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가면라이더 폼]] [목차] ||<-4> {{{#fff '''라이더 카드'''}}} || || [[가면라이드]] ||<|2> [[어택라이드]] ||<|2> [[폼라이드]] ||<|2> [[파이널 라이드]] || || [[괴인라이드]] || == 개요 == [[가면라이더 디케이드]]의 등장 [[라이더]] [[가면라이더 디케이드(가면라이더)|가면라이더 디케이드]]와 [[가면라이더 디엔드]]가 필살기를 쓸 때 사용하는 특수능력을 지닌 카드. '''파이널 [[폼라이드]]'''와 '''파이널 [[어택라이드]]'''로 나뉘어져 있으며, [[가면라이더 디케이드(가면라이더)#s-2.3|케이터치]]를 이용해 '''파이널 가면라이드'''를 사용할 수 있다. == 파이널 폼라이드 == >ちょっとくすぐったいぞ。 >좀 간지러울 거야. >------ >[[카도야 츠카사]]([[가면라이더 디케이드]]) >痛みは一瞬だ >아픈 건 한 순간이야. >------ >[[카이토 다이키]]([[가면라이더 디엔드]]) [[가면라이더 디케이드(가면라이더)|디케이드]]와 [[가면라이더 디엔드|디엔드]]가 다른 라이더에게 신호를 전달해서 대상 라이더를 변형시키는 기술. 오노데라가 변신하는 쿠우가 얼티밋 또한 자력으로 이 능력을 사용할 수 있다.[* 출처 : 가면라이더 도감 공식 사이트] 다만 쿠우가의 파이널 폼라이드는 오직 자신만을 변신시키는 것이며, 디케이드나 디엔드와 같이 상대방을 폼라이드할 수 없다. 신호 전달 방식은 특이하다 못해 해괴하다. 디케이드는 "조금 간지러울거야"라는 대사를 하면서 라이더의 '''등짝을 벌리고''' 디엔드는 "아픔은 한순간이다"란 대사와 함께 [[디엔드라이버]]로 라이더의 등을 쏜다.[* 근데 디케이드 올 라이더 대 쇼커에서 [[모모타로스]]의 증언에 의하면 무척 아프다고 한다.] 변형 과정은 더더욱 해괴한데, "빛 같은 거에 휩싸이고 그게 걷히면 변형이 완료돼 있다" 같은 게 아니고 라이더가 변형되는 과정을 하나하나 쓸데없이 친절하게 보여준다.. '''[[블레이드 블레이드|허리가 90도로 꺾이는 건 차라리 가벼운 수준에]], [[덴오 모모타로스|목이 뒤로 꺾여서]] [[쿠우가 고우람|몸 안에 들어가거나]], [[키바 애로우|가랑이가 찢기거나]] [[류우키 드래그레더|전신이 세로로 갈라지는 등]]''' 온갖 괴상한 과정을 거친다. '''디케이드 자신도 예외는 아니며''' [[극장판 가면라이더 디케이드 올 라이더 대 대쇼커]]에서 [[가면라이더 디엔드|자신의 라이벌]]한테 점보 디케이드라이버로 변형당했을때 지금까지 선배들 몸을 접었다 폈다 한 업보인지 본인 가랑이가 찢어지는 지옥을 맛봐야했다. 아니나 다를까 [[가면라이더 W(가면라이더)|두 명의 인격을 써서 변신하는 후배]]한테도 합쳐져 있던 인격을 분리시키는 경험을 맛보여줬다. 무기로 사용되는 타입(파이즈 블래스터, 블레이드 블레이드, 히비키 음격고, 키바 애로우)과 자율행동 및 원격조종이 가능한 타입(쿠우가 고우람, 아기토 토네이더, 류우키 드래그레더, 히비키 음격고-아카네타카 형태, 젝터 카부토, 덴오 모모타로스[* 원래는 덴라이너였으나, 이후 바뀌게 되었다.])으로 나뉜다. [[SIC 히어로 사가]]에서는 [[죠 시게루|스트롱거]]를 [[가면라이더 스트롱거(가면라이더)#s-2.3|스트롱 젝터]]로, [[가면라이더 오즈(가면라이더)|오즈]]를 [[가면라이더 디케이드(가면라이더)/폼#s-2.1.6|오즈 아머]]로 변형시켰다.[[http://bbs2.ruliweb.daum.net/gaia/do/ruliweb/family/229/read?articleId=29817889&bbsId=G005&itemId=74&pageIndex=1|#]] [[넷판 오즈·덴오·올라이더 렛츠 고 가면라이더 - 진지하게 찾아라! 