왔으며, BGM은 2기 3화에서도 써먹었던 THE X-FILES의 패러디이다. '''08:57''' 이번에도 [[스퀘어 에닉스]] 콜라보로 [[아스트로노카]] 소재 영상이 나온다. === 6화 === '''02:09''' 미연시 오프닝이 나오는데 A파트는 남성향 미연시[* 미연시의 시초라고 할 수 있는 [[도키메키 메모리얼 시리즈]]를 기반으로 잡았다.], '''13:57''' B파트는 여성향 미연시로 제작되었기에 작화도 다르고 대사가 조금씩 다르며[* 예를 들어 A파트에선 주인공이 남자라 '남자라면'이란 표현을 자주 쓰는데, B파트에선 주인공이 여자라 '여자라면'이라고 바꾸기 어색한 부분은 대사가 아예 다르게 바뀌어 나온다.], 엔딩 연출도 다르다.[* A파트 쪽은 주인공 남성이 원래 모습의 포푸코와 피피미에게 말을 걸었다가 포푸코와 피피미가 화면을 깨버리며 game over가 뜨며, B파트 쪽은 갑자기 화면이 까맣게 변하더니 후술할 이스터 에그 패러디 장면이 나오며 게임이 갑자기 끝난다. 그리고 공통적으로 게임을 플레이한 실사 남성(A파트)/여성(B파트)이 망겜이라고 욕한다.] '''02:19''' [[ToHeart]]의 교복. A파트 조합 중 이이즈카 마유미가 [[마츠바라 아오이]]를 맡은 바 있다. '''07:46''' [[히데부|아베시!]] '''07:59''' [[일미(아빠는 요리사)|아라이와 카즈미]]와 닮은 캐릭터가 요리를 한다. '''08:31''' 100엔 회전초밥집 [[https://www.kappasushi.jp/|갓파스시]]와 콜라보 영상[* 참고로 갓파스시는 한국에도 체인점이 있기 때문에 애니플러스 공식 자막에서는 *표 처리가 일부 되어 있다.], 중간에 파르페를 앞에 둔 노인이 있는 점에서 [[https://www.youtube.com/watch?v=GR336hA76pI|갓파스시의 이 광고]]를 소재로 한 것으로 보인다. '''09:07''' [[유브 갓 메일]] '''09:50''' 가수들의 원 테이크 라이브를 소재로 하는 유튜브 [[https://www.youtube.com/channel/UC9zY_E8mcAo_Oq772LEZq8Q|THE FIRST TAKE]]의 패러디. 로고의 I가 숫자 1로 바뀌어 있는것도 패러디 '''18:10''' [[에리카와 사토루의 꿈 모험]]의 이스터 에그인 일명 저주의 메시지 라고 불리는 한 제작자의 푸념이 담긴 글. '''19:43''' [[제알|나와 너로 오버레이]][* B파트 조합 성우인 [[하타나카 타스쿠]]와 [[마스다 토시키]]는 [[유희왕 ZEXAL]]에서 주인공 [[츠쿠모 유마]]와 라이벌 [[카미시로 료가]]를 맡았다.] === 7화 === '''00:10''' 시작부터 끝까지 특전영상을 제외한 모든 것이 AC부의 고속 종이 연극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A파트와 B파트를 돌려 쓴 것이 아니라 원테이크로 촬영한 것이다. 중간 중간 움직임들이 다르고 B파트 엔딩의 변화된 정보도 제대로 기재해둔 것을 볼 수 있다. 