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역사)] [include(틀:위임통치)] [include(틀:대영제국의 식민지)] ||<-3> {{{#fff {{{+1 '''영국 위임통치령 팔레스타인'''}}}[br]'''British Mandate for Palestine'''}}} || ||<-2> [[파일:영국 국기.svg|width=100%]] ||<|3> [[파일: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 문장.svg|width=80%]] || ||<-2> {{{#ffffff '''국기'''}}} || ||<-2> [[파일: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 기.svg|width=100%]] || ||<-2> {{{#fff '''상선기'''}}} || {{{#fff '''문장'''}}}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PalestineAndTransjordan-ko.png|width=100%]] {{{-1 △ 영국법상 영역}}}}}} || ||<-3> '''{{{#fff 1920년 4월 25일 ~ 1948년 5월 14일}}}''' || ||<-2> '''{{{#fff 성립 이전}}}''' || '''{{{#fff 멸망 이후}}}''' || ||<|2><-2> '''[[오스만 제국|{{{#fff 오스만 제국}}}]]''' || [[이스라엘|'''{{{#0038b8 이스라엘}}}''']] || || [[요르단|'''{{{#fff 요르단}}}''']] || || '''면적''' ||<-2>25,585km^^2^^ || || '''위치''' ||<-2>[[요르단 강]] 유역 || || '''치소[br](治所)''' ||<-2>[[예루살렘]]→[[하이파]](직할구)[br][[텔아비브]]→[[예루살렘]]→[[텔아비브]](이슈브)[br][[살트]]→[[암만]](트란스요르단) || || '''정치체제''' ||<-2>[[국제연맹]] [[위임통치령]] || || '''군주''' ||<-2>[[영국 국왕]] || || '''언어''' ||<-2>[[영어]], [[프랑스어]], [[히브리어]], [[아랍어]] || || '''통화''' ||<-2>[[이집트 파운드]] ,,(1920년~1927년),,[br]팔레스타인 파운드 ,,(1927년~1948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1920년부터 1948년까지 영국이 [[요르단강]] 유역을 위임통치한 시대를 말한다. 요르단강의 동쪽 지역은 [[트란스요르단]](이슬람교도 자치정부)의 영역이었고, 요르단강의 서쪽 지역은 [[https://en.wikipedia.org/wiki/San_Remo_conference|1920년 4월의 산레모 결의]]에 바탕한 이슈브(유대교도 자치정부)의 영역으로서 영국의 직할구였다. 이슈브의 영역을 영국의 직할구로 삼은 것은 특별한 이유가 있었다. 대영제국의 식민지들을 지나가는 수송망과 통신망을 건설하는 한편으로, [[반유대주의]]를 고려하여 유대인들을 보호하는 영국법상의 안전장치였다. 실제로 [[유대인]]들과 [[아랍인]]들은 '''팔레스타인인'''('''영국령 팔레스타인의 [[대영제국]] [[신민]]''')으로 행세했으며, 이슈브가 다스리는 서부 방면이나 트란스요르단이 다스리는 동부 방면이나 [[유니언 잭]]의 깃발 아래 [[유대인]] 공동체들과 [[아랍인]] 공동체들이 공존했다. 화폐정책의 방면에서는 [[파운드 스털링|영국돈]]과 등가교환이 가능한 [[https://en.wikipedia.org/wiki/Palestine_pound|팔레스타인 파운드]]를 발행하는 '''팔레스타인 통화이사회'''가 이슈브의 유대인 공동체들을 대상으로 영업하는 [[https://en.wikipedia.org/wiki/Bank_Leumi|앵글로팔레스타인은행]] 및 트란스요르단의 아랍인 공동체들을 대상으로 영업하는 [[https://en.wikipedia.org/wiki/Arab_Bank|아랍은행]]의 요구불예금과 저축성예금을 느슨하게 통제했다. == 역사 == === 위임통치 지정까지 === [[제1차 세계대전]]이 거의 끝나갈 무렵인 [[1917년]] 10월 ~ [[1918년]] 10월 사이의 전투로 영국군은 팔레스타인(오스만 제국의 행정구역)을 점령하였다. 영국은 일단 '점령된 적지 행정부(Occupied Enemy Territory Administration, OETA)'를 개청하고, 즉각 [[군정]] 체제로 전환했다. [[1919년]] 영국은 [[프랑스]], [[미국]]과 함께 [[파리 강화 회의]]를 개최하고, [[제1차 세계대전]]에서 패전한 [[오스만 제국]]의 영토 분할에 대해 논의하였다. 