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한국의 성씨)] [include(틀:고려 재상지종)] ||<-2> '''{{{#000 [[고려|{{{#D8C8B2 고려}}}]] [[문벌귀족|{{{#D8C8B2 재상지종 15가문}}}]]}}}'''{{{#!wiki style="margin: -15px -10px" || {{{#!wiki style="margin: -0px -5px" [[파일:파평 윤씨 종문.svg|height=55&align=left]]}}}'''{{{#D8C8B2 {{{+1 坡平 尹氏[br]파평 윤씨}}}}}}''' ||}}} || || '''{{{#D8C8B2 관향}}}''' ||[[경기도]] [[파주시]] [[파평면]] || || '''{{{#D8C8B2 시조}}}''' ||[[윤신달]](尹莘達) || || '''{{{#D8C8B2 중시조}}}''' ||[[윤관]](尹瓘) || || '''{{{#D8C8B2 파조}}}''' ||남원백파(南原伯派) - 8세 윤위(尹威)[br]함안백파(咸安伯派) - 10세 윤돈(尹敦)[br]덕산군파(德山君派) - 9세 윤은형(尹殷衡)[br]문정공파(文定公派) - 7세 [[윤인첨]](尹麟瞻)[br]신녕군파(新寧君派) - 8세 윤인직(尹仁直)[br]대언공파(代言公派) - 12세 윤안적(尹安𥛚)[br]봉록군파(奉祿君派) - 12세 윤중조(尹中珇)[br]판서공파(判書公派) - 13세 윤리(尹莅)[br]야성군파(野城君派) - 14세 윤혁(尹赫)[br]전의공파(典儀公派) - 14세 윤승휴(尹承休)[br]소정공파(昭靖公派) - 15세 윤곤(尹坤)[br]원평군파(原平君派) - 15세 윤목(尹穆)[br]소도공파(昭度公派) - 15세 윤향(尹向)[br]판도공파(版圖公派) - 14세 윤승례(尹承禮)[br]소부공파(少府公派) - 12세 윤암(尹諳)[br]태위공파(太尉公派) - 12세 윤안비(尹安庇)|| ||<|2> '''{{{#D8C8B2 집성촌}}}''' ||[[경기도]] [[파주시]] [[법원읍]][br][[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마북동]], [[구성동(용인)|구성동]][br][[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장군면]] 봉암리[br][[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미원면]] 어암리[br][[충청남도]] [[공주시]] [[탄천면]]·[[논산시]] [[노성면]][br][[전라남도]] [[함평군]] 해보면[br][[전라남도]] [[순천시]] [[풍덕동]][br][[경상북도]] [[구미시]]·[[예천군]][br][[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문산리[br][[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읍]] 신당리[br][[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응암리[br][[대구광역시]] [[북구(대구광역시)|북구]] [[학정동]][br][[인천광역시]] [[남동구]] [[장수동(남동구)|장수동]] || ||[[황해도]] [[송화군]]·[[황주군]]·[[신천군]]|| || '''{{{#D8C8B2 인구}}}''' ||770,932명^^(2015년)^^ | 국내 9위 || [목차] [clearfix] == 개요 == [[경기도]] [[파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 경기도 [[파주]]는 본래 [[고구려]] [[장수왕]] 때 '파해평사현'이라 불렸고 [[신라]] [[경덕왕]]이 지금의 이름인 파평현으로 고쳤다. [[조선]] [[태조(조선)|태조]] 때 서원군과 파평현을 병합하여 원평군이라 하였다. 1461년 세조비 [[정희왕후]]의 관향이라 하여 파주목으로 승격하였고, 1895년 [[군(행정구역)|군]]이 되었다. 그리고 파평이란 지명은 현재도 [[파평면|파주시 산하의 파평면]]이라는 이름으로 남아있다. 고려 개국공신 윤신달의 가문으로서, 고려 전기 문숙공 [[윤관]] 장군 이래 많은 인물들이 배출된 명문 가문이다. 고려후기 [[충선왕]]때에는 종친과 혼인할 수 있는 15가문으로 구성된 [[권문세족#s-4|재상지종(宰相之宗)]]을 정했는데 그 중 하나가 파평 윤씨 가문이다. 또한 조선시대 [[청주 한씨]][* 청주 한씨가 왕비 6명으로 최다 배출. [[신의왕후]], [[소혜왕후]], [[장순왕후]], [[안순왕후]], [[공혜왕후]], [[인열왕후]].] 다음으로 [[여흥 민씨]]와 함께 왕비를 많이 배출하였으며[* 다만 파평 윤씨의 왕비들은 하나같이 정희왕후를 필두로 [[계유정난]]의 직접적인 수혜자로서 왕비가 된 것이라 조선 초기에만 몰려있고 결국 문정왕후를 마지막으로 조선 멸망까지 왕비는커녕 세자빈조차 배출하지 못했다. 