예시로서 '''21:49'''를 A파트와 비교시 이타쿠라(왼쪽의 AC부 사람)가 한 쪽의 스케치북을 안 넘기면서 크게 실수했으나 그대로 방영한걸 볼 수 있다. '''02:04'''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음악 활동을 파괴한 의문의 대재해]] '''02:34''' 라멘 가게 주인의 [[가일|모습]]을 의식했는지, A파트에서 비교적 평범한 말투였던 게 B파트에서는 아예 외국인이 일본어 말하는 말투로 연기했다. '''03:44''' 대놓고 광고라고 하면서 [[니가타현]]의 악기 전문점 [[https://apollonmusic.com/|아폴론]]의 종이 연극 광고가 나온다. '''04:30''' 보부네미밋미에 등장했던 하마가 보인다. '''07:15''' 보부네미밋미에 등장했던 갑자기 등장해서 조언 말하는 새이다. '''10:07''' 이전에 나온 헬쉐이크 야노 에피소드의 오마주이다. '''22:25''' [[야마데라 코이치]]는 [[피안도|피안도 X]][* 10~12화 분량 담당이었고 숏 애니메이션이다보니 가능한 것이었다. 다른 에피소드들도 다른 성우들로 1인 다역을 수행했다.]에서 [[https://twitter.com/negitoro_2nd/status/1591476048965046273/photo/1|1인 50역]]을 연기한 적이 있는데 그걸 소재로 삼은 것으로 보인다. === 8화 === '''02:18''' 전반적으로 [[PUBG: BATTLEGROUNDS]]를 베이스로 [[Apex 레전드]] 요소(데스박스, 실드 셀, 실드 배터리, 주사기)가 섞여 있으며 일본에서 유명한 FPS 관련 밈들을 패러디 했다. '''03:04''' '겁내라! 움츠러져라! 모빌슈트의 성능을 살리지 못한 채 죽어가라!'는 [[노리스 팩커드]]가 [[구프 커스텀]]의 힘으로 잔해를 밀어내고 걸어나가며 했던 명대사. 재밌게도 이번 에피소드에서 노리스 팩커드의 2대 성우인 [[마미야 야스히로]]가 다른 조연으로 참여했다. '''03:12''' 파란색 픽셀로 사라지는 사망 연출은 [[포트나이트]] '''03:29''' '''03:46''' [[라비안 로즈(디지캐럿뇨)|우사다]], 라비안이라고 대놓고 말하니 하지 말라고 한다. '''03:42''' 배그와 에이펙스의 회복 아이템들을 사용하는 장면이 슬쩍 지나간다. '''03:50''' 핵쟁이에게 학살당하는 인물의 대사 중에 "또 피네다"라는 대사[* 애니플러스 자막에서는 "또 핵이야"로 의역 되었다.]는 FPS게임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2]] 멀티 플레이에서 [[패작]]을 하는 초딩 유저들을 킬하는 유저의 이름인 Pine(파인)[* 니코니코 동화에서 FPS 실황을 했던 스트리머이기도 했다.]을 한 초딩 유저가 피네로 잘못 읽었는데 이때 Pine에게 킬 당하면서 외친 "또 피네다! 또 피네다!"라는 대사가 밈이 된 걸 패러디 했다.[[https://youtu.be/O0yXO_zwbW0|해당 영상]] '''04:17''' 에이펙스의 회복아이템 중 하나인 실드 셀, 이때 피피미가 실드셀을 넘겨주면서 "힘내라"고 하는 말을 포푸코가 "너도 힘내야지!"로 받아 치는 대사는 일본에서 밈이 된 [[카운터 스트라이크: 글로벌 오펜시브]] 멀티 플레이에서 한 유저가 AK랑 MAC-10을 교환하자면서 요청하고 교환을 해준 유저가 "힘내라"고 말해자 "힘내라가 아냐, 너도 힘내야지!"