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A0000 0%, #FF0000 30%, #FF0000 70%, #AA0000);" '''파티흐 테림의 역임 직책'''}}} || || {{{#!folding ▼ ||<-4> '''둘러보기 틀 모음''' || ||<-4> '''대표팀 감독''' || || [[틀:튀르키예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파일:튀르키예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0.9em" [[틀:튀르키예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ffffff '''튀르키예'''}}}]]}}}[br]{{{-2 47대, 49대, 54대, 58대}}} || || || || ||<-4> '''클럽 감독''' || || [[틀:ACF 피오렌티나 감독|[[파일:ACF 피오렌티나 로고.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4F3F8F; font-size: 0.9em" [[틀:ACF 피오렌티나 감독|{{{#ffffff,#ffffff '''피오렌티나'''}}}]]}}}[br]{{{-2 53대}}} || [[틀:AC 밀란 감독|[[파일:AC 밀란 로고.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DE0011; font-size: 0.9em" [[틀:AC 밀란 감독|{{{#000000,#e5e5e5 '''밀란'''}}}]]}}}[br]{{{-2 65대}}} || || ||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rgba(50%, 50%, 50%, 30%) 0%, transparent)" {{{+1 '''튀르키예의 축구감독'''}}}}}}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atih Terim.jpg|width=100%]]}}} || ||<-2> '''이름''' || {{{+1 '''파티흐 테림'''}}}[br]'''Fatih Terim''' || ||<-2> '''출생''' ||[[1953년]] [[9월 4일]] ([age(1953-09-04)]세) [br] [[튀르키예]] [[아다나|아다나주 아다나시]] || ||<-2>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튀르키예)] || ||<-2> '''신체''' ||[[키(신체)|키]] 172cm || ||<-2> '''직업''' ||[[축구선수]]([[수비수(축구)|수비수]] / ^^은퇴^^)[br][[축구감독]] || ||<|2> '''소속''' || '''선수''' ||[[아다나 데미르스포르]] (1963~1969 / ^^유스^^)[br][[아다나 데미르스포르]] (1969~1974)[br]'''[[갈라타사라이 SK]] (1974~1985)''' || || ''' 감독''' ||[[MKE 앙카라귀쥐]] (1987~1989)[br][[괴즈테페 SK]] (1989~1990)[br][[튀르키예 축구 국가대표팀|튀르키예 대표팀]] (1990)[br][[튀르키예 축구 국가대표팀|튀르키예 U-21 대표팀]] (1990~1993)[br][[튀르키예 축구 국가대표팀|튀르키예 대표팀]] (1993~1996)[br]'''[[갈라타사라이 SK]] (1996~2000)'''[br][[ACF 피오렌티나]] (2000~2001)[br][[AC 밀란]] (2001)[br][[갈라타사라이 SK]] (2002~2004)[br]'''[[튀르키예 축구 국가대표팀|튀르키예 대표팀]] (2005~2009)'''[br][[갈라타사라이 SK]] (2011~2013)[br][[튀르키예 축구 국가대표팀|튀르키예 대표팀]] (2013~2017)[br][[갈라타사라이 SK]] (2017~2022) || ||<-2> '''국가대표''' ||51경기 3골 ^^([[튀르키예 축구 국가대표팀|튀르키예]] / 1975~1984)^^ || [목차] [clearfix] == 개요 == [[튀르키예]]의 [[축구선수]] 출신 [[코치(스포츠)|감독]]. 현재는 [[2017년]]부터 다시 친정팀 [[갈라타사라이 SK]] 감독을 맡고 있다. 갈라타사라이 감독으로만 리그 8회, 튀르키예 컵 3회, TSYD 국내컵 3회, 대통령배 국내컵 3회, 튀르키예 슈퍼 쿠파 3회, 그리고 가장 중요한 2000년도에 튀르키예 최초로 [[UEFA컵]] 우승을 하였다. 한마디로 갈라타사라이의 전설이자 튀르키예의 퍼거슨 같은 감독. 갈라타사라이 색이 짙은 축구인이라서 튀르키예에선 갈라타사라이 팬 말고는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하지만 튀르키예가 출전한 5번의 유로 대회 중 무려 3번이나 지휘봉을 잡기도 하였다.[* [[유로 1996]], [[유로 2008]], [[유로 2016]].][* [[유로 2000]]은 무스타파 데니즐리 감독이, [[유로 2020]]은 셰놀 귀네슈 감독이 지휘했다.] 