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응씨배 역대 우승자, top=우승자)] ||<-2>
'''{{{+1 판팅위 [br] 范廷钰[* [[번체자]]: 范廷鈺] | Fan Tingyu}}}'''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wKhpBlrwC2qAUUQkAAJ3YeUxfLo571.jpg|width=100%]]}}} || || '''{{{#white 직업}}}''' || [[바둑기사]] || || ''' {{{#white 소속}}}''' || [[중국기원]] || ||<|2> ''' {{{#white 출생}}}''' || [[1996년]] [[8월 6일]] ([age(1996-08-06)]세) || || [[상하이시]] || || ''' {{{#white 국적}}}''' || [include(틀:국기, 국명=중국)] || || ''' {{{#white 학력}}}''' || || || ''' {{{#white 입단}}}''' || [[2008년]] || || '''{{{#white 단급}}}''' || 九단 || || '''{{{#white [[한큐바둑]] 닉네임}}}''' || ykpcx(P) || || '''{{{#white [[타이젬바둑]] 닉네임}}}''' || ddcg(P)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기원]] 소속 [[바둑 기사]]. 1996년생으로 2008년에 입단했으며 단수는 九단이다. == 경력 == === 입단 후~2017년 === 2008년 입단했을 때부터 주목받은 중국의 기재였다. 그러다가 아직 三단이었던 2012년 '''[[응씨배]] 결승에 올라가서 [[박정환(바둑기사)|박정환]] 九단을 꺾고 우승을 하는 대이변'''[* 더욱 대단한 것은 그가 본선에서 꺾고 온 상대들이다. 32강에서는 [[다카오 신지]]를 16강에서는 한국 랭킹 1위 [[이세돌]]을 8강에서는 [[탄샤오]]를 준결승에서는 [[셰허]]를 종합 전적 2-1로 꺾고 올라왔다는 것이다. 중요한 것은 16강부터 꺾고 온 상대들 모두 '''랭킹 1위''' 출신 기사들이라는 것이다. [[박정환(바둑기사)|박정환]] 마저 종합 전적 3-1로 이겼으니 말 다했다.]을 일으키고 박정환 九단은 그 길로 [[슬럼프]]에 빠져버리게 되었다. 판팅위는 응씨배 우승으로 중국기원 규정에 따라 九단으로 승단했다. 판팅위는 응씨배 우승 이후에는 세계 대회에서는 잘 보이지 않으나, [[인터넷]] [[바둑]]에서는 최강자로 군림하고 있다. [[타이젬 바둑]]과 [[한큐바둑]]에서 나오는 판팅위의 ddcg 아이디는 그야말로 '''프로 기사들에게 공포의 ID'''로, [[커제]]나 [[스웨]], [[박정환(바둑기사)|박정환]], [[이세돌]], [[이야마 유타]] 등의 최강급 기사들이 ddcg만 만나면 추풍낙엽처럼 쓰러져간다. [[중국]]의 [[바둑]] [[인공지능]]인 kiss88이라는 계정에 다른 [[바둑기사]]들이 전멸해나갈 때도 ddcg는 잘만 이긴다. [[알파고]]도 판팅위가 인터넷바둑으로 한다고 하면 이길 가능성이 꽤 있어 보인다라고 쓰여있었지만 kiss88은 커제의 다른 아이디이고 알파고로 추정되는 master라는 아이디가 등장해 현재 한중일 기사 상대로 전승을 달리고 있다... 물론 판팅위도 패배. 2013년 제15회 [[농심신라면배]]에 선봉으로 나와서 1라운드 때 야오즈텅, 최기훈, 안자이 노부아키를 격파하며 3연승을 거뒀지만, 한국의 2장 [[강동윤]] 九단에 막혀 4연승에는 실패했다. 2016년 18회 [[농심신라면배]]에 나와서 1라운드 때 [[이치리키 료]], [[이동훈(1998)|이동훈]], [[장쉬]]를 격파하며 3연승을 거뒀다. 그리고 2라운드에서 강동윤에 이어 고노 린, 김지석, 무라카와 다이스케에게 승리하여 '''7연승'''을 거뒀으나 한국의 주장 박정환 9단에게 막혔다. 농심배에서는 연승 신기록을 달성한 것. 2017년 19회 농심배에서는 [[신민준]]에게 지며 첫 판에서 탈락했다. === 2018년 === 2018년 5월 3일 30회 [[TV 바둑 아시아 선수권대회]] 준결승전에서 [[나현]]에게 지며 탈락했다. 5월 말 LG배에서 8강에 진출했다. 9월 23일 천부배 B조 8강전에서 탄샤오에게 패했다. 10월 17~19일 농심배에서 중국 선봉으로 출전해 시바노 도라마루, 신민준, 모토키 가쓰야를 상대. 3연승으로 1R을 휩쓸었다. 31일 중국 아함동산배에서 [[구쯔하오]]에게 지며 준우승에 그쳤다. 11월 12일 LG배 8강전에서 박정환을 꺾고 4강에 진출했다. 14일 열린 준결승전에서는 [[스웨]]에게 지며 탈락했다. 23~26일 농심배 2R에서 최철한, 쉬자위안, 이세돌, 이치리키 료를 꺾고 2년 전 자신의 대회 7연승 기록을 다시 한 번 달성했지만, 27일 한국 대표팀 최종 주자 박정환에게 패하며 연승을 마감했다. === 2019년 === 2019년 3월 15일 중국 