너만의 라이더 48]]의 카드 라이더즈 포커 배틀 화에서 디케이드가 패가 말리자 파이널 폼라이드로 [[가면라이더 갸렌|갸렌]]은 마름모떡, [[가면라이더 카리스|카리스]]는 하트초콜릿, [[제너럴 섀도우]]는 어항으로 바꿔버렸다. [[비공인전대 아키바레인저]]에서는 [[비공인전대 아키바레인저/무장 및 아이템#s-6|공인님의 힘(大それた力)]]으로 패러디 되어 역대 전대들을 불러내어 같이 싸우거나 혹은 무기로 변형시켰다. 디케이드가 방영된 이후에는 팬덤 사이에서 (현실적으로 구현하는게 불가능한) [[가면라이더 키바(가면라이더)/폼#s-4.1.1|괴상한 변형 기믹을]] [[가면라이더 지오 트리니티|가진 가면라이더]](및 다른 작품의 히어로)들의 [[킹 엑스칼리버#s-2|변형 형태]]를 파이널 폼라이드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 [[파일:파폼 쿠우가.png|width=100]] || [[파일:파폼 아기토.png|width=100]] || [[파일:파폼 류우키.png|width=100]] || || [[쿠우가 고우람]] || [[아기토 토네이더]] || [[류우키 드래그레더]] || || [[파일:파폼 파이즈.png|width=100]] || [[파일:파폼 블레이드.png|width=100]] || [[파일:파폼 히비키.png|width=100]] || || [[파이즈 블래스터]] || [[블레이드 블레이드]] || [[히비키 음격고]] || || [[파일:파폼 카부토.png|width=100]] || [[파일:파폼 덴오.png|width=100]] || [[파일:파폼 키바.png|width=100]] || || [[젝터 카부토]] || [[덴오 모모타로스]] || [[키바 애로우]] || || [[파일:attachment/a0033417_518f753f95d29.jpg|width=100]] || [[파일:파폼 더블.png|width=100]] || [[파일:파폼 올라이더.png|width=100]] || || [[디케이드라이버]] || [[가면라이더 W(가면라이더)/폼#s-7|사이클론사이클론/조커조커]] || 올 라이더[* [[가면라이더X가면라이더 더블&디케이드 MOVIE 대전 2010]]에서 디엔드를 포함한 [[헤이세이 라이더]]들이 '''일렬로 쭉 늘어서서 차례차례 앞에 있는 라이더의 등을 전개한다. 하늘을 날아다니는 [[크라이스 요새|슈퍼 크라이스 요새]]가 상대라 파이널 폼 라이드 상태로 비행을 못하는 파이즈, 블레이드, 키바와 덴오는 각자 제트 슬라이거, 덴라이너, 캐슬 도란에 탑승하여 싸우고, 블레이드는 잭 폼으로 변신해서 싸우는 모습이 나온다.]] || || '''쿠우가''' || '''덴오''' || ||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Kuuga_Ball_Ganbaride_Card.jpg|width=100]] || [[파일:파폼 덴라이너.png|width=100]] || || [[가면라이더 쿠우가(오노데라 유스케)#s-4.3|쿠우가 볼]][* 간바라이드 당시 시청자 응모를 받아 만든 디케이드의 필살기 중 하나. 쿠우가를 공으로 만들어 던진다.] || [[덴라이너]] || == 파이널 가면라이드 == === 디케이드 === || [[파일:1588373714304.png|width=150]] || [[파일:Screenshot 2021-02-10 at 01.21.51.jpg|width=150]] || || '''{{{#fff 컴플리트 폼 카드}}}''' || '''{{{#fff 컴플리트 폼 21 카드}}}''' || ||<-7>