그나마 모친이 파평 윤씨인 공회빈 윤씨가 있긴 한데 선조 즉위 및 [[인순왕후]] 사망 이후 세자빈 대우도 사실상 물건너가서 받지 못하며 살았고, 사망 당시가 임진왜란 직전인 탓에 상을 못치르고 시신이 방치되었다가 왜란으로 인해 유실되고 말았다.] [[정희왕후]], [[정현왕후]], [[장경왕후]], [[문정왕후]] 이렇게 넷이 파평윤씨 가문 출신이다.[* 폐비 윤씨는 애초에 폐비된 신분이고, 종묘사직에도 오르지 못했기 때문에 왕비라 할 수 없다. [[광해군]]의 어머니 [[공빈 김씨]]가 한 때 공성왕후로 추존되었으나, 광해군이 폐위되자 왕비로 치지않는 것과 동일하다.] == 역사 == === 창시 === 파평 윤씨의 시조는 [[윤신달]](尹莘達)인데, 훗날 [[태조(고려)|태조 왕건]]을 도와 [[후삼국]]을 통일하고 [[고려]] 창업에 공을 세워 삼한벽상공신(三韓壁上功臣)에 올랐다. 윤신달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전설이 있다. 경기도 파평에 있는 파평산 기슭에 용연(龍淵)이라는 연못이 있었다. 어느 날 이 용연에 난데없이 구름과 안개가 자욱하게 서리면서 천둥과 벼락이 쳤다. 마을 사람들은 놀라서 향불을 피우고 기도를 올린지 사흘째 되는 날, 윤온(尹媼)[* 이름이 아니라 한자 뜻 그대로 윤 할머니, 윤씨 집안의 할머니 라는 말이다.]이라는 할머니가 연못 한 가운데 금으로 만든 궤짝이 떠 있는 것을 보고 금궤를 건져서 열어보니 한아이가 찬란한 금빛 광체 속에 누워있었다. 금궤 속에서 나온 아이의 어깨 위에는 붉은 사마귀가 돋아있고 양쪽 겨드랑이에는 81개의 잉어 비늘이 나 있었으며, 또 발에는 황홀한 빛을 내는 7개의 검은 점이 있었다. 윤온은 이 아이를 거두어서 길렀으며 할머니의 성을 따서 윤씨가 되었다고 하는 설이 있으나, 고려 개국공신으로 태조 왕건으로부터 윤씨로 사성 받았을 확률이 높다. 윤신달의 4대손은 [[여진족]]을 정벌하고 [[동북 9성]]을 쌓은 [[윤관]]이다. 그는 [[고려]] [[선종(고려)|선종]] 때 합문지후와 좌사낭중을 지내고, 여진정벌에 원수가 되어 17만 대군을 이끌고 출전, 함주와 영주 등 9지구에 성을 쌓아 침범하는 [[여진족]]을 평정하였다. 그 공으로 벼슬이 수태보 문하시중 판병부사 상주국 감수국사에 이르렀고, 7형제[* 이는 족보 기준으로, 이와 달리 고려사, 윤언이 묘지명, 하원군 묘지명, 동인지문사륙의 자료를 합치면 윤관의 아들은 최소 9명이다.]를 낳아 가세를 크게 일으켰다. 그래서 파평 윤씨에서는 윤관을 [[중시조]]로 삼고 있다. 파평 윤씨 족보에 따르면 시조 윤신달부터 5세손 [[윤관]]까지 전부 단일계통으로 내려오고 있다. 즉 윤관은 5대 독자이며 모든 파평 윤씨는 윤관의 후손이라는 말이 된다. 시조로부터 윤관까지 세계를 내려가면 윤신달-윤선지-윤금강-윤집형-윤관이 된다.[* 그런데 [[윤언이]] 묘지명은 파평 윤씨 족보와는 다르게 기록했다. 묘지명에 따르면 윤신달 → 윤?? → 윤선지 → 윤집형 → 윤관 순이다.] [[파일:윤관 표준영정.jpg]] [[윤관]] [[장군]]의 영정. [[윤관]] 장군은 문신이지만 [[별무반]]을 편성하여 지금의 [[함경도]]와 간도 일대를 점령하고 [[동북 9성]]([[함흥]]·[[길주]] 등)을 쌓았다. [[파주시|파주]]라는 명칭도 파평 윤씨 가문 때문에 생긴 명칭이다. [[세조(조선)|세조]]는 [[계유정난]] 이후 점차 시국이 안정됨에 따라, 정변 때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한 세조비 파평 윤씨([[정희왕후]])의 고향인 원평도호부를 파평 윤씨에서 '파'자를 따와 파주목으로 승격시켰다.(원평은 서원과 파평을 합친 말이다.) 그리고 할머니 [[원경왕후]]([[여흥 민씨]])의 고향인 여흥 또한 [[여주시|여주]]목으로 승격시켰다. 윤관의 아들 7형제는 다시 아랫대로 내려가면서 수십 파로 분파가 되어졌다. 윤관의 장남 윤언인의 손자 윤위는 남원에서 일어난 반란을 진압한 공로로 남원백에 봉해졌다. 그 이후 후손들을 남원 윤씨라고 불렀다. 윤위의 손자 윤돈 또한 [[함안군]]에서 난을 진압하여 함안백으로 봉해졌다. 그 이후 윤돈의 장남 윤희보의 후손들은 함안 윤씨로 분파되었고 윤돈의 나머지 세 아들의 후손들은 남원 윤씨로 세계를 이어갔다. 현재에 이르러 이 두 성씨는 유래가 명확하므로 각각 파평 윤씨 함안백파와 남원백파로 합본되었다.[* 다만 인구주택총조사에서는 가장 최근 조사인 2015년 조사에서도 여전히 함안 윤씨와 남원 윤씨는 파평 윤씨와 별개의 본관으로 집계가 되고 있다.] [[연산군]]의 어머니로 유명한 제헌왕후([[폐비 윤씨]])가 함안 윤씨이다. 남원 윤씨로는 [[효종(조선)|효종]]-[[숙종(조선)|숙종]] 연간 남인의 거두였던 백호 [[윤휴]]가 있다. 윤관의 5남 윤언식의 후손들은 윤언식의 증손자 윤은형이 덕산군에 봉해짐에 따라 덕산군파로 불려지고 있다. 