왕중왕전에서 [[셰얼하오]]에게 지며 준우승에 그쳤다. 5월 27일 LG배 32강전에서 미위팅을 만나 1.5집 패했다. 8월 3일 국수산맥배 16강전에서 이동훈에게 패했다. 9월 12일 아함동산배 결승에서 퉈자시를 꺾고 우승했다. 11월 30일 위부방개배 결승에서 미위팅을 꺾고 우승했다. 12월 3일 중-일 아함동산배에서 장쉬에게 패했다. === 2020년 === 2020년 8월 20일 농심배에 중국 대표팀 3장으로 출전, 당일 박정환과의 대국이 무효가 되며 다음날 재대국에 나섰지만 패했다. 9월 9일 응씨배 16강전에서 신진서에게 접전 끝에 패하며 대회 두 번째 우승 기회를 놓쳤다. 10월 13일 농심배에 중국 선봉으로 나섰지만, 홍기표에게 패했다. === 2021년 === 2020년 12월 31일~2021년 1월 2일 열린 몽백합배 4강전에서 셰커에게 종합 전적 0-2로 패하며 탈락했다. 1월 18일 춘란배 8강전에서는 신진서에게 패했다. 10월 23일 삼성화재배 16강전에서도 신진서에게 패했다. 11월 26일 농심배 5차전에서 박정환에게 승리했지만, 다음날 6차전에서 이야마 유타에게 패했다. 12월 10일 오전에 열린 [[국수산맥 국제바둑대회]] 16강전에서 [[최철한]]을 꺾고 8강에 진출했지만, 같은 날 오후에 열린 8강전에서는 [[변상일]]에게 패했다. === 2022년 === 2022년 4월 29일 중국 취저우 난가배 결승에서 리쉬안하오에게 패하며 준우승에 그쳤다. 5월 27일 왕중왕전 결승에서도 리쉬안하오에게 패해 준우승에 그쳤다. 10월 11~13일 [[제24회 농심신라면배 세계바둑 최강전]]에 중국 대표팀 선봉으로 출전해 3연승을 거뒀다. 동시에 대회 통산 21승을 달성하며 [[이창호]]의 농심배 다승 1위 기록(19승 3패)을 경신했다. 14일에는 한국 강동윤에게 패배하며 4연승 달성에는 실패했다. 통산 21승 8패. 11월 1일 삼성화재배 16강전에서 신진서에게 패했다. === 2023년 === 3월 5일 중국 서남왕배 결승에서 탕웨이싱을 꺾고 우승했다. 7월 26일 오전에 열린 [[국수산맥 국제바둑대회]] 16강전에서 이원도를 꺾고 8강에 진출했지만, 같은 날 오후에 열린 8강전에서는 [[변상일]]에게 패했다. 8월 4일 몽백합배 32강전에서 신진서에게 역전패했다. == 기풍 == 안전하고 천천히 가는 스타일. 다른 정상급 기사들과는 다르게 행마가 둔탁하고 무겁다고 평가받는다.[* 그럼에도 무서울 정도의 실력이다.] == 주요 기사들과의 상대 전적 == * 김지석 7:1 * 박정환 7:10 * 신민준 4:2 * 신진서 1:7 * 이세돌 5:2 * 최철한 3:7 == 여담 == * [[한국]] [[사이버오로]], [[바둑 갤러리]], [[타이젬 바둑]] 등에서 불리는 [[별명]]은 '''[[~가놈|판가놈]], 판가, 판Stupid(판스투피드)'''[* [[2012년]] [[BC카드배]] 예선에서 [[김미리]] 三단(당시)과의 대국 끝나고 [[복기]] 때 김미리 三단한테 “Stupid”라고 [[욕설]]을 했다가 김미리 三단이 이의제기해서 큰 문제로 불거진 적이 있었다. 판팅위 九단의 승리는 인정됐지만 김미리 三단한테 사과하고 중국기원에서 문책, 출전 대회 예선 대국료 삭감 등의 징계를 받았다.],샤오판[* 한자로小范(소범)으로 위빈九단이 당시 응씨배를 우승한 나이 어린 판팅위에 대한 애칭이다.], 판라오반[* 중국어로 [[사장]]이라는 뜻으로 판팅위의 세대, 또래와는 어울리지 않는 8대2 가르마 헤어스타일과 특이한 걸음걸이로 생긴 별명이다.], 비매품[* 2010년 [[중국바둑갑조리그]]에서 12승 5패의 성적으로 신예 기사 가운데 최고의 성적을 거두었으며 다음 해에는 주장전에도 출전하며 팀에 결정적인 승리를 많이 안겨 ‘비매품(非卖品)’이란 별명을 얻었다. 다른 팀에 절대 팔 수 없는 소년이라는 것이다.], 소년석불[* 少年石佛 이창호의 별명이 석불이고 판팅위가 하는 행동과 바둑 내용에서 이창호와 흡사하다고 판단하여 중국 언론에서 붙인 별명이다.]등이 있다. Stupid 얘기는 2016년 6월 14일 방송분 [[바둑 비타민]]에서 [[김미리]] 三단이 직접 밝혔다. [[https://youtu.be/P0Cgnp6EWNE?t=26m56s|실제 영상(26:56초부터). Stupid라고 한 건 28분에 나온다.]] * [[중국기원]]에서는 바둑 기사들을 모아 놓고 단체로 연구하는 형태를 띠는데, 판팅위만큼은 단체 훈련보다는 혼자 연구하는 편이다. 이는 판팅위의 천재성을 알아본 중국 바둑 국가대표팀 감독 [[위빈]] 九단의 배려 덕분이라 할 수 있다. || [[파일:TB11iZ2OFXXXXb5XpXXXXXXXXXX_!!0-item_pic.jpg|width=100%]] || || [[중국]]의 [[바둑]] [[잡지]]인 [[위기천지]]에 나온 판팅위 || [각주] [[분류:바둑 기사/중국]][[분류:상하이시 출신 인물]][[분류:1996년 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