'''{{{#White 헤이세이 라이더 1기}}}''' || || 사진 ||[[파일:디케이드 컴플리트폼 카드.png|width=100]]||[[파일:얼티메이트폼 카드.png|width=100]]||[[파일:라이징 얼티메이트 카드.png|width=100]]||[[파일:샤이닝폼 카드.png|width=100]]||[[파일:서바이브 카드.png|width=100]]||[[파일:블래스터폼 카드.png|width=100]]|| ||<|2>명칭 || 디케이드 || 쿠우가 || 쿠우가 || 아기토 || 류우키 || 파이즈 || || 컴플리트 폼 || 얼티메이트 폼 || 라이징 얼티메이트 || 샤이닝 폼 || 류우키 서바이브 || 블래스터 폼 || || 사진 ||[[파일:킹폼 카드.png|width=100]]||[[파일:암드 카드.png|width=100]]||[[파일:하이퍼폼 카드.png|width=100]]||[[파일:라이너폼 카드.png|width=100]]||[[파일:초 클라이맥스폼 카드.png|width=100]]||[[파일:엠페러폼 카드.png|width=100]]|| ||<|2>명칭 || 블레이드 || 히비키 || 카부토 || 덴오 || 덴오 || 키바 || || 킹 폼 || 암드 히비키 || 하이퍼 폼 || 라이너 폼 || 초 클라이맥스 폼 || 엠페러 폼 || ||<-6>
'''{{{#White 헤이세이 라이더 2기}}}''' || || 사진 || [[파일:더블 익스트림 카드.png|width=100]] ||[[파일:오즈 프트티라 카드.png|width=100]]||[[파일:포제 코즈믹 카드.png|width=100]]|| [[파일:위자드 인피니티 카드.png|width=100]] || [[파일:가이무 키와미 카드.png|width=100]]|| ||<|2>명칭 || 더블 || 오즈 || 포제 || 위자드 || 가이무 || || 사이클론조커 엑스트림 || 프트티라 콤보 || 코즈믹 스테이츠 || 인피니티 스타일 || 키와미 암즈 |||||||||| || 사진 || [[파일:드라이브 트라이드론 카드.png|width=100]] ||[[파일:고스트 무겐 카드.png|width=100]]||[[파일:에그제이드 하이퍼무테키 카드.png|width=100]]||[[파일:빌드 지니어스 카드.png|width=100]]||[[파일:지오 그랜드 지오 카드.png|width=100]]|| ||<|2>명칭 || 드라이브 || 고스트 || 에그제이드 || 빌드 || 지오 || || 타입 트라이도론 || 무겐 다마시 || 무적 게이머 || 지니어스 폼 || 그랜드 지오 || ||<-3>
'''{{{#White 레이와 라이더}}}''' || || 사진 || [[파일:제로원 제로투 카드.png|width=100]] || [[파일:세이버 크로스 세이버 카드.png|width=100]] || ||<|2> 명칭 || 제로원 || 세이버[* 크로스 세이버 라이더 카드는 미등장, 사진은 제인 카드다. 뒷면이 크로스 세이버 크레스트가 아닐 뿐 앞면은 미등장한 크로스 세이버 라이더 카드와 똑같다.] || || 제로투 || 크로스 세이버 || 케이터치에 컴플리트 카드를 집어넣은 뒤 헤이세이 라이더 시리즈가 방영되었던 순서대로([[가면라이더 쿠우가(가면라이더)|쿠우가]] → [[가면라이더 아기토(가면라이더)|아기토]] → [[가면라이더 류우키(가면라이더)|류우키]] → [[가면라이더 파이즈(가면라이더)|파이즈]] → [[가면라이더 블레이드(가면라이더)|블레이드]] → [[가면라이더 히비키(가면라이더)|히비키]] → [[가면라이더 카부토(가면라이더)|카부토]] → [[가면라이더 덴오(가면라이더)|덴오]] → [[가면라이더 키바(가면라이더)|키바]] → [[가면라이더 디케이드(가면라이더)|디케이드]]) 케이터치의 표식을 누르면 "파이널 가면 라이드: 디케이드!"란 음성이 나옴과 동시에 컴플리트 폼으로 변신한다. 디케이드라이버의 버클을 빼서 벨트의 오른쪽에 장착하고, 빈 자리에 케이터치를 장착하면 변신이 끝난다. ||