라고 받아치는 [[https://youtu.be/ElxUWm62EfA|영상]]을 패러디 했다. '''05:37''' 우측에 놓여있는 [[몬스터 에너지]] '''08:27''' [[하이퍼 FPS]] 장르에 자주 나오는 궁 게이지이며, 형태로 볼 때 [[오버워치 2]]를 참조한 것으로 보인다. '''08:57''' [[키노코노야마#s-4|키노코타케노코 전쟁]] '''09:39''' 세가의 게임기 [[메가 드라이브]] 전기 일본판 모델과 [[메가 CD]], [[슈퍼 32X]]를 합친 형태다. 게임 팩의 단자 부분을 입으로 불어 먼지를 제거하는 장면은 카트리지 게임기가 현역이던 당시부터 전세계 공통으로 행했던 먼지제거법[* 그러나 근래 들어 사실 이 방법은 입으로 부는 과정에서 비말이 카트리지 단자부에 부착되어 부식을 유발하기 때문에 가급적 자중해야 하는 행동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이 직후에 포푸코의 머리가 대머리가 되는 장면은 죠죠 5부 게임을 이용한 매드 무비 [[―파시오네 24시―]]의 [[브루노 부차라티]]의 패러디이고 게임팩 중 PPK & PPM 는 [[소닉&너클즈#소닉 더 헤지혹 3 & 너클즈|소닉 더 헤지혹 3 & 너클즈]] 패러디. '''12:16''' [[류(캡콤)|류]]와 [[히라야마 유키오]] '''17:18''' "안녕하십니까 여러분. 치트 안돼. 절대로"는 게임 실황 유튜버 [[아니쟈 오토쟈]]의 오토쟈의 패러디. 정확히는 오토쟈가 평소에 실황중에 오오츠카 아키오의 성대모사를 하곤 하기에, 성대모사를 성우 본인이 재현한 장면이다. === 9화 === '''02:09''' 화면비율이 4:3으로 바뀌며 [[쇼와]]의 양키물 애니메이션이 시작된다. 기본 베이스는 80년대 양키물의 대표격인 BE-BOP-HIGHSCHOOL[* B파트의 [[타치키 후미히코]]가 이 작품의 주인공 나카마 토오루를 맡은 바 있다.]이며, 전반적인 사운드 효과음, 캐릭터 및 배경 작화, 연출, 대사 모두 8~90년대 초의 느낌을 재현했다.[* 대사 일부도 애니플러스에서는 8~90년대 유행어인 [[캡|캡숑]]을 넣어 의역했다.] 포푸코와 피피미의 복장은 게임 [[열혈 시리즈]]의 쿠니오와 리키를 기반으로 카쿠란의 상의 길이는 만화 [[오늘부터 우리는!!]]의 두 주인공에게서 가져온 것으로 보인다. '''02:30''' [[뿌이뿌이 모루카]]에 나오는 포테토 스타일로 도색하고 있다 '''02:46''' [[후구타 사자에]]의 헤어스타일 '''04:02''' 학교 이름(반부)과 작품 이름(범프 부)으로 알 수 있듯 전반적으로 대나무(ヴァンヴー)가 많이 나온다. 원작 출판사인 타케쇼보를 빗댄 패러디로 추측. '''05:48''' [[승룡권]] '''05:52''' [[라이트세이버]] '''07:00''' 아날로그 컨셉을 이어가면서 하는 [[오카야마현]]의 브라질리언 파크 [[https://www.w-highland.co.jp/|와슈잔 하이랜드]] 공식 콜라보 영상 '''08:05''' [[aiko]]의 싱글 [[ボーイフレンド]]의 킬링 파트인 'テトラポット登って'[* 애니플러스에선 [[바다의 왕자]]의 가사 일부인 '널 따라 내 머리도 노랑 브릿지'로 의역했다.]. 가사대로 포푸코가 [[테트라포드]] 위에서 노래한다. 이 노래의 항목에도 나와있지만, 이 가사 때문에 한때 [[NHK]]에서 간접광고로 금지곡이 되었다. '''08:40''' [[뱅크시]] '''08:50''' 스퀘어 에닉스의 콜라보 영상으로 이번 소재는 [[파이널 판타지 XIV]]의 [[타이탄(파이널 판타지 14)#s-2.1.4|극 타이탄 토벌전]]이다. 