이외 나머지 파평 윤씨의 분파인 문정공파(文定公派), 신녕군파(新寧君派), 대언공파(代言公派), 봉록군파(奉祿君派), 판서공파(判書公派), 야성군파(野城君派), 전의공파(典儀公派), 소정공파(昭靖公派), 원평군파(原平君派), 소도공파(昭度公派), 판도공파(版圖公派), 소부공파(少府公派), 태위공파(太尉公派) 등은 6남 윤언이의 후손들이다. 이들 가운데서 후손인 판도공파(版圖公派)와 소정공파(昭靖公派)에서 많은 인물을 배출하였다. [[여담]]으로 파평 윤씨의 대부분(80%)은 소정공파(昭靖公派)와 판도공파(版圖公派)로 다른 [[성씨]] 본관의 파에 비해 한쪽 파(派)에 많이 쏠려 있는 편이다. 후손이 적은 파도 있지만 일부 파의 대부분이 북한에 거주한 영향도 있다. [[2000년]] [[통계청]]이 발표한 바에 따르면, 모두 22만 1,477가구, 총 71만 3,947명이 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인구가 많은 만큼 전국적으로 많이 분포하고 있지만, [[충청도]]와 [[경상도]] 쪽에 인구 거주 밀도가 높다. 경상도 중에서는 [[경상북도]]에 인구가 많다. [[경상남도]]의 경우 파평 윤씨가 많은 편이긴 하나 시조가 다른 [[칠원 윤씨]]의 존재로 인해 경북만큼 압도적이진 않다. 특히 [[거제시]]의 경우 파평 윤씨보다 칠원 윤씨들이 훨씬 더 많이 산다. 반면 [[전라도]]에서의 파평 윤씨 인구는 충청도, 경상도에 비해 적다. 전라도에 사는 윤씨는 남원을 본관으로 하는 남원 윤씨나 해남을 본관으로 하는 해남 윤씨인 경우가 많다. 물론 윤씨의 대성(大姓)답게 1위는 파평 윤씨이고, 해남 윤씨는 파평 윤씨 다음으로 2위, 남원 윤씨는 3위. 참고로 4위는 [[해평 윤씨]]인데 해평 윤씨는 같은 성자을 공유할 뿐, 파평 윤씨와는 시조부터가 다른 이본이다. 특히 [[전라남도]]에는 파평 윤씨보다 해남 윤씨들이 더 많다. 다만 남원 윤씨는 모두 파평 윤씨에서 갈라져 나왔기 때문에 파평 윤씨 문중에서는 범 파평 윤씨로 간주하기는 한다. 이들 본관 성씨를 가진 이가 파평 윤씨로 입적할 경우에는 대개 입적이 아닌 환적으로 간주된다. [[해남 윤씨]]는 파평 윤씨와 일절 관련성이 없다. === 번성 === 파평 윤씨는 [[조선]]시대 들어와 가문이 크게 번성하면서 명문 세도가의 반열에 올랐다.(이미 [[고려]] 시절부터 문벌 귀족 15가문을 시작으로 권문세족 안에서도 재상지종 9가문의 명문가였다.) 파평 윤씨는 왕비를 두번째로 많이 배출한 성씨로 앞서 이야기한 것처럼 4명[* 조선왕조에서 제일 많은 왕비를 배출한 가문은 6명을 배출한 [[청주 한씨]] 다. 두번째는 [[여흥 민씨]]와 [[파평 윤씨]]. [[폐비 윤씨]]의 경우는 [[종묘]]에 배향되지 못하고 살아생전 폐비되었으므로, 왕비라고 할 수 없다. [[경종]]의 어머니 [[희빈 장씨]]를 왕비로 치지않는 것과 동일. ]의 [[왕비]]를 배출했으며, 수많은 과거 급제자와 [[고관대작]]들이 나왔다. 그중 [[중종(조선)|중종]] 대에서는 파평 윤씨에서 2명의 왕비([[장경왕후]]와 [[문정왕후]])가 나와 한 가문에서 [[붕당#s-1.3|대윤과 소윤]]으로 갈려 싸우는 비극을 연출하기도 했다. 판도공파의 파조는 윤승례인데, 그는 시조 윤신달의 13세손으로 윤척의 아들이다. 윤승례의 아들이 [[세조(조선)|세조]]의 장인인 윤번이고, 윤번의 딸이 [[정희왕후]](세조 비)이다. 판도판서공파는 윤승례의 아들 대에서 제학공파 부윤공파 정정공파로 갈라진다. 그중 정정공파에서 2명의 [[왕비]]가 나와 대윤과 소윤의 싸움이 빚어졌다. 윤승례의 아들 윤번은 [[세조(조선)|세조]]의 장인이고, 윤번의 맏아들인 윤사분은 [[우의정]], 둘째인 윤사윤은 예조판서, 셋째인 윤사흔이 우의정이 되어 형제간에 [[정승]]을 지냈으며 7∼8대에 걸쳐 국구부원군과 공신부원군, 정승, [[판서]]와 당상관들이 배출되어 조선 시대 최고의 가문으로 성장하였다. 하지만, 호사다마라는 말이 있듯이 윤사윤과 윤사흔 두 집안에서 각각 [[중종(조선)|중종]]의 [[왕비]]([[장경왕후]], [[문정왕후]])가 배출되어 왕실 및 왕위 계승을 놓고, 대윤과 소윤으로 갈라져 싸우는 비극이 일어났다. 윤사윤의 손자인 윤여필의 딸이 [[중종(조선)|중종]]의 제1 계비인 [[장경왕후]]이고, 그녀의 오빠가 [[윤임]]이다. [[장경왕후]]는 세자([[인종(조선)|인종]])를 낳고 곧바로 죽었다. [[장경왕후]]의 뒤를 이어 윤사윤의 동생인 윤사흔의 증손 윤지임의 딸이 제2 계비로 책봉되어 [[문정왕후]]가 되었다. 먼 친척뻘인 고모와 질녀가 같은 왕의 왕비가 된 것이다. [[문정왕후]]는 4명의 [[공주]]를 낳은 끝에 어렵사리 아들 [[명종(조선)|명종]]을 낳았다. 그 뒤로 그녀는 남동생 [[윤원형]]을 끌어들여(소윤) [[장경왕후]]의 오빠 [[윤임]]을 중심으로 한 일파(대윤)와 정치적 암투를 벌였는데 이를 대윤과 소윤의 싸움이라고 한다. 대윤과 소윤의 싸움은 [[명종(조선)|명종]]이 왕위를 계승함으로써 소윤의 승리로 끝났으나, 소윤 역시 [[문정왕후]]가 죽자 몰락하였다. 