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랴오닝성의 지급시]][[분류:중국의 도시]] [include(틀:랴오닝성의 행정구역)] ||<-3> [[파일:중국 국기.svg|height=20]] {{{#000,#ddd '''[[중국|{{{#000,#ddd 중화인민공화국}}}]] [[랴오닝성|{{{#000,#ddd 랴오닝성}}}]]의 [[지급시|{{{#000,#ddd 지급시}}}]]'''}}} || ||<-3> {{{#ff0 '''{{{+1 [ruby(盘锦, ruby=Pánjǐn)][ruby(市, ruby=Shì)]}}}'''[br]판진시 | Panjin City}}}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盘锦市, 너비=100%, 높이=100%)]}}} || ||<-2> '''{{{#ffff00 시정부 소재지}}}''' || 둥완신구[br]빈하이다다오 및 향하이다다오 교차지[br]东湾新区[br]滨海大道与向海大道交叉口 || ||<-2> '''{{{#ffff00 지역}}}''' || [[둥베이]] || ||<-2> '''{{{#ffff00 면적}}}''' || 4,084km² || ||<-2> '''{{{#ffff00 하위 행정구역}}}''' || 3구 1현 || ||<-2> '''{{{#ffff00 시간대}}}''' || UTC+8 || ||<-3> '''{{{#ffff00 인문 환경}}}'''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2> '''{{{#ffff00 인구}}}''' || 1,389,691명 ^^(2020)^^ || ||<-2> '''{{{#ffff00 인구밀도}}}''' || 340명/km² || ||<-2> '''{{{#ffff00 HDI}}}''' || 0.792 ^^(2016)^^ || ||<-2> '''{{{#ffff00 서기}}}''' || 왕빙선(王炳森) || ||<-2> '''{{{#ffff00 시장}}}''' || 싱펑(邢鹏) || ||<|2> '''{{{#ffff00 GRDP}}}''' || '''{{{#ffff00 전체}}}''' || $204억 2,084만 ^^(2020)^^ || || '''{{{#ffff00 1인당}}}''' || $14,695^^(2019)^^ || ||<|2> '''{{{#ffff00 상징}}}''' || '''{{{#ffff00 시화}}}''' || [[극락조화]] || || '''{{{#ffff00 시목}}}''' || [[회화나무]] || ||<-2> '''{{{#ffff00 차량번호}}}''' || '''辽L''' || ||<-2> '''{{{#ffff00 행정구역 약칭}}}''' || '''盘''' || ||<-2> '''{{{#ffff00 행정구역코드}}}''' || '''21'''1100 || ||<-2> '''{{{#ffff00 지역전화번호}}}''' || '''0427''' || ||<-2> '''{{{#ffff00 우편번호}}}''' || '''1240'''00 || ||<-2> '''[[ISO 3166-2|{{{#ffff00 ISO 3166-2}}}]]''' || '''CN-LN-13''' ||}}}}}}}}} || ||<-3> [[http://www.panjin.gov.cn/|홈페이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중국 판진.jpg|width=300]]||[[파일:판진 중국.jpg|width=550]]|| |||| 판진시의 대표적인 관광지인 칠면초로 붉게 물든 판진 갯벌 |||| 중국 [[랴오닝성]] 서부의 지급시. [[선양시]]에서 서남쪽으로 150km, [[잉커우]]에서 북쪽으로 40km 떨어져 있다. 면적은 4071km^^2^^로 [[제주도]] 면적의 2.2배에 불과--?--하며, 랴오닝성은 물론 북중국 전체에서 가장 작은 지급시이다. 따라서 관할 인구 140만명 중 대다수인 120만명 정도가 솽타이즈허(双台子河) 하류 양안에 펄쳐진 시가지에 거주한다. 인근에 중국 제3의 유전인 [[랴오허]] 유전 등이 위치한 덕에 [[다칭]]과 함께 [[둥베이]] 지역의 주요 석유 생산지이다. 이를 기반으로 한 정유, 석유화학산업이 발달하였으며 평균 해발고도 4m의 드넓은 평야에서 생산되는 쌀 역시 주요 생산품이다. 판진 북역에는 잉커우-판진, 선양-[[친황다오]] 고속철이 지난다. 잉커우와 마주보는 다랴오허 하구 쪽에는 다롄 대학교 공대 캠퍼스가 있다. 쐉타이즈하 하구의 습지는 중국의 국가 자연 보호구이며, 수백만 마리의 철새가 모여든다. 그외에 [[인천광역시]] 중구, 경기도 [[구리시]], 울산광역시 [[울주군]]과 자매도시이다. == 역사 == 과거 [[홍산문화]]의 유구가 발견되었다. 고대 시기 요동군, 창려군, 영주를 거쳐 [[요나라]] 때에 중경현덕부가 설치되었다. [[청나라]] 시기에는 해성현으로 불렸고, 관영 방목장이 있었다. 20세기 들어 금주부 ([[진저우]]) 소속 반산청이 있었고, 1913년 판산현으로 승격되었다. [[만주국]] 시절 진저우성, 해방 후 잉커우시에 속했다가 유전 발견으로 인해 발전하며 1984년 판진시로 승격되어 현재에 이른다. 1992년 판진경제발전기구가 세워진 후 인구가 늘고 있다. == 경제 == [[석유]]가 엄청 많이 나는 곳으로, 사실상 석유에 의해 움직이는 도시다. 상술한 랴오허 유전(辽河油田) 외에도 슈광 유전(曙光油田), 싱룽타이 유전(兴隆台油田), 가오성 유전(高升油田) 등이 판진시 안에 있으며, 덕분에 판진은 1인당 GDP가 15,000달러에 근접하는 중국 기준 상당히 부유한 도시다. 어느 정도냐 하면, 판진시정부 자체 통계에 따르면 판진시 소득의 74%가 석유채굴 및 정제사업으로 나온다고 한다. 물론 최근에는 여느 중국 도시들이 다 그렇듯 부동산 투자가 가속화되면서 관련 산업이 크게 뜨고 있기는 하지만, 아직은 석유에 강하게 의존하는 경제체제를 보이고 있다. == 출신인물 == *[[강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