중간에 [[파이널 판타지 XII]]의 몬데그린 밈인 [[오이요이요]]도 등장. '''09:35''' 분기마다 방송되는 [[테레비 아사히]]의 퀴즈쇼 [[https://www.asahi.co.jp/kakuzuke/?pa=post|芸能人格付けチェック]]의 정답 공개 장면. 문 열기 전에 머리에 손가락을 대는 동작은 파판14의 인게임 동작. 정답 공개 후 추는 춤은 [[쌍둥이 시르쿠스]] 배경음악에 합성한 걸로 유명한 [[Double Dream Hands|Double Dream Feet]]. '''10:02''' 이 시점부터 엔딩영상 전체가 [[폭주형제 렛츠&고!!]]의 요소다. 등장하는 미니카는 매그넘과 비슷한 스타일이며, 이후 매그넘이 해외 여행을 다니는 곳은 게임판을 포함하여 WGP에 나오는 세계대회 출전팀들의 국가다. === 10화 === '''00:31''' '이제 안되겠어, 갇혀 버릴 거야'는 [[동굴아저씨]]에게 [[보노보노(보노보노)|보노보노]]가 갇힐 때 보노보노가 하는 대사인데, A파트 포푸코인 [[와타나베 쿠미코]]가 보노보노를 담당했기에 나온 애드립이다. '''02:04''' 오프닝 마지막 부분에 우뉴마루가 등장한다. '''02:11''' 원본 대사인 [[https://www.youtube.com/watch?v=84BanUObIzE|'모양을 바꿔버린다 이 자식(形変えてしまうぞコラ!)']]과 이어서 아이캐치의 [[https://www.youtube.com/watch?v=X8T7FUlyWDQ|'날려버린다(飛ぶぞ)']][* 실제로는 정말 맛있어서 날아갈 것 같다는 의미로 한 말이지만, 단어 자체는 똑같다.]는 [[초슈 리키]]가 [[테레비 아사히]]의 예능 [[https://www.asahi.co.jp/aisekishokudou/|합석 식당]]에 출연해서 한 말이다. 애니플러스에선 전자 부분 자막을 해달로 만들어버린다라고 했는데 A파트 포푸코가 보노보노를 담당했기에 수달에서 해달[* 보노보노는 해달이다.]로 바꾼다는 의미로 의역한 것이며, 악수 장면에서도 같은 성우가 담당한 [[케로로]]가 연상되도록 의역했다. '''02:29''' [[톰과 제리]]에서 흔히 나오는 제리의 쥐구멍 앞에서 톰이 당하는 구도 '''04:48''' 쌀로 만드는 가공식품회사 [[https://www.echigoseika.co.jp/|에치고제과]]의 광고 대사인 [[https://www.youtube.com/watch?v=q79OPQIOGas|정답은, 에치고제과!]]. 콜라보는 아니기에 검열처리되었다. '''05:31'''에서 나온 카가미모치 그림도 '越後侍'라고 하는 에치고제과의 제품이다. 애니플러스에선 [[도레미 마켓|놀토]] 간식 게임으로 의역했다. '''06:39''' 도시 경관 시설물을 다루는 [[https://www.sunpole.co.jp/|선폴]]과 콜라보 영상. 영상에 나오는 피코리노라는 건 이 회사에서 판매하는 [[https://www.sunpole.co.jp/product-list-2/?c2=%E3%83%94%E3%82%B3%E3%83%AA%E3%83%BC%E3%83%8E(%E5%B0%8F%E9%B3%A5%E4%BB%98%E3%82%A2%E3%83%BC%E3%83%81)&c1=%E3%82%A2%E3%83%BC%E3%83%81|차량진입방지 볼라드에 새 모양 장식이 달린 제품]]을 말한다. '''07:39''' [[스타벅스]]의 매장용 앞치마 '''08:13''' 스퀘어 에닉스 콜라보 영상으로 [[파이널 판타지 XIV]]의 맨더빌 [[골드 소서#s-2]]에서 할 수 있는 작패유희 콘텐츠가 나온다. 