결국 대윤과 소윤의 싸움은 파평윤씨 판도공파의 몰락을 가져오는 계기가 되었다. 소정공파는 윤승례의 형 윤승순의 아들인 윤곤의 후손이다. 윤승순은 [[공민왕]] 때 요승인 [[신돈]]의 살해를 모의하다 발각되어 유배되었다가, [[신돈]]이 주살된 후 풀려나 응양군 상호군이 되어 왜국의 침입을 막아냈다. [[창왕]] 때는 [[권근]]과 함께 [[명나라]]에 사신으로 가, 명나라의 명에 의해 [[공양왕]]을 즉위케하였고, 판개성부사를 지냈다. 윤곤은 [[제2차 왕자의 난]] 때 [[이방원]](李芳遠, 태종)을 도와 좌명공신에 책록되고 이조판서를 지냈다. 그의 손자 윤호는 [[성종(조선)|성종]]의 장인으로서 딸이 성종비인 [[정현왕후]](貞顯王后)이다. 그 후 그는 돈령부영사를 거쳐 우의정에 이르렀다. 윤곤의 후손 중에는 [[성종(조선)|성종]] 때 [[영의정]]을 지낸 윤필상이 있다. 그는 [[문종(조선)|문종]] 때 추장문과에 급제했다. [[이시애의 난]]에 도승지로 왕명을 신속하게 처리하여 우참찬에 특진하였다. 성종 때 영의정에 오르고 부원군에 봉해졌으나, [[연산군]]의 생모인 [[폐비 윤씨]]의 폐위를 막지 못하였다는 죄로 진도에 유배되고 [[사약]]을 받았다. 그의 증손인 윤현은 [[명종(조선)|명종]] 때 호조판서를 지내고, [[선조(조선)|선조]] 때 사은사로 명나라에 다녀온 뒤 돈령부영사에 이르고 청백리에 녹선되었다. 이밖에 소정공파의 윤사로는 [[세종대왕]]의 딸 정현옹주와 결혼하여 [[영천군]]에 봉해지고, 세조 즉위년 좌익공신에 책록되고 좌찬성, 중추부영사에 이르렀다. 파평 윤씨 출신 중 [[일제강점기]]에 작위를 받은 사람은 없다. [[조선귀족]] 명단을 살펴보면 종종 윤씨가 눈에 띄기는 하나 파평인은 아니다. 파평 윤씨가 윤씨 중 제일 인구가 많다보니(전체 윤씨 중 약 75%) 좋은 쪽이든 나쁜 쪽이든 윤씨라면 무조건 파평 윤씨로 간주되는 경우가 많지만 파평 윤씨가 아니다. 후손으로서 자부심을 가질 일이기는 하나, 엄밀히 따져보면 조선 초, 중기와 달리 후기에는 가문의 영향력이 떨어졌던 것이 주된 이유가 아닌가 한다. 아무래도 당시에 높은 자리를 차지하고 있었다면 나중에 작위를 반납하는 한이 있더라도 어떻게든 작위를 받았을 가능성이 높았기 때문이다. 거기다 조선의 초기 전성기를 대놓고 박살낸 [[계유정난]]의 최대 조력자 가문인 것은 절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인지라 역사를 어느 정도 배운 대중들에게는 친일파를 제외하고 봐도 인식이 좋기는 어렵다. 실제로 가상 대체 역사 사극이지만 파평 윤씨 가문의 주연을 악역으로 설정한 '대군 사랑을 그리다'에서 되려 파평 윤씨 가문의 배우인 윤시윤이 실제 역사에서 세조 및 정희왕후와 척을 진 안평/금성대군 역을 맡은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2022년]]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 [[윤석열]]이 대한민국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하버드 대학교]] 에드워드 와그너(Edward Willett Wagner) 교수와 [[전북대학교]] 송준호 명예교수[* 여담이지만 송준호 교수는 생전에 남긴 저서가 겨우 1권뿐이고, 그것도 학회에 발표한 논문을 모은 논문집이지만 한문으로 기록된 [[한국사]], [[중국사]] 원사료 해독 능력만큼은 타의 추종을 불허했다고 한다. 오만하고 콧대 높은 도올 [[김용옥]]조차도 그 능력을 인정하여 감히 송 교수 앞에서는 함부로 아는 척을 할 엄두를 못냈을 정도.]가 조선 시대 과거 급제자들의 출신 배경 및 그 행적과 업적을 종합적으로 추적한 와그너-송 프로젝트에 따르면 조선 시대 과거 급제자들 중 [[전주 이씨]], [[안동 권씨]][* [[안동 권씨]]는 [[경주 김씨]]에서 갈라져 나왔다.] 다음으로 많은 과거 급제자를 배출했다고 한다.[* 그 뒤로는 [[남양 홍씨]], [[청주 한씨]], [[광산 김씨]], [[밀양 박씨]], [[연안 이씨]], [[여흥 민씨]] 순으로 순위가 이어진다.] 참고로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한국학 중앙 연구원]]에서 운영하는 [[http://people.aks.ac.kr/index.aks|한국 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에 따르면,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는 전주 이씨 868명, 안동 권씨 366명, 파평 윤씨 346명(함안/남원 윤씨 포함 424명)이다. == 속설 == 윤신달과 [[윤관]]을 거치며 명문가의 반열에 올라선 파평 윤씨 가문에서는 [[잉어]]를 먹지 않는 [[전통]]을 갖고 있다.