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김득신 파적도.jpg|width=100%]]}}} || ||<-2>{{{+1 '''파적도'''}}}[br]{{{#!wiki style="font-family: Times, serif" '''破寂圖'''}}}|| || '''화가''' ||[[김득신(화가)|김득신]]|| || '''제작''' ||[[18세기]]|| || '''종류''' ||[[풍속화]]|| || '''기법''' ||종이에 담채|| || '''크기''' ||27.1cm × 22.5cm|| || '''소장'''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br][[간송미술관]]|| [목차] == 개요 == {{{+1 '''[[破]][[寂]][[圖]]'''}}} [[조선]] 후기의 화가 [[김득신(화가)|김득신]](金得臣, 1754~1822)이 그린 [[풍속화]]. 현재 [[간송미술관]]에 소장 중이다. == 내용 == 한 가정집에 [[고양이]]가 들어와 [[병아리]]를 [[먹튀|물고 튀는 바람에]] 이를 본 집주인 내외와 닭 일가의 기겁한 반응을 해학적으로 묘사한 그림. 남편은 돗자리를 짜다가 넘어지다 시피 다급하게 담뱃대를 뻗어 고양이를 잡으려고 하고 뒤에서 황급히 달려오는 아내의 모습도 웃음을 더한다. 제목의 파적도는 ''''고요함[寂]이 깨진[破] 모습을 그린 그림[圖]''''이란 뜻으로, 말 그대로 고요하고 평화롭던 와중에 [[갑툭튀|돌연 나타난 고양이]]로 인해 분위기가 급변한 상황을 나타내고 있다. 묘박계추도([[猫]][[搏]][[鷄]][[雛]][[圖]]), 야묘도추([[野]][[猫]][[盜]][[雛]])라고도 부르며 둘다 '고양이가 병아리를 물고 도망치다'라는 뜻. 그림 평론가의 분석에 의하면, 그림 속에 나오는 담뱃대 휘두르는 아저씨는 몰락한 양반이라고 한다. 쓰고 있는 [[탕건]]부터도 양반용 탕건이고, 몰락 양반들이 밥 벌어먹고자 하던 일인 [[돗자리]] 짜는 데 쓰이는 도구인 고드레(또는 고드레틀)가 마당에 떨어지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다고 한다. 그리고 사용하는 담뱃대도 짧은 곰방대가 아닌 긴 장죽이다. 파적도가 포함된 김득신의 풍속화첩이 2018년 3월 23일, 보물 지정이 예고되었다. == 평가 == 김득신의 명작 중 하나. 투시나 비례기법이 사용되지 않았던 전통화임에도 불구하고 그림 속 한 순간의 상황 속 긴박함과 역동적인 느낌이 그야말로 일품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두성령|두성령 이암]]의 모견도와 더불어 해외에서도 인기가 좋은 한국화이다. == 패러디 == 90년대~00년대 초, 중학교 교과서 표지로 쓰이기도 하는 등, 현대인들에게도 친숙한 작품이기 때문에 인터넷에서도 파적도를 패러디한 [[짤방]]들이 많이 돌아다닌다. * [[https://twitter.com/00obsidian00/status/1562755369453387776|매직 더 개더링X흑요석 콜라보 버전]][* [[도미나리아 유나이티드]] 출시 기념 콜라보 프로모션 카드의 일러스트. [[아자니 골드메인]]이 [[Golgothian Sylex|성배]]를 들고 [[카른]], [[테페리]], [[자야 발라드]]에게서 달아나는 모습이다. '''이 일러스트의 내용 자체가 도미나리아 유나이티드 스토리의 핵심 스포일러'''이기도 하다. 그런데 나온 시기가 한글판 테이블탑 카드 출시가 끊긴 이후다 보니 아이러니한 상황이 되었다.] * [[https://blog.naver.com/cwopenspace/220914247265|모니카와 함께하는 명화 여행]] [[모니카의 친구들]]로 유명한 마우리시우 지 소우자가 그린 책. 여기서는 바닥에 떨어진 돗자리 짜는 고드레를 몰라서인지 생선 바비큐로 바뀌었다. * 웹툰 [[내가 키운 S급들(웹툰)|내가 키운 S급들]] 50화에서 피스가 삐약이를 물고 가는 모습으로 패러디되었다. * [[https://twitter.com/kkr4241/status/1530738544024506368|톰과 제리 버전]] * [[https://twitter.com/hokingjr/status/1326366511947079680|KFC 버전]] == 외부 링크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31060|한국민족문화대백과 : 파적도]]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57023|두산백과 : 파적도]]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75220|한국사전연구사 한국미술오천년 : 긍재전신첩 - 파적]]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31583|한국 미의 재발견 - 회화 : 김득신 〈야묘도추〉]] [[분류:조선의 회화]][[분류:간송미술관 소장품]][[분류:서울특별시의 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