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파시즘)] {{{+3 '''Falangism'''}}} [목차] == 개요 == 팔랑헤주의는 [[스페인]]에서 탄생한 [[극우]] 정치이념으로 [[팔랑헤]]당의 공식 이념이기도 했다. 팔랑헤주의자들은 아나코 생디칼리슴 성향의 [[전국 노동 연맹]]과 스페인 [[생디칼리슴]] 운동의 두 축이었다. == 스펙트럼 == 정통적인 팔랑헤주의와 [[프랑코주의]]는 다소 사상적 차이가 있다. 정통적인 팔랑헤주의는 [[혁명적 내셔널리즘]], [[국민생디칼리슴]], [[가톨릭]] 기반 [[교권 파시즘]] 등에 기반한 '혁명적 우파'였다. [[카스티야]] 지방의 가난한 민중을 기반으로 하는 포퓰리즘적 성격, 스페인 민족의 프롤레타리아를 대변하는 성격이 있어서 [[제3의 위치]]로도 간주된다. 반면에 [[프랑코주의]]는 좀 더 가톨릭 기반 전통적 보수주의, 즉 엘리트적인 '반동적 우파'에 가까웠기 때문에, 프랑코주의의 경우 파시즘 여부에 대한 논란이 있다. 다만 둘 다 [[종족 내셔널리즘]] 성격을 보였다는 점은 같다. == 스페인 외의 지역에서의 팔랑헤주의 == 팔랑헤주의는 본토인 스페인 뿐 아니라 [[라틴 아메리카]] 지역에서도 상당한 호소력을 발휘하였다. 다만 절대적으로 극우 이념으로 간주되는 스페인 본토의 팔랑헤주의와 달리 라틴 아메리카에서는 좌익적 혹은 진보적으로 변형된 케이스들도 있었다. [[후안 페론]]의 사회복지 정책은 초기 팔랑헤주의의 혁명적이고 프롤레타리아적인 성격에 영향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프랑코 정권]]과도 우호적 관계였다. [[칠레 기독교민주당]]의 전신 중 하나인 국민팔랑헤(Falange Nacional, 1935~1957)는 1942년까지는 교권 파시스트 극우정당이였으나 이후에는 정치적 개혁주의와 복지주의를 옹호하는 중도~중도좌파 정당으로 바뀌었다. [[카테브당]]도 20세기에는 팔랑헤주의를 표방했는데, 재미있는 점은 카테브당은 친이스라엘 정당이다. [[분류:국수주의/스페인]][[분류:파시즘/분파]][[분류:생디칼리슴]][[분류:전체주의]][[분류:반공주의]][[분류:군국주의]][[분류:제3의 위치]][[분류:스페인의 사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