[* [[경주 이씨]]에서도 비슷한 연유로 잉어를 먹지 않는 전통도 이어져 내리고 있다.] 시조인 윤신달이 연못의 옥함에서 나왔을 때 81개의 [[비늘]]이 나 있었다는 전설과 [[윤관]]이 적에게 쫓길 때 잉어의 도움으로 탈출했다는 [[전설]] 때문인데, 그래서 파평 윤씨 가문에서는 자신들이 잉어의 자손이며 또한 선조에게 도움을 준 은혜에 보답하는 뜻으로 잉어를 먹지 않는다고 한다. 실제로 [[스펀지(KBS)|스펀지]]에서 가수 [[윤도현]],[* 주제 자체가 "윤도현은 잉어를 먹으면 아버지한테 혼난다."였다.] 개그맨 [[윤성호]]를 불러 관련 설화에 대해 다뤘을 때는 당시 기준으로 거의 대부분의 파평 윤씨 집안에서 여전히 잉어를 먹지 않는다는 것이 밝혀지기도 했다. 정확하게는 문중의 어르신 몇 명과 윤도현/윤성호에게 잉어찜을 먹이려고 시도했으나 전부 실패. 그리고 시조 윤신달 설화와 윤관의 잉어 탈출 설화를 소개했다. 여담으로 실험에 쓰일 잉어찜과 잉어탕을 만들기 위해 전문 요리사 두 명을 초빙했었는데, 잉어탕을 맡은 요리사가 파평 윤씨여서, 해당 요리를 만들 수가 없었다. 그 외에도 일반인 피실험자 중에는 임산부도 있었는데[* 잉어는 대표적인 보양식이라 임산부들이 많이 먹는다.] 이 역시 파평 윤씨라서 잉어찜을 거부했다. 실질적으로 한국에서 사는 데 큰 무리가 없는 제한이기에 잘 지켜지는 것인 모양. 한국에서 잉어 요리는 기껏해야 산모 보양식으로 먹는 잉어탕 정도나 전해져오는 정도기 때문이다. 식당에 따라서는 드물게 특이한 요리로 내놓는 경우가 있다고는 해도 일부러 찾아갈 정도가 아니면 보기 힘들다. 또한 병이나 임신 등으로 어쩔 수 없이 먹어야 할 때는 조상님도 너그러이 이해해 주실 거라고 생각하기도 한다.[* 이보다 훨씬 더 규율이 엄격한 이슬람교에서도 [[하람 푸드|하람]]이라며 금기시하는 음식 역시 건강에 이상이 있거나 먹을 게 그것밖에 없는 등 불가피한 상황일 때는 먹어도 된다.] 그리고 애초에 그렇게 엄격한 규칙도 아니고 잘 모르는 경우도 많아 알아도 신경 안 쓰고 넘어가는 경우도 있다. [[피휘]]와 비슷한 금기도 있다. 바로 선지국밥, 선지해장국 등에 쓰이는 [[선지]]를 '쇠피'라고 부르는 것. 바로 2세 조상의 이름이 윤선지이기 때문이다. 밖에서라면 몰라도 최소한 문중 사람들끼리 대화할 때는 되도록 쇠피라고 부른다고 한다. 파평 윤씨 집안에 전해 오는 것으로 [[금강산]] 명칭에 얽힌 이야기가 있다. 시조 윤신달의 손자이자 중시조 [[윤관]]의 조부인 윤금강은 틈만 나면 [[금강산]](당시 풍악산 혹은 개골산)을 찾았다고 한다. 조회마저 빼 먹을 정도라 주변에서 걱정이 많았다고 한다. [[금강산]]을 너무 좋아해서 그랬을 수도 있겠지만, 건국 후 한참 호족들을 대상으로 한 숙청이 활발하던 때라 정치적인 일에 연루되기 싫어 그랬다는 설도 있다. 아무튼 윤금강이 워낙 금강산에 자주 출몰하다 보니, 그의 주변에서 윤금강이 그 산의 주인이라 하여 [[금강산]]이라고 부르기 시작했다고 한다. 이것이 점차 주변에 퍼져 지금 우리가 알고 있는 금강산이 되었다는 말이다.[* 한자는 둘다 "金剛"으로 똑같기는 하다. [[조선]]전기 문신 휴휴당 홍응의 문집에 기록했다는 말이 있다. 이와는 별도로 윤금강의 증손이자 윤관의 6남 윤언이도 금강거사라 불렸다는 기록이 있다. 이래저래 [[금강산]]하고는 얽힌 것이 많은 듯 하다.] 파평 윤씨 여자는 기가 세다는 속설이 있다. 물론 어디까지나 속설은 속설일 뿐이다. [[조선]] 시대에서 가장 강력한 권력을 휘두른 [[왕후]]인 [[문정왕후]]가 파평 윤씨이다 보니 이런 속설이 퍼진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조선왕조 내내 파평 윤씨에서는 4명의 왕후를 배출하였다 보니, 궁궐의 내명부를 휘어잡아야 하는 중전이라는 자리의 특성상 이 자리에 앉는 사람은 후천적으로 캐릭터가 셀 수밖에 없었던 점도 있다. == 기타 == [[윤창중]]이 [[박근혜 정부]] 참여에 대한 자신의 의사를 번복하면서 [[윤봉길]] 의사의 존함을 '문중 할아버지' 운운하며 언급하여 물의를 일으킨 적이 있다. 당시 윤봉길 의사 유족측에서 상당한 불쾌감을 보였는데 이는 당연한 것이다. 일단 윤봉길 의사는 해당 인물의 문중 할아버지라고 하기가 어렵다. 각 집안마다 경우가 다르겠지만, 보통 문중 할아버지라고 하면 본인의 직계 조상이거나, 촌수가 좀 있더라도 비교적 가까운 선대에서 분파되어 최소한 시제 정도는 같이 지내는 집안에서 본인보다 최소 두 항렬 위인 사람을 말한다. [[윤봉길]] 의사는 바로 판도공 윤승례의 후손이고, 윤창중은 판도공의 조카인 소정공 윤곤의 후손이다. 둘 다 [[여말선초]] 사람이므로 아무리 적게 잡아도 최소한 17대는 내려왔을 것이다. 촌수로 아무리 적게 잡아봐야 34촌 정도 예상되지만 실제로는 그 이상이 될 가능성이 훨씬 높다. 보통 이런 경우에는 누가 굳이 윤봉길 의사의 후손이냐고 물어봐도 '같은 파평 윤문이지만 아주 오래 전에 분파되어 현재 왕래는 없습니다.' 