파리 강화 회의에서 승전국들은 국제평화와 협력을 증진시킨다는 명분으로 [[1919년]] [[1월 15일]] [[국제연맹]] 창설을 승인하였다. [[국제연맹]]의 창설은 영국이 [[군정]] 체제로 다스리는 요르단강 유역을 포함해 식민통치를 겪고 있는 모든 [[식민지]] 주민들로 하여금 그들의 이익을 대변해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되었다. 그러나 국제연맹은 식민지 백성들의 권리를 대변하지 못했다. [[1920년]] [[4월 25일]], [[국제연맹]]은 요르단강 유역을 영국이 다스리는 [[위임통치|위임통치령]]으로 설정했으니, '''영국령 팔레스타인'''이 세계 지도에 등장하는 순간이었다. 영국령 팔레스타인의 위임통치 규정에서는 영국이 [[시오니즘|시온주의자]]들과 약속한 '[[밸푸어 선언]](Balfour Declaration, 1917년)'을 포함했는데, 이것은 아랍의 지도자들 가운데 한 사람인 알리 빈 후세인 ([[샤리프 후세인]]의 아들)과 영국의 외교관 헨리 맥마흔(Sir Vincent Arthur Henry McMahon)이 [[1915년]] 1월 ~ [[1916년]] 3월 동안 교환한 '후세인-맥마흔 서한(McMahon–Hussein Correspondence)'[* 영국이 통일 아랍 국가 수립을 승인한다는 내용의 서한.]에도 모순되는 것이었다. 그러나 영국의 지원을 등에 업은 시온주의자들의 적극적인 활동에 따라, 벨푸어 선언이 반영된 위임통치규정이 그대로 강행되었다. [[1920년]] [[7월 1일]], 영국은 시온주의자 유대인 헐버트 사무엘(Herbert Louis Samuel, 1st Viscount Samuel)을 영국령 팔레스타인의 고등판무관으로 임명하고, [[군정]] 체제를 [[민정]] 체제로 전환했다. === 영국의 통치 === 영국이 [[시온주의]]자인 헐버트 사무엘을 팔레스타인 고등판무관으로 임명했다는 소식은 팔레스타인 [[무슬림]]들과 기독교인들에게 크나큰 실망을 안겨주었다. 헐버트의 임명은 자신들의 희망에 반하는 시온주의자 정권의 수립을 예견하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헐버트의 정책은 유대인 중심적이었다. [[1922년]] [[7월 24일]] [[국제연맹]]은 팔레스타인 위임통치안(The Palestine Mandate, [[1923년]] [[9월 29일]] 발효)을 승인했다. 그러나 팔레스타인 위임통치안은 [[1922년]] 당시 다수였던 팔레스타인 무슬림과 유대인 인구와 비슷했던 기독교인들에 대한 권리를 무시했다. 위임통치안은 오직 이주민인 유대인, 시온주의자들의 권리만을 보장하였다. 이후에도 팔레스타인 위임통치정부의 팔레스타인 [[아랍인]](무슬림이든 기독교도든)에 대한 탄압은 계속되었다. 그리고 이는 아랍인과 유대인 사이에 심한 대립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1936년]] [[4월 19일]] 영국의 위임통치에 반대하는 아랍인들의 [[1936년 팔레스타인 대반란|대반란]][* 반란은 [[1939년]] 9월경까지 지속됨.]이 발발하고, 하지 아민 알후세이니(Hajj Amin al-Husseini)의 주도 하에 아랍고등위원회(the Arab Higher Committee, AHC)가 창설된다. AHC는 총파업, 유대이민 금지, 납세거부 운동을 주도하며 팔레스타인 아랍 민족운동을 이끌었다. 영국은 이에 위기감을 느끼고 [[1937년]] 9월 AHC를 불법단체로 규정하고, 그 지도자들은 체포, 추방하였다. 또한 영국군은 유대 무장조직 '하가나(ההגנה, Haganah)'[* [[1920년]] 창설, 영국의 묵인아래 영국군과 공조하였다. 이스라엘 독립 이후 이스라엘 방위군으로 전환된다.]와 함께 아랍인 대반란을 진압하였다.이 사건 이후 팔레스타인 민족운동은 매우 약화되었으며, 반대로 [[시오니즘]] 운동은 활기를 띄게 되었다. === [[분리독립]] ===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국제연맹]]이 해체, [[유엔 총회]]로 계승되면서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 문제는 유엔이 관할하게 되었다. [[1947년]] [[유엔 총회]]는 영국령 팔레스타인을 분할하는 방안을 제시하였으나 아랍인 공동체와 유대인 공동체가 양쪽 모두 부정적으로 반응했으니, 자연스럽게 유명무실화되었다. [[1946년]] 3월 [[트란스요르단]]이 [[요르단 왕국]]으로 분리독립하면서 영국법에 바탕한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은 요르단강의 서쪽으로 축소하게 되었다. [[1948년]] [[5월 14일]], [[다비드 벤구리온]]은[* [[하임 바이츠만]]은 [[https://catalog.archives.gov.il/en/chapter/the-declaration-of-independence/|해외에서 요양중이었다]].] 