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한강의 교량)] || {{{-2 {{{#555,#aaa 하류 방면}}}}}}[br]← [[미사대교]] ||<-2><#006fb9> '''[[한강|{{{#fff 한강의 교량}}}]]''' || {{{-2 {{{#555,#aaa 상류 방면}}}}}}[br][[팔당댐 관리교]] → || ||<-4><#004a8b> {{{#fff {{{+2 '''팔당대교'''}}}[br]八堂大橋 | Paldangdaegyo(Bridge)}}} || ||<-4><#004a8b> {{{#fff ▲ [[팔당로|{{{#fff '''팔당로'''}}}]] }}} || || {{{-1 {{{#555,#aaa [[다산동|{{{#555,#aaa 다산동}}}]] 방면}}}}}}[br][[미사대교]][br]← - km ||<-2><#ae1932> [[경강로|{{{#fff '''경강로'''}}}]] || {{{-1 {{{#555,#aaa [[양평군|{{{#555,#aaa 양평}}}]] 방면}}}}}}[br]팔당제1터널[br]- km → || || {{{-1 {{{#555,#aaa [[행주대교|{{{#555,#aaa 개화}}}]] 방면}}}}}}[br][[미사대교]][br]← - km ||<-2><#ae1932> [[미사대로|{{{#fff '''미사대로'''}}}]] || {{{-1 {{{#555,#aaa [[팔당댐|{{{#555,#aaa 팔당댐}}}]] 방면}}}}}}[br]배알미대교[br]- km → || ||<-4><#004a8b> {{{#fff ▼ [[창우로(하남)|{{{#fff '''창우로'''}}}]] [include(틀:노선번호/국도, n=45)] }}} || ||<-4>{{{#!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팔당대교, 너비=100%, 높이=225)]}}} || ||<-4><#c0c0c0,#3f3f3f> '''다른 문자 표기''' || ||<-4>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 간체자 || 八堂大桥 || || 가타카나 || パルダン大橋 ||}}}}}}}}} || ||<-4><#c0c0c0,#3f3f3f> '''위치''' || ||<-4>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팔당리]] (북단) || ||<-4> [[경기도]] [[하남시]] [[창우동]] (남단) || ||<-4><#c0c0c0,#3f3f3f> '''개통''' || ||<-4> [[1995년]] [[4월 25일]] || ||<-2> '''시공''' ||<-2> '''관리''' || ||<-2> [[울트라건설]] ||<-2> [[서울지방국토관리청]] || ||<-4><#c0c0c0,#3f3f3f> '''길이 / 폭''' || ||<-4> 길이 935m, 폭 24m(왕복 4차선) || ||<-4> '''구조형식''' || ||<-4> 일단 거더교[br](Girder Bridge) || [[파일:attachment/261.jpg|width=450]] [목차] [clearfix] == 개요 == [[경기도]] [[하남시]] [[창우동]]과 [[남양주시]] [[와부읍]] 팔당리를 잇는 총길이 935m, 너비 24m인 [[한강]]의 다리이다. [[울트라건설]]의 전신인 유원건설이 시공해 [[1986년]] [[5월 10일]]에 착공하여 [[1995년]] [[4월]]에 완공하였다. 당시 유원건설은 팔당대교 북단에서 시작하여 양평을 잇는 6번국도 확장공사 2공구(팔당 - 능내리)를 동시에 시공하고 있었다. 나머지 1공구(덕소 - 팔당) 구간은 경향건설(구 공영토건), 3공구(능내리 - 용담리)구간은 임광토건, 4공구(용담리 - 오빈리)는 흥화공업이 수주했다. 