정도로 대답하는 것이 맞다. 일단 윤봉길 의사는 판도공 32세손, 윤창중은 소정공 34세손이므로 윤봉길 의사는 윤창중의 할아버지 항렬이다. 실제로 [[윤봉길]] 의사의 직계 후손이라 하더라도 공적인 자리에서 조상의 함자를 함부로 언급하는 것은 후손의 도리가 아니다. 전통을 준수하는 집안에서 가장 두려워하는 것이 본인의 잘못된 행실로 인하여 조상 얼굴에 먹칠을 하는 것이다. [[조선]] 후기로 들어서면서부터 의미가 많이 훼손되었지만, 집안에서 자꾸 조상의 행적 운운하는 것은 그것을 자랑으로 삼고 어디가서 이득을 취하라는 것이 아니라, 평소 몸가짐을 바로해서 이런 훌륭한 조상들 이름에 먹칠하지 말라는 것이다. 반대로 조상의 행적을 왜곡하는 것 또한 철저히 경계한다. 조상 얼굴에 금칠하려다가 똥칠한다는 말이 있다. 물론 자손된 입장으로서는 좋은 점만 기록에 남기고 싶어하는 것이 인지상정이다. 하지만 이런 것도 정도가 있다. 가령 공이 있다면 이를 세세히, 기왕이면 좋은 쪽으로 기록하고 과가 있다면 완곡한 표현을 쓰거나 '오해로 공을 모함하는 사람이 있어 죄를 받았다' 정도로 언급을 할 수는 있다. 하지만 하지도 않은 고위 관직을 역임했다고 하거나, 과거에 급제하지도 않았는데 급제했다고 하는 등 사실을 왜곡하는 것은 오히려 조상을 모욕하는 짓이다. 이는 다시 말하면 '나는 과거에 급제하지 못한 조상이 부끄럽기 때문에 과거에 급제했다고 왜곡했다'라는 의미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전통적인 관점에서 보면, 조상은 내가 이 세상에 있게 한 그 자체로 이미 공경을 받을 존재인 것이지 무슨 권력이 있었기 때문에, 유명한 분이었기 때문에 모셔야 되는 것이 아니다. == 인물 == === 역사적 인물 === 아래에 서술된 인물 중에는 파평 윤씨 본파뿐만 아니라 여기에서 갈라져 나온 '남원 윤씨', '함안 윤씨' 등의 인물들도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해당 성씨들을 이 문서에 써야 하는지 아니면 본래의 성씨로 옮겨 서술해야 하는지 의논이 필요하다. ==== 고려 ==== * [[윤신달]] - [[고려]] [[개국공신]]이자 파평윤씨 시조이다. * [[윤관]] - [[고려]] [[문하시중]]으로 [[고려의 여진 정벌|여진 정벌]]로 [[동북 9성]]을 축조했다. * [[윤언이]] - 윤관의 아들 * [[윤인첨]] - 윤언이의 아들 - 이들 3대가 고려 [[예종(고려)|예종]] ~ [[명종(고려)|명종]] 대 명신으로 불리며, 『[[고려사]]』에도 그 열전이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더불어 윤관과 윤인첨은 태묘에도 배향되었다. * 윤위 - [[윤(성씨)|남원 윤씨]] 시조로 파평 윤씨 시조인 윤신달의 8세손이며, 윤관의 장증손자다. 남원의 복기남이 반란을 일으켜 진압치 못하자 지역 수령이 보고하자 윤위가 단기로 들어가 즉각 진압햇는데, 주동자만 죽이고 나머지 무리들은 살려주자 온 경내가 탐복하고, 떠났던 남원 사람들이 다시 들어오고, 남원을 잘 다스리자 칭송이 자자하였다. 이로 인해 왕이 듣고 탐복하여 '남원백'에 봉하고 파평에서 남원으로 본관을 분관할 수 있도록 허락하였다. 중앙정부에서 무인들이 장악하여 윤위도 외직인 서경유수로 발령이 났는데, 이 때 수많은 유생들이 시위하며 극구 반대하였으나 끝내 외직으로 나아갔다. 서경유수로 재직하던 중 사망하자 남원 사람들이 슬퍼하고 남원에 장사지내기를 원하여 남원 땅에 묻혔다.[*남원 남원 윤씨] * 윤극민 - 정당문학 * 윤돈 - 문하시중 ==== 조선 ==== * [[정희왕후]] - [[왕후]], [[세조(조선)|세조]]의 정비 * [[폐비 윤씨|제헌왕후]] - [[왕비]], [[성종(조선)|성종]]의 제1 계비이자 [[연산군]]의 모후[*함안 함안 윤씨] * [[정현왕후]] - [[왕후]], [[성종(조선)|성종]]의 제2 계비이자 [[중종(조선)|중종]]의 모후 * [[윤필상]] - [[영의정]] * [[장경왕후]] - [[왕후]], [[중종(조선)|중종]]의 계비이자 [[인종(조선)|인종]]의 모후 * [[윤임]] - [[장경왕후]]의 오빠 * [[윤흥신]] - [[군인|수군 절제사]], 윤임의 아들로 [[임진왜란]] 당시 [[다대포 전투|다대포에서 싸우다 순절]]했다. * [[문정왕후]] - [[왕후]], [[중종(조선)|중종]]의 3번째 계비이자 [[명종(조선)|명종]]의 모후 * [[윤원형]] - [[영의정]], [[문정왕후]]의 남동생 - 조선 초에서 중기로 넘어갈 무렵인 세조에서 명종 대까지의 왕실에서 파평 윤씨의 세가 강력했다. 비슷한 시기 왕실의 일원이엇던 [[청주 한씨]]보다 더 컸는데, 특히 성종과 중종은 파평 윤씨 및 분파된 윤씨 집안에서 각각 2명의 왕비를 두었다. 