연락을 시도하는 캐릭터는 [[민필리아]]로 성우도 동일한 [[사와시로 미유키]]가 담당했다. '''09:42''' [[Apex 레전드]] '''10:13'''에서 깔리는 아나운스는 원본과 동일한 [[히로마츠 세리카]]가 담당했다. '''10:02''' [[매트릭스(영화)|매트릭스]]의 슬로우 모션 도약과 일부러 피니셔를 발동하고 취소하는 걸 반복해서 보여주는 피니셔 인성질도 나온다. '''14:07''' B파트 조합에서 나온 [[이매진 브레이커|그 환상을 쳐부숴 주마!]]와 이어지는 [[액셀러레이터(어떤 마술의 금서목록)|액셀러레이터]]를 연상시키는 대사 '''15:26''' 또 다시 성우개그로 [[바쿠만]]에 나오는 [[니즈마 에이지]]가 작가로서 그리는 극중 만화인 [[CROW]]를 말한다. 피피미도 이 작품에서 주인공 [[마시로 모리타카]]로 나온다. '''16:02''' A파트와 달리 흔한 일본 예능처럼 준비된 영상 구석에 얼굴을 띄워 놓고 오디오 코멘터리 느낌으로 대화한다. '''16:30'''에 [[데니스 네드리]]와 비슷한 인물이 나오는데, 성우들도 알고 있는지 공룡에게 잡아먹히는 것에 대한 언급을 하고, '''16:45'''의 비행기가 착륙하는 장면에서 [[이카리(게임)|이카리]]의 인트로 장면을 이야기한다. '''23:21''' 이벤트에 참가 안 해서 둘 다 무녀에게 혼났다는 이야기를 하는데 대사로 볼 때 [[머나먼 시공 속에서 시리즈]]를 언급하는 것으로 보이며, 가장 최근 작품의 무녀 역할을 고려할 때, 그 무녀는 업계 선배인 [[타카하시 미카코]]로 보인다. 그 후 본인들의 회사[* 오카모토 노부히코가 사장으로 있는 라쿤 독과 아베 아츠시의 소속사 [[켄 프로덕션]]이다.]를 홍보한다. === 11화 === '''01:57''' 이번 팝 팀 스토리의 제작사가 스튜디오 크로커다일인 것으로 볼 때 제작 컨셉을 [[https://www.theworldofgoldeneggs.com/|The World of GOLDEN EGGS]]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02:03''' 9NX 테레비는 [[팝 팀 에픽/애니메이션|팝 팀 에픽]]의 방송사인 [[도쿄 메트로폴리탄 텔레비전|TOKYO MX]]을 비튼 것으로 보인다. '''02:06''' [[테레비 아사히]]의 예능 [[https://www.tv-asahi.co.jp/ametalk/|아메토크]] '''03:08''' [[코토부키 미나코|피피미 담당 성우]]가 1년 반 가까이 영국에 있었던 건 실화. --사실 [[토요사키 아키|포푸코 담당 성우]]도 [[케이온(영화)|작품 내에서는 밴드 자격]]으로 갔다왔다-- '''03:19''' [[스기타 토모카즈|스기타]]랑 [[나카무라 유이치|나카무라]]를 언급하는데 이쪽도 어찌 보면 [[도쿄 엔카운트|유닛]]이라고 볼 수 있다. '''03:28''' A파트의 포푸코와 피피미, 못치와 칸치를 맡은 성우들까지 하여 [[스피어(성우 유닛)|스피어]]의 멤버이기에 대놓고 스피어를 언급하거나 소속사인 [[뮤직 레인]], 캐스팅 끼워 팔기(...) 