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893년 출생]][[분류:1964년 사망]][[분류:이탈리아 공산당 서기장]][[분류:제노바 출신 인물]][[분류:토리노 대학교 출신]] [include(틀:다른 뜻1, from=톨리아티, other1=러시아의 도시, rd1=톨리야티)] ||<-2> '''{{{+2 팔미로 톨리아티}}}[br]Palmiro Togliatti'''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almiro-Togliatti-00504708.jpg|width=100%]]}}} || || '''본명''' ||팔미로 미켈레 니콜라 톨리아티[br]Palmiro Michele Nicola Togliatti|| ||<|2> '''출생''' ||[[1893년]] [[3월 26일]]|| ||[[이탈리아 왕국]] [[제노바]]|| ||<|2> '''사망''' ||[[1964년]] [[8월 21일]] (향년 71세)|| ||[[소비에트 연방]]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크림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얄타]]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이탈리아)]|| || '''신체''' ||NNNcm, NNkg, 혈액형|| || '''가족''' ||이름 ,,(관계),,|| || '''학력''' ||[[토리노 대학교]]|| || '''종교''' ||[[무종교]]([[무신론]])|| || '''직업''' ||[[정치인]], [[사상가]]|| || '''최종 당적''' ||[include(틀:이탈리아 공산당)]|| || '''서명'''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 border-radius: 4px;" [[파일:Togliatti_Signature.png|width=150]]}}}|| [목차] [clearfix] == 개요 == 팔미로 톨리아티(Palmiro Togliatti). [[이탈리아 공산당]]의 창립자 중 1명이자 [[공산주의]] [[사상가]], [[혁명가]]였던 인물로, [[2차 대전]] 시기 공산당 [[서기장]]으로서 [[반파시즘]] [[파르티지아노|빨치산]]을 주도했고, 전후에는 이탈리아 공산당을 [[이탈리아]] 최대 [[좌파]] 정당이자 [[프랑스 공산당]]과 함께 [[서유럽]] [[공산주의]] 운동의 쌍두마차 역할을 하는 정당으로 성장시켰다. == 생애 == === 초창기 === [[1893년]] [[이탈리아 왕국]] [[제노바]]의 [[중산층]] 가정에서 태어났으며, [[토리노 대학교]]에서 [[법학]]을 [[전공]]하다가 [[이탈리아 사회당(1892년)|이탈리아 사회당]]에 입당했다. [[1917년]] [[러시아 혁명]]의 여파로 인해 [[유럽]] 전역에 [[공산주의]] 운동이 확산되자, 이탈리아 사회당에서도 [[볼셰비즘|볼셰비키 혁명 노선]]을 수용할지 여부를 놓고 논쟁이 격화되었는데, [[1921년]] [[리보르노]]에서 열린 사회당 제17차 [[전당대회]]에서 톨리아티는 아마데오 보르디가, [[안토니오 그람시]], 안젤로 타스카 등 다른 사회당 [[혁명적 사회주의|혁명파]] [[당원]]들과 집단으로 사회당을 [[탈당]]하여 '''[[이탈리아 공산당]]'''을 창당했다. === [[망명]] 생활 === 그러나 [[이탈리아 공산당]] 창당 1년만인 [[1922년]]에 [[베니토 무솔리니]]의 [[파시스트 이탈리아|파시즘 정권]]이 수립되어, 공산당의 앞날에 먹구름이 끼기 시작했고, 급기야 [[1926년]]에 이르러서는 [[국가 파시스트당]]을 제외한 모든 정당이 금지되고 공산당 [[서기장]] [[안토니오 그람시]]가 수감되기에 이르렀다. 이렇게 당 조직이 [[풍비박산]]나자 톨리아티는 체포를 피해 국외로 [[망명]]했고, 다른 망명 공산당원들에 의해 서기장 대행으로 추대되었다. 서기장 대행 시절 톨리아티는 무솔리니 정권을 비판하며 [[반파시즘]] 운동을 전개하는 한편, [[공산주의 인터내셔널]]([[코민테른]])의 국제 공산주의 운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1934년]]에는 망명 공산당원들끼리 개최한 당대회에서 루제로 그리에코(Ruggero Grieco)가 정식으로 서기장에 선출되자 순순히 당권을 넘겨주었고, [[1936년]]에 [[스페인 내전]]이 시작되자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노동 계급의 국제적 연대]]라는 이상에 따라 [[스페인 제2공화국|스페인 공화국]] [[인민전선]] 정부를 지지하는 [[국제여단]]의 일원으로 참전했다. 