다만 이는 상술했듯이 피를 부르는 권력 다툼을 보였으며, 결국에는 명종 후반 이후로는 그 세가 많이 꺾이게 되었다. * 윤효손 - 조선 조 명신으로 좌참찬을 지냈다. [[대한민국의 보물/401~600호|보물 제584호]]로 지정된 신도비가 전라남도 [[구례군]]에 있다. * [[윤집]] - [[삼학사]] 중 한 사람이자 척화론자. [[병자호란]] 이후 청병에 의해 끌려갈 때에도 조금도 절개를 굽히지 아니하여 죽고 난 후 청병이 오히려 감복하여 존경하였다고 한다. 특히 윤집의 가문은 3대가 충절을 지킨 가문으로 추앙받았다.[*남원] * [[윤휴]] - 북벌론자. 당대 최고의 대학자. 청남의 영수.[*남원] * 윤이도 -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관찰사, 좌승지, 공조판서 등을 지냈다. 정시 문과에 급제하여 조대수 옥사에 연루되어 파직되었고, 이후 오랫동안 야인 생활을 하였다. 이후 복직해 공조판서, 형조판서, 한성판윤 등을 역임하고 기로소에 들어갔다.[*남원] * [[윤증]] - [[윤선거]]의 아들이며 [[송시열]]의 제자였지만, 후에 송시열이 윤선거를 조롱한 문제로 반목한 [[회니시비]]로 [[노론]]과 [[소론]]이 갈라서면서 소론의 종장이 된다. 방계 후손[* 윤증의 백부 중 한 명인 윤문거의 후손.]이 바로 [[윤석열]] 대통령. * 윤기 -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과거에 3번 장원하고 공조좌랑을 지냈으며, 다스리는 곳마다 선정을 베풀었다.직언으로 명성을 떨쳤으며 당시 재상이 총애를 굳히려고 백관들에게 "따르지 않는 자는 처벌한다."고 위협하니 모두 따랐으나 공은 "어찌 신하된 자가 아첨하겠는가?"하면서 홀로 나가지 않았다. * 윤행임 - 양관[[대제학]][* 홍문관 대제학과 예문관 대제학을 겸임하는 것을 '양관대제학'이라고 한다.], 이조판서, 도승지. 당대 명필가였으며, 정조의 총애를 받고 정조가 뒷일을 부탁하였을 정도로 총애한 인물이며, 한 번 보면 무엇이든 외워버리는 조선의 천재였다고 한다. * 윤정현 - 문장으로 명성이 높았으며, 청백리로 명성이 높아 고종이 직접 하사한 저택(지금의 [[명동성당]] 터)을 소유했었다. ==== 근현대 ==== * [[윤봉길]] - [[독립운동가]] * [[윤동주]] - [[시인]], [[독립운동가]] * 윤길 - [[독립운동가]] * [[윤병구]] - 제헌 [[국회의원]] * [[윤재욱]] - 제헌 [[국회의원]] * [[윤석구]] - 초대 [[장관|체신부 장관]] * [[윤경빈]]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 [[윤상원(1950)|윤상원]] - 민주운동가[* 초명은 윤개원(尹開源)이다.] === 정치인 === ==== 대통령 ==== * [[윤석열]] - 제20대 [[대한민국 대통령]] ==== 장관 ==== * [[윤증현]] - 제2대 [[기획재정부 장관]][* [[서울대학교|서울대]] 행정학 졸업. [[위스콘신 대학교]] M.A.] * [[윤성민]] - 제23대 [[국방부장관]] * [[윤자중]] - 제10대 [[국토교통부장관|교통부장관]] * [[윤병세]] - 제37대 [[외교부장관]] * [[윤여준]] - 제4대 [[환경부장관]] * [[윤성규]] - 제15대 [[환경부장관]] ==== 국회의원 ==== * [[윤제술]] - 제7대 [[국회부의장]][* 일본 1위 [[쓰쿠바대학]] 졸업.] * [[윤길중]] - 제11대 [[국회부의장]] * [[윤원중]] - 제26대 [[국회사무총장]] * [[윤주경]][*현직의원] - [[윤봉길]]의 [[손녀]] * [[윤준병]][*현직의원] * [[윤재옥]][*현직의원] - 제5대 [[국민의힘]] 원내대표 * [[윤호중]][*현직의원][* [[서울대학교|서울대]] 철학 졸업.] * [[윤관석]][*현직의원] * [[윤후덕]][*현직의원] * [[윤인식]] * [[윤양중]] * [[윤용구]] * [[윤건영(1952)|윤건영]][* [[서울대학교|서울대]] 법학 졸업. [[하버드 대학교]] Ph.D.] - 제18대 충청북도교육감 * [[윤희숙]][* [[서울대학교|서울대]] 경제학 졸업. [[컬럼비아 대학교]] Ph.D.] * [[윤한도]] * [[윤미향]] ==== 기타 정치인 ==== * [[윤구병]] * [[윤상웅]] * [[윤석우(정치인)|윤석우]] - [[충청남도의회]] 의장 * [[윤중국]] * [[윤희석(정치인)|윤희석]] - 대변인 * [[윤영민]] - 대변인 * [[윤종호]] * [[윤혁주]] === 공무원 === * [[윤창렬]] - [[국무조정실]] 차관 * [[윤갑근]] - [[대구고등검찰청|대구고등검찰청 검사장]] * [[윤원철]] * [[윤항렬]] - [[공무원연금공단]] 이사장 * [[윤희근]] - [[경찰청장]] === 기업인 === * [[윤석금]] - [[웅진그룹]] 회장 * [[윤석준(CEO)|윤석준]] - [[HYBE AMERICA]] CEO * [[윤홍근]] - [[BBQ치킨]] 회장 * 윤동한 - [[한국콜마]] 회장 * 윤희종 - 위닉스그룹 회장 * 