등을 이야기 한다. '''04:01''' 일본에서 가장 높은 빌딩인 [[아베노하루카스]]. 광고는 나모리 극장의 패러디. '''04:37''' 오사카의 유명 돼지고기 만두인 [[https://www.551horai.co.jp/|551HORAI]]의 패러디 '''04:49''' BGM이 [[https://www.yoshimoto.co.jp/shinkigeki/|요시모토 신희극]]의 [[https://www.youtube.com/watch?v=uFn0XUOoYis|테마곡]]이다. '''05:23''' [[히카사 요코|담당 성우]]는 아니지만, [[케이온!|성우 조합]]상 나올 수밖에 없는 [[모에모에 큥]] '''09:33''' 끝이 없는 디펜스라도 좋아 / 그 저편에는 아무것도 없더라도 - [[기동전사 V건담]] 1기 오프닝 가사 '''10:06''' 프랑스 애니메이터 kekeflipnote의 움짤 패러디로 본인이 직접 감독. 스탭롤에도 이름이 실려있다. [[https://twitter.com/Kekeflipnote/status/1601698073272414209|작가 트윗]] '''15:00''' 피피미가 "니 옛날에 [[스노우보드]] 빠졌었제?"라고 하자 포푸코가 "한적도 없데이"라고 받아친다. 사실 스노우보드는 피피미 역의 우가키 히데나리의 취미. '''15:30''' B파트의 포푸코&피피미의 성우는 [[키류 카즈마]]와 [[마지마 고로]] 역, 못치&칸치의 성우는 각각 [[고다 류지]]와 [[니시키야마 아키라]][* [[용과 같이 7]]의 주인공인 [[카스가 이치반]] 역이기도 하다.] 역으로 4명 모두 [[용과 같이 시리즈]]에서 주역급 캐릭터의 성우라는 조합이다. 포푸코가 못치 칸치의 콤비명을 ''''[[니시키야마 아키라|니시키]]''' 팬티'라고 잘못 알아듣자 칸치가 니시키가 아니라고 되받아친다.[* 실제로 포푸코 성우 쿠로다 타카야는 나카야 카즈히로를 '''니시키'''라고 친근하게 부른다.] '''B파트 전체''' 실제로 피피미 성우 우가키 히데나리는 피피미 설정을 아예 대놓고 [[마지마 고로]]마냥 하이텐션과 어설픈 간사이벤으로 연기했다. 우가키 히데나리는 애니메이션에서는 비교적 하이텐션 연기를 잘 안 선보이는 것으로 유명하기 때문에 용과 같이를 즐긴 팬들이라면 뿜을 요소. 실제로 엔딩 토크쇼에서 [[용과 같이 시리즈]]를 '''왜, 우리들이 출연하는 세간에서 보기에 안 좋아 보이는 게임'''이라고 돌려서 말하기도 했다. === 12화 === '''00:12''' 1화의 오프닝 Endless Love의 세계관을 이용한 [[특촬물]]이 방송된다. 감독은 1화의 영상과 동일하게 [[사카모토 코이치]]가 담당하였으며, 참여 스탭 역시 실제 토에이에서 활동하는 스탭이 다수 참가한 본격적인 특촬 히어로물. '''01:13''' 사운드 효과가 달린 오프닝이 나오는데, 1기는 정규 오프닝 테마의 마지막 사용 에피소드가 10화여서 10화 B파트에 적용했으나 이번에는 그냥 마지막 에피소드에 적용한 것으로 보인다. '''08:35''' 우측에 21년 사옥 이전의 [[타케쇼보]] 사옥이 사라지고 있다. '''09:13''' 가능성 시간축의 나카무라가 레지스탕스 리더로서 등장하는데, 평행세계의 인물이라는 설정 상 [[나카무라 유이치(배우)]]가 1인 2역을 담당했지만 목소리는 [[나카무라 유이치|나카무라 유이치(성우)]]가 연기했다. 