팔당대교는 [[45번 국도]]의 일부로 지정되어 있다. 원 계획은 1984년에 완공된 국내최초의 사장교 [[진도대교]]에 이은 두 번째 사장교로 건설하는 계획이었으나 [[1991년]] [[3월 26일]]에 강풍으로 인한 사상사고로 무너지면서 완전히 다른 공법으로 지어 현재의 형태가 되었다. 인근에 [[팔당댐]]과 팔당유원지, [[하남시 버스환승 공영차고지]] 등이 있으며 한강 줄기를 따라 유원지가 즐비하게 늘어서 있다.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의·중앙선]] [[팔당역]]도 있다. 통행량이 많아서 노면 상태가 상당히 좋지 않다. [[포트홀]]은 기본이고 보수공사 때문에 단차가 생겨 지나갈 때 차량에 큰 충격을 주기도 한다. 때문에 노면 보수공사를 자주 하는데, 1~2주 뒤에 보수한 부분을 보면 다시 훼손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북단 교차로([[덕소리]] 방면)는 평면화가 되어 있어 신호대기를 받아야 한다. 이것 역시도 팔당대교의 정체를 더욱 악화시키는 원인 중 하나다. == 상습 정체 구간 == 이 도로는 평일 퇴근 시간과 주말에 정체가 심하다. 양평과 양수리↔서울 강남 간을 연결하는 거의 유일한 길이기 때문이다. 양평이 버스가 별로 없기 때문에 평일에 출퇴근하는 양평 군민들은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을 이용한다. 실제로 철도가 개통한 이후 [[양평군]] 교통정체가 줄었다가 [[중부내륙고속도로]] 개통 이후로 양평이 목적지가 아니라 중부내륙고속도로를 이용하는 차량이 늘어나면서 교통정체는 심해졌다. 양평으로 가는 대부분의 차량은 [[서울양양고속도로]] 미사IC에서 [[미사대로]]를 따라 이 다리를 지나 [[6번 국도]]로 간다. 미사대로가 거의 모든 교차로에 지하차도가 있고 바로 [[올림픽대로]]와 연결되기 때문에 강북이든 강남이든 여기가 가장 빠르다. 물론 남양주 덕소와 [[구리시|구리]]를 지나갈 수도 있지만 신호가 많고 지하차도가 없어서 시간이 오래 걸린다. 강북으로 가는 차량들([[동서울터미널]]행 직통 시외버스 포함)도 대부분 양평에서 팔당대교를 건너 강남으로 내려가 [[미사대로]]를 통해 올림픽대로를 진입해서 적당한 다리에서 다시 강북으로 건너간다. 그리고 이 다리는 양평을 오가는 차량뿐만 아니라 [[양평IC]]를 통해 [[중부내륙고속도로]]로 가는 차량들도 많이 이용하기 때문에 팔당대교-6번국도 라인은 특히 주말에 정체가 심하다. 다만 이것은 중부내륙선이 화도 연장되면 어느 정도 해결될 것으로 보인다.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소흘JC]] ~ [[화도JC]] ~ [[양평IC]] 구간이 개통하면서 팔당대교 쪽의 교통량을 조금이나마 저 구간이 가져갔다. 오히려 [[화도JC]] 부근의 정체 현상을 걱정해야 할 지경이다. 또한 남양주에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나 [[중부고속도로]]로 가기위해 [[하남IC]]를 이용하는 차량도 많다. 그래서 주변을 지나가다 보면 [[미사대교]]나 [[팔당댐 관리교]](일부시간대 한정)을 이용해 우회하라는 안내문이 있다. 다만 우회하면 시간이 오래 걸려서 아주 심하지 않다면 막혀도 팔당대교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미사대교를 이용하려면 덕소를 경유해야하고 관리교는 [[6번 국도]]와 직접 연결되지 않아 시골길을 한참 달려야 한다. 양평과 서울을 지나는 고속(화)도로를 짓거나 다리를 하나 더 만들면 소요시간 단축은 물론 [[양평군]] 발전에 도움이 되어 양평군이 수도권의 새로운 [[위성도시]]로 성장할 수도 있었지만 그동안 그런 계획이 없었다. 