윤준학 - 아시아경제 kmh레저 * 윤성두 - (주)아이시프트 CEO === 군인 === * [[윤의철]] - [[중장]] * [[윤흥정]] - [[중장]] * [[윤필용]] - [[소장]] * [[윤일균]] - [[준장]] === 예술인 === * [[윤서인]] - [[만화가]], [[유튜브 크리에이터|유튜버]] * [[윤승운]] - [[만화가]] * [[윤인완]] - [[만화가]] * [[윤석중]] - [[시인(문학)|시인]][* 2003년 금관문화훈장 수훈] *[[MRCH]] - [[싱어송라이터]] === 연예인 === * [[별사랑]] - [[트로트가수 본명 윤정인]] * [[윤주빈]] - [[윤봉길]]의 종손·[[배우]] * [[윤여정]] - [[배우]][* 금관문화훈장 수훈자다.] * 윤태재 - [[배우]]. [[국회의원]]의 [[비서]] * 윤서준 - [[배우]]. [[국회의원]]의 [[비서]] * [[윤소정]] - [[배우]] * [[윤시윤]] - [[배우]] * [[윤계상]] - [[배우]] * [[윤박]] - [[배우]] * [[윤종훈]] - [[배우]] * [[윤동환(배우)|윤동한]] - [[배우]] * [[윤문식]] - [[배우]] * [[윤미라]] - [[배우]] * [[윤소희]] - [[배우]] * [[윤세현]] - [[배우]] * [[윤용현]] - [[배우]] * [[윤영민(배우)|윤영민]] - [[배우]] * [[윤은혜]] - [[배우]] * [[윤성호(코미디언)|윤성호]] - [[코미디언]] * [[윤형빈]] - [[코미디언]] * [[세은|윤세은]] - [[가수]]. 아이돌 그룹 [[STAYC]]의 멤버 * [[윤민수]] - [[가수]] * [[윤보라]] - [[가수]] * [[윤담백]] - [[가수]] * [[도운|윤도운]] - [[가수]]. 아이돌 밴드 그룹 [[DAY6]]의 멤버 * [[윤도현]] - [[가수]] * [[윤두준]] - [[가수]]. 아이돌 그룹 [[하이라이트(아이돌)]]의 멤버 * [[윤승민]] - [[싱어송라이터]]. [[바밍타이거]]의 멤버 * [[제이스(가수)|윤자영]] - [[가수]] * [[정한|윤정한]] - [[가수]]. 아이돌 그룹 [[세븐틴]]의 멤버 * [[윤재웅]] - [[가수]] * [[요셉(가수)|윤요셉]] - [[가수]] * [[윤재혁]] - [[가수]]. 아이돌 그룹 [[TREASURE]]의 멤버 * [[윤지성]] - [[가수]]. 전 아이돌 그룹 [[Wanna One]]의 멤버이자 리더 * [[윤채경]] - [[가수]] 겸 [[배우]]로 걸그룹 [[APRIL]]의 전 멤버 * [[윤현석(2001)|윤현석]] - [[가수]]. 아이돌 그룹 [[CIX]]의 멤버 * [[윤형주]] - [[가수]] === 운동선수 === * [[윤규진]] - [[한화 이글스]] 잔류균 투수코치 * 윤태진 - [[권투|권투선수]] 출신 [[경호원|국회의원]]의 경호원 * 윤태진 - [[축구 선수]] 출신 [[경호원|국회의원]]의 경호원 * [[윤미진]] - [[양궁|양궁선수]] * [[윤덕여]] - 전 [[축구 선수]]이자 축구감독 * [[윤여권]] - [[농구선수]] * [[윤길현]] - 前 [[SK 와이번스]], [[롯데 자이언츠]] 투수 * [[윤기현]] - [[조정]]선수 * [[윤석권]] - 前 [[쌍방울 레이더스]] 내야수 * [[윤석민(투수)|윤석민]] - 前 [[KIA 타이거즈]] 투수. [[SPOTV]] 야구 해설위원. * [[윤석민(타자)|윤석민]] - 前 [[두산 베어스]], [[넥센 히어로즈]], [[kt wiz]], [[SK 와이번스]] 내야수 * [[윤석환]] - 前 [[OB 베어스]], [[삼성 라이온즈]] 투수 * [[윤빛가람]] - [[축구 선수]] * [[윤성빈(스켈레톤)|윤성빈]] - [[스켈레톤|스켈레톤 선수]] * [[윤산흠]] - [[한화 이글스]] 투수 * [[윤성원]] - [[수영]] 선수 * [[윤지수]] - [[펜싱]] 선수 * [[윤승열]] - 前 [[한화 이글스]] 내야수 === 기타 === * [[윤기중]] - [[교육|대한학술원 교육가]][* 대한민국의 통계학자. [[윤석열]]의 아버지.] * [[에드머|윤석원]] - [[유튜브 크리에이터|유튜버]] * [[윤성로(유튜버)|윤성로]] - [[유튜브 크리에이터|유튜버]] * [[캡틴 TV|윤정섭]] - [[유튜브 크리에이터|유튜버]] * [[윤가놈|윤진석]] - [[유튜브 크리에이터|유튜버]] * [[윤태훈]] - [[유튜브 크리에이터|유튜버]] * [[풍자(유튜버)|풍자]] - [[유튜브 크리에이터|유튜버]] * [[윤성훈]] - [[강사]] * [[윤우혁]] - [[강사]] * [[윤수빈]] - [[아나운서]] * [[윤승민]] - [[래퍼]] * [[윤서하]] - [[치어리더]] * [[폴 바주카|윤일석]] - [[작곡가]] * [[이노냥]] - [[유튜브 크리에이터|유튜버]] [[분류:파평 윤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