일종의 [[성우 개그]] 코드의 캐스팅으로, 예전부터 이름의 한자 표기가 다른데도[* 성우 나카무라 유이치는 '中村'''悠'''一', 배우 나카무라 유이치는 '中村'''優'''一'.] 한 사람을 검색하면 [[https://twitter.com/NvKknpbmkIbDg6m/status/944518636449828864|상대방의 검색 결과가 나오는 경우가 많았더라는]] 이야기가 있다.[* 성우 나카무라 유이치 역시 본격적으로 인지도가 쌓이기 이전에는 종종 자신을 배우 쪽 나카무라 유이치와 햇갈리는 사람들도 많았다고 밝혔었다.] 여담으로 이후 나카무라 유이치(배우)가 트위터 상에서 '제 연기에 나카무라 유이치(성우) 씨가 더빙을 해 주시면 전 그야말로 승천할지도 모릅니다'라고 소소한 꿈을 밝혔었는데, 이 꿈이 팝 팀 에픽에서 정말 현실이 되어버린 것이라고 할 수 있다. '''12:00''' [[사자에상]]의 [[사자에상/등장인물#s-7.4|사부로]]가 이소노가로 배달하러 와서 뒷문을 열며 하는 대사인 '치와~! 미카와야입니다~!(ちわー、三河屋でーす)'의 패러디. 애니플러스 자막은 '안뇽, 장마 돌입임다.'로 번역했다. '''12:38''' 에피소드 내내 특촬물 컨셉 중에 척추를 뽑아버린다는 이야기로 볼 때, [[가면라이더 신]]의 패러디로 보인다. '''13:21''' [[자와#s-3.1]] '''13:50''' [[https://us.pez.com/|PEZ]]의 상품과 비슷한 캔디가 나온다. '''15:33''' 타임패트롤 총수 역을 맡은 가수 [[니시카와 타카노리]]가 다른 코스튬을 입고 등장하는데, 니시카와가 [[HOT LIMIT]]이라는 싱글을 발매했을 당시 자켓 커버 사진에서 착용했던 기괴한 스타일의 옷의 패러디. '''19:10''' 2기에 나온 여러 타입의 포푸코와 피피미들이 등장하는 장면은 특촬물이나 히어로 팀업 무비 등에서 모든 캐스트가 총출동했을 때 등장하는 클리셰적 구도 중 하나. 비교적 최근의 레퍼런스로는 [[극장판 가면라이더 디케이드 올 라이더 대 대쇼커]]나 [[어벤져스: 엔드게임]]의 총집합 장면. 캐릭터 소환 연출은 [[가면라이더 디케이드]]에서 여러 세계를 이동하기 위한 연출로 등장하는 베일을 사용했다. '''22:08''' [[슈퍼전대 시리즈]]를 비롯한 특촬물에서 주로 볼 수 있는 오프닝/[[엔딩 댄스]]. '''23:43''' [[나오에 카네츠구]]의 독특한 장식의 일본 갑주를 입은 포푸코와 피피미가 등장한다. 이 둘은 1&2기에서 등장한 적이 없는 스타일의 포푸코와 피피미이기에 아오이 쇼타가 너희들은 누구냐고 묻자, 피피미가 '있을지도 모르는 미래'에서 왔다고 답한다. 이 피피미의 성우가 깜짝 출연한 [[이케다 슈이치]]였는데, 이 대사로 인해 만약 팝 팀 에픽 애니메이션 3기가 제작된다면 이케다 슈이치가 등장할지도 모른다는 추측이 돌고 있다. 이번에 등장했을 때 옆에 있는 포푸코 쪽은 대사가 없었지만, 만약 3기 출연이 확정된다면 콤비 파트너로써 가장 많이 예상되고 있는 것은 역시 [[후루야 토오루]]이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팝 팀 에픽/애니메이션, version=176)] [[분류:팝 팀 에픽]][[분류:패러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