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팔레스타인 관련 문서)] [include(틀:팔레스타인의 행정구역)] [include(틀:상위 문서, top1=팔레스타인)] [목차] == 개요 == [[2010년대]]에 유엔 총회의 결의를 바탕으로 [[자치정부]]를 [[독립국]]으로 개편한 팔레스타인국의 행정구역에 관한 문서. == 상세 == [[가자 지구]]에는 [[나세르|이집트령 시절의 5개 현]]이 존재하고, [[요르단강 서안지구]]에는 [[압둘라 1세|요르단령 시절의 11개 현]]이 존재한다. [[영국령 팔레스타인]] 시절에는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towns_and_villages_depopulated_during_the_1948_Palestinian_exodus#/media/File:Mandatory_Palestine_1945_subdistricts_and_districts.png|오늘날과 전혀 다른 영역을 관할했던]] 16개의 [[군(행정구역)|군]]([[郡]])이 있었다.[* [[영국령 팔레스타인]] 시절의 16개 [[군(행정구역)|군]]([[郡]]): 가자, 나블루스, 나사렛, 라말라, 라믈레, 베르셰바, 베이산, 사파드, 아크레, 예루살렘, 자파, 제닌, 티베리아스, 툴카름, 하이파, 헤브론.] == 목록 == 2017년 인구 수 기준이며, 서안지구와 가자지구로 나누었다. === 요르단강 서안지구 === ==== 예루살렘 현 ==== 면적은 331.6km². 2017년 이후를 기준으로 팔레스타인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곳이다. 중심지는 아부 디스. ==== 제닌 현 ==== 면적은 583km². 2016년까지는 제닌 현이 팔레스타인국의 영토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현이었지만, 2017년 이후에는 예루살렘 현이 팔레스타인국의 영토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현으로 떠올랐으니, 자연스럽게 2위가 되었다. 중심지는 [[제닌]]. ==== 투바스 현 ==== 면적은 402km². 제닌 현 다음으로 팔레스타인국의 영토에서 인구가 많은 현이다. 중심지는 투바스. ==== 툴카름 현 ==== 면적은 300km². 중심지는 툴카름. ==== 나블루스 현 ==== 면적은 605km². 중심지는 [[나블루스]]. ==== 칼킬리아 현 ==== 면적은 166km². 중심지는 칼킬리아. ==== 살피트 현 ==== 면적은 204km². 중심지는 살피트. ==== 라말라알비레 현 ==== 면적은 844km². 중심지는 팔레스타인국의 행정수도인 [[라말라]]. ==== 예리코 현 ==== 면적은 593km². 중심지는 [[예리코]]. 팔레스타인국의 영토에서 [[친유대주의|친이스라엘주의]] 성격이 강한 현이라고 한다. 그래서 이스라엘국의 도로가 지나갈 수 있다고 한다. ==== 베들레헴 현 ==== 면적은 575km². 중심지는 [[베들레헴]]. ==== 헤브론 현 ==== 면적은 997km². 중심지는 [[알칼릴]] (헤브론). 예루살렘처럼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이 접하는 국경도시다. === 가자 지구 === ==== 북가자 현 ==== 면적은 61km². 중심지는 자발리아. ==== 가자 현 ==== 면적은 75km². 중심지는 가자(Gaza)이며, 가자 지구는 물론 팔레스타인국의 영토에서 가장 큰 도시다. ==== 데이르알발라 현 ==== 면적은 56km². 중심지는 데이르알발라. ==== 칸유니스 현 ==== 면적은 108km². 중심지는 칸유니스. 칸유니스는 가자 지구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다. ==== 라파 현 ==== 면적은 65km². [[이집트]]와의 경계에 있으며 검문소가 있다. 중심지는 [[라파흐]]. [[제2차 인티파다]] 이후 이스라엘에서 이집트와 장벽을 쌓는 등 격리 작업을 벌이느라, 이스라엘 군이 많은 팔레스타인 사람들의 집을 불도저로 철거하였다. 남단에 야세르 아라파트 국제공항이 있었으나 파괴된 상태다. [[분류:팔레스타인의 행정구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