특히 유로 2008에선 튀르키예를 4강으로 올리는 기적을 만들어내기도... [[셰놀 귀네슈]]와 더불어 해외에도 인지도가 높은 튀르키예인 축구 감독이기도 하다. == 선수 활동 == 고향팀인 아다나 데미르스포르의 선수로서 커리어를 시작한 테림은 수비수로서 뛰어난 실력을 선보였고, 그 덕분에 튀르키예의 명문팀인 [[갈라타사라이 SK]]로 이적한다. 이 팀에서 327경기나 뛰었으며 갈라타사라이의 스타선수로서 큰 명성을 얻었다. == 감독 활동 == [[1987년]], 테림은 MKE 앙카라귀쥐에서 감독으로서 첫 커리어를 쌓는다. 괴즈테페 SK의 감독을 거친 뒤, 튀르키예 U-21 대표팀을 지도하며 1993년 지중해 게임에서 우승시켰으며 1993년부터 [[튀르키예 축구 국가대표팀|튀르키예 대표팀]]을 맡아 1996년 튀르키예의 [[UEFA 유로]] 첫 본선행을 이끈다. 유로 96이 끝난 이후인 1996년 7월부터 2000년까지 [[갈라타사라이 SK]] 감독을 맡으며 4차례의 리그 우승과 2차례의 컵대회 우승 그리고 [[UEFA 유로파 리그|UEFA 컵]] 우승[* 결승전에서 [[아르센 벵거]]의 [[아스날 FC|아스날]]을 꺾었다.]까지 달성하며 지도력을 인정받았다. 그 뒤인 2000년 7월, [[이탈리아]] [[세리에 A]]로 진출해 [[ACF 피오렌티나]]의 감독을 맡았다. 피오렌티나 감독 시절에는 [[코파 이탈리아]] 결승행을 이루기도 했다. 이 성과를 바탕으로 그는 2001년 [[AC 밀란]]에 부임한다. 하지만 밀란에서는 기대에 부응하지 못한 채 5개월만에 경질되었고, 파티흐 테림은 2002년 7월 다시 튀르키예로 돌아와 [[갈라타사라이 SK]]의 지휘봉을 잡는다. 테림에게 커리어하이는 단연 '''[[UEFA 유로 2008|유로 2008]]의 튀르키예 대표팀'''이다. [[셰놀 귀네슈]]가 [[UEFA 유로 2004|유로 2004]] 본선 진출 실패의 책임을 지고 경질되자, [[2005년]]부터 다시 튀르키예 대표팀을 맡은 그는 팀을 유로컵 본선행으로 이끌었으나, 정작 본선에서는 조별리그 탈락 위기까지 몰리기도 했다. 하지만 조별리그 3차전 체코전, 0-2로 지고 있던 후반 30분 경부터 대반격을 시작하여 결국 3-2로 역전하며 극적인 토너먼트행을 이뤄냈고 8강전 크로아티아전과 준결승전 독일전에서도 밀리지 않는 경기력을 뽐내며 지도력을 인정받는다. 하지만 1년 뒤,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2010 남아공 월드컵]] 본선행에 실패하면서 감독직에서 물러난다.[* 사실 경기력이 나쁜 편은 아니었으나 같은 조에 들어있던 상대가 하필이면 [[UEFA 유로 2008|유로 2008]] 챔피언에 지역예선도 10전 전승으로 뚫은데다 월드컵까지 우승하며 최전성기를 구가하던 '''[[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스페인]]'''과 당시로서는 신성이던 [[에딘 제코]]가 맹활약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축구 국가대표팀|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였던지라 튀르키예로서는 쉽지 않은 조편성이기는 했다.] [[2011년]]부터 다시 갈라타사라이로 돌아가서 리그와 컵대회 우승을 이뤄냈으나, 위기에 몰린 대표팀을 구원하기 위해 대표팀 감독직으로 복귀한다. [[UEFA 유로 2016|유로 2016]]에서 아쉬운 성적으로 조별예선의 벽을 넘지 못하고 2차례나 월드컵 본선행에 실패하면서 [[2017년]]에 감독직에서 물러났고 이후 갈라타사라이 감독으로 복귀한다. 2019년 [[갈라타사라이 SK]]를 튀르키예 쉬페르리가 우승으로 이끌었다. 2020년 구단 부회장 부부에 이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확진 판정을 받았다. 2022년 최근 5경기 1승 1무 3패로 갈라타사라이가 12위를 기록하자 경질되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UEFA 유로 2008 참가 감독)] [include(틀:UEFA 유로 2016 참가 감독)] [각주] [[분류:1953년 출생]][[분류:튀르키예의 축구선수]][[분류:튀르키예의 축구감독]][[분류:수비수]][[분류:튀르키예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분류:튀르키예의 무슬림]][[분류:아다나 데미르스포르/은퇴, 이적]][[분류:갈라타사라이 SK/은퇴, 이적]][[분류:MKE 앙카라귀쥐/역대 감독]][[분류:괴즈테페 SK/역대 감독]][[분류:갈라타사라이 SK/역대 감독]][[분류:ACF 피오렌티나/역대 감독]][[분류:AC 밀란/역대 감독]][[분류:UEFA 유로 1996 참가 감독]][[분류:UEFA 유로 2008 참가 감독]][[분류:UEFA 유로 2016 참가 감독]][[분류:UEFA 유로파 리그 우승 감독]][[분류:축구감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