그렇기 때문에 그나마 고속화되어 있는 올림픽대로-미사대로-팔당대교-6번 국도 쪽으로 사람이 몰린다. 미사대로 구간은 거의 모든 교차로에 [[지하차도]]가 설치되어 있고 팔당대교 남/북단 전부와 [[6번 국도]] 일부 구간이 입체교차화가 되어 있으며 [[6번 국도]]의 이쪽 구간 선형이 국도치고는 좋은 편이기 때문에 시간 단축 효과가 있다. 현재 양평군에는 고속도로가 있기는 한데 [[서울양양고속도로]], [[광주원주고속도로]]는 시 외곽을 지나고, [[중부내륙고속도로]]는 서울을 가지 않아서 [[서울양평고속도로]]가 계획되었지만, 이마저도 [[서울양평고속도로/논란|정치적 이슈]]로 인해 표류하고 있는 상황이다. == 제2팔당대교 == [[파일:제2팔당교.jpg]] 2019년부터 상류 쪽으로 100여m 떨어진 곳에 가칭 제2팔당대교를 공사 중이며, 2026년 완공하는 것이 목표이다. == 연계교통 == === 버스 === * [[하남 버스 50]] : 하남 미사지구와 경의중앙선 팔당역을 잇는 마을버스 * [[남양주 버스 112-1]] : 2호선 강변역과 남양주 덕소지구를 잇는 버스. * [[양평 버스 2000-2]] : 양평터미널과 2·8호선 잠실역을 잇는 농어촌버스로 일 1회 왕복운행하는 귀한노선이다. * [[양평 버스 8-8]] : 하남시 신안아파트 후문과 양평군 문호리를 잇는 농어촌버스로 일 3회 왕복운행한다. * [[양평 버스 G9311]] : 양평군 용문버스터미널과 2·8호선 잠실역을 잇는 직행좌석버스로 직행좌석버스 중에 유일하게 팔당대교를 지나간다. * 오션월드 셔틀버스 : 2·9호선 [[종합운동장역(서울)|종합운동장역]] ↔ [[홍천군|홍천]] [[오션월드]]를 잇는 셔틀버스. == 사건 사고 == * 1991년 [[3월 26일]] 오전 8시 50분경, 사장교 중간부분의 철재빔이 전날 강풍으로 인한 거푸집과 교판의 진동으로 무너저내려 아래서 작업하고 있던 포크레인 기사 1명이 깔려 사망하였다. 이 사고로 팔당대교 공사는 약 6개월정도 중단되어 당해 8월말의 개통은 모조리 물건너가고 시공법을 현재의 방식으로 완전히 바꿔 10월에 공사를 재개하게 된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3509469?sid=101|「팔당대교 공법변경 공사재개」]], 연합뉴스, 1991-10-11] 그러나 1년 후인 1992년 5월 4일에 실시한 안전진단에서 교각균열이 발견되어 공사는 또 중단된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3637334?sid=102|「팔당대교 공사 교각균열로 또다시 중단」]], 연합뉴스, 1992-05-04] * 2022년 11월 11일 13시 30분경에 [[라임 사태]]의 핵심 피의자인 김봉현이 보석 석방 상태에서 팔당대교에서 전자발찌를 끊고 도주했다고 한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29/0002765634|「`라임 사태` 김봉현 전국 수배령…전자발찌 끊고 도주」]], 디지털타임스, 2022-11-11] 이와 더불어서 일각에서 중국 밀항 준비설이 제기되고 있어 검찰이 이미 김봉현에 대해서 보석 취소를 신청했고 법원이 인용한 상황이었고, 도주 48일만인 12월 29일에 검거되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21229134551004|「[2보] '라임 주범' 김봉현 경기도서 검거…도주 48일만」]], 연합뉴스, 2022-12-29] [[분류:팔당댐]][[분류:한강의 교량]][[분류:45번 국도]][[분류:1995년 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