국제여단에서의 활약으로 명성을 쌓은 톨리아티는 [[1938년]] 당대회에서 정식으로 서기장에 선출되어 다시 당권을 거머쥐었고, [[1964년]]에 [[사망]]할 때까지 해당 직위를 유지했다. === [[반파시즘]] [[파르티지아노|빨치산]] 투쟁 === [[1943년]] [[무솔리니]]가 실각하고 [[이탈리아 왕국]]이 [[연합국]]에 [[항복]]하자, [[이탈리아 공산당]]은 다시 합법정당으로 인정받았다. 그리고 [[독일 국방군]]이 무솔리니를 구출하여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이라는 [[괴뢰국]]을 수립하자, 톨리아티는 [[기독교민주당(이탈리아)|기독교민주당]], [[이탈리아 사회당(1892년)|이탈리아 사회당]] 등과 함께 [[민족해방위원회]]를 결성하여 [[반파시즘]] [[파르티지아노|빨치산]] 투쟁을 전개했다. === [[거국내각]]의 [[법무장관]] === [[1945년]]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이 붕괴되고 [[무솔리니]]가 [[총살]]당한 후 거꾸로 메달리는 [[인과응보|비참한 최후]]를 맞음으로써, [[2차 세계대전]]의 [[이탈리아 전선]]은 일단락되었다. 이후 톨리아티는 [[민족해방위원회]] 소속으로 함께 싸운 정당들로 구성된 [[거국내각]]에 [[법무장관]]으로 입각하여 [[파시스트]] 및 [[부역자]] 처벌을 주도했고, [[군주국의 공화주의|왕정 폐지]]를 당론으로 적극 추진하여 [[1946년]] [[국민투표]]를 통한 [[이탈리아 왕국|왕정]]에서 [[이탈리아 공화국|공화정]]으로의 체제 전환을 실현했다. === [[야당]] 지도자 === 그러나 [[1947년]]에 [[냉전]]이 격화되자 [[이탈리아 공산당|공산당]]은 [[미국]] [[트루먼]] 행정부의 압력으로 인해 [[이탈리아 사회당(1892년)|사회당]]과 함께 [[거국내각]]에서 축출되어 [[야당]]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그러자 톨리아티는 사회당과 함께 인민민주전선이라는 [[정당연합]]을 결성함으로써 단일대오를 구성하고 [[1948년 이탈리아 의회 총선거|1948년 총선]]에서 [[정권교체]]를 노렸으나 [[알치데 데 가스페리]]가 이끄는 [[기독교민주당(이탈리아)|기독교민주당]]의 아성을 넘지 못하고 패배했다. 다만 성과가 아예 없는 건 아니었는데, 사상 최초로 '''공산당이 사회당을 제치고 원내2당으로 약진'''하는데 성공했고, 이로써 공산당은 사회당을 제치고 [[이탈리아의 사회주의|이탈리아 사회주의]] 운동의 [[헤게모니]]를 장악할 수 있었다. 이후 톨리아티는 공산당의 지지 기반을 확대하는데 전력을 기울여 [[1956년]]에는 보수적인 [[농민]]들을 포용하기 위해 이전의 [[국가 무신론]] 노선에서 탈피하여 '''[[종교의 자유]]'''를 인정하는 등 상당히 온건한 노선을 내세운 '[[이탈리아의 사회주의]]로의 길 강령'을 채택하기도 했으나, [[마르크스-레닌주의]]에서 완전히 탈피하진 않았기에, 훗날 [[유럽공산주의]] 노선을 택한 [[엔리코 베를링구에르]] 이후의 공산당과 달리 톨리아티 시대의 공산당은 여전히 [[극좌]] 정당으로 남았다. 또한 톨리아티 시대의 공산당은 미국과 [[나토]]에 반대하며 [[소련]]과의 친분도 계속 유지했는데, [[1964년]]에 톨리아티는 소련을 방문하던 중 [[얄타]]에서 [[사망]]했고, 소련은 [[1966년]]에 스타브로폴나볼게[* [[볼가 강]] 유역의 [[스타브로폴]]이라는 의미다.]라는 자국 [[도시]]를 [[톨리야티]][* 톨리아티의 [[러시아어]] 발음]로 개칭하며 그를 기렸는데, 해당 도시는 이탈리아 공산당과 소련이 모두 사라진 지금까지 이름을 바꾸지 않고 남아있다. == 소속 정당 == || '''소속''' || '''기간''' || '''비고''' || || [[이탈리아 사회당(1892년)|이탈리아 사회당]] || 1914 - 1921 || 입당[br]정계 입문 || || [include(틀:이탈리아 공산당)] || 1921 ~ 1964 || 분당[br]사망 || == 관련 문서 == * [[이탈리아 공산당]] * [[이탈리아의 사회주의]] * [[안토니오 그람시]] * [[톨리야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