영국령 팔레스타인의 유대인 공동체들를 대표하여 [[텔 아비브]]에서 이스라엘국의 건국선언을 발표하고, [[https://en.wikipedia.org/wiki/Yishuv|이슈브]](유대교도 [[자치정부]])를 개조하여 12명의 각료로 구성한 [[https://en.wikipedia.org/wiki/Provisional_government_of_Israel|이스라엘 임시정부]]를 출범했다. 1948년 5월부터 1949년 1월까지 [[미국]], [[과테말라]], [[니카라과]], [[온두라스]], [[엘살바도르]], [[코스타리카]], [[파나마]], [[도미니카 공화국]], [[베네수엘라]], [[파라과이]], [[우루과이]], [[남아프리카 연방]], [[소비에트 연방]], [[폴란드 인민공화국|폴란드 공화국]], [[체코슬로바키아 제3공화국|체코슬로바키아 공화국]], [[헝가리 제2공화국|헝가리 공화국]],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유고슬라비아 연방 인민 공화국]],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루마니아 인민공화국]], [[불가리아 인민공화국]], [[프랑스 제4공화국|프랑스]], [[쿠바 공화국(1902~1959)|쿠바]], [[스위스]], [[핀란드]],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가 이스라엘국의 주권을 승인했다. 곧이어 이스라엘 임시정부는 [[https://en.wikipedia.org/wiki/Arms_shipments_from_Czechoslovakia_to_Israel_1947-1949|체코슬로바키아 공화국과]] [[https://www.army.cz/avis/publikace/srdce_armady/osobozeni_totalita/unor_1948_voj_pom_izraelu.pdf|체코-이스라엘 공수동맹을]] 체결했으니, [[이스라엘 건국전쟁]]의 승리에 매우 큰 도움이 되었다. [[영국군|영군]]의 철수와 동시에 시작한 영국령 팔레스타인의 해체는 영국 본토의 팔레스타인 통화이사회(Palestine Currency Board)가 런던과 텔아비브 및 카이로와 암만에서 동시에 진행한 [[https://en.wikipedia.org/wiki/Palestine_pound|팔레스타인 파운드]]의 금융청산 관련으로 1948년부터 1950년까지 매우 오래 걸렸다. 이스라엘 정부는 [[https://www.jta.org/1948/08/18/archive/1000000-pounds-exchanged-for-israeli-currency-within-few-hours|1948년 8월 18일부터]] [[https://www.jta.org/1948/10/01/archive/israeli-finance-minister-submits-six-month-budget-of-31200000-excluding-war-costs|1948년 10월 1일까지]] 팔레스타인 파운드를 [[이스라엘 파운드]]로 등가교환하는 [[화폐개혁]]을 단행하면서 약590억 파운드를 약2700만 파운드로 교환했으니, 이스라엘 본토의 도매물가 인하를 촉진하면서 [[요르단]]과 [[이집트]] 및 [[레바논]]과 [[시리아]]의 도매물가 폭등을 도모했다. 이에 맞서 요르단 정부는 1950년 7월 1일부터 1950년 9월 30일까지 팔레스타인 파운드를 [[요르단 디나르]]로 등가교환하는 화폐개혁을 단행했다. === [[아민 알후세이니]]의 [[삽질]] === [[1948년]] [[9월 22일]]에는 [[홀로코스트|유대인 대학살을 열렬하게 지지한]] [[전범]] [[아민 알후세이니]]를 추종하는 [[아랍인]]들이 [[가자 지구]]에서 [[https://en.wikipedia.org/wiki/All-Palestine_Government|팔레스타인 정부(?)의 창립을 선언했지만]], '''[[돈키호테(돈키호테)|어느 누구도 알아주지 않았다]]'''. 이 소식을 접한 [[유엔 총회]]도 [[그런 거 없다]]고 매우 차갑게 응대했다. [[요르단 왕국]]과 [[이집트 왕국]]은 그들의 조직망을 무자비하게 짓밟았다. 곧이어 [[압둘라 1세]](요르단 국왕)는 요르단 국회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국회의원들(60명)의 절반을 [[요르단강 서안지구]]에 특별히 할당했고, [[나세르]](이집트 대통령)는 [[아랍 연합 공화국]]을 출범하면서 가자 지구에 [[지방의회]]를 신설했다. == 참고 문헌 == * 홍미정, "영국의 팔레스타인 위임통치와 시온주의프로젝트", 2015 == 관련 문서 == * [[팔레스타인/역사]] * [[이스라엘/역사]] * [[트란스요르단]] * [[시오니즘]] * [[위임통치]] * [[파리 강화 회의]] [[분류:영국의 식민지]][[분류:위임통치]][[분류:이스라엘의 역사]][[분류:팔레스타인의 역사]][[분류:요르단의 역사]][[분류:영국-이스라엘 관계]][[분류:요르단-팔레스타인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