[[파일:attachment/d0060527_4a346d14408bf.gif|width=100%]] || || '''디케이드 컴플리트 폼 변신 연출''' || * 파이널 가면 단말 K 터치에 있는 각 라이더의 문양을 누른 후 F자를 누르면 각 라이더의 최종 폼을 소환할 수 있다. 이 때 나오는 음성은 '''"(라이더 이름)"-"가면 라이드"-"(최종폼의 이름)"''' 순서로 되어 있다.(ex: "류우키" "가면라이드" "서바이브") 어깨의 카드도 파이널 가면 라이드에 맞춰 바뀌는데, 카드의 뒷 배경은 파이널 어택 라이드처럼 푸른 빛의 배경으로 되어있다. 케이터치를 통해 각 라이더의 최종 폼의 힘을 자신의 몸에 재현시킨다는 설정으로, 라이더의 소환에 성공하면 그 라이더는 디케이드 컴플리트 폼의 움직임을 그대로 따라한다. [[카도야 츠카사]]와 [[오노데라 유스케]] 역을 맡은 배우인 [[이노우에 마사히로]]와 무라이 료타가 컴플리트 폼을 패러디해 장난을 벌인 적 있다. [[가면라이더 지오]]에서 네오 디케이드라이버가 등장하면서 파이널 가면라이드도 [[가면라이더 W(가면라이더)|W]]~[[가면라이더 빌드(가면라이더)|빌드]]까지의 카드가 추가되었다. [[가면라이더 지오 스핀오프 RIDER TIME 가면라이더 지오 VS 디케이드 - 7인의 지오 -]]에서 컴플리트 21이 나오면서 지오, 제로원까지 추가되었다. === 디엔드 === ||
[[파일:1588373718463.png|width=150]] || || '''{{{#fff 컴플리트 카드}}}''' || ||<-5>
'''{{{#White 디엔드 (극장판)}}}''' ||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Final_Kamen_Ride_Diend_Complete.jpg|width=90]]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Kamen_Ride_G4.jpg|width=90]]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Kamen_Ride_Ryuga.jpg|width=90]]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Kamen_Ride_Orga.jpg|width=90]]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Kamen_Ride_Glaive.jpg|width=90]] || || 디엔드 컴플리트 || G4 || 류우가 || 오가 || 글레이브 ||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Kamen_Ride_Kabuki.jpg|width=90]] ||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Kamen_Ride_Caucasus.jpg|width=90]] ||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Kamen_Ride_Arc.jpg|width=90]] ||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Final_Kamen_Ride_Skull.jpg|width=90]] ||<|2> [[파일:디엔드 로고.png|width=100]] || || 카부키 || 코카서스 || 아크 || 스컬 || [[가면라이더X3 THE MOVIE - 초덴오 트릴로지]]의 Episode Yellow인 [[보물DE엔드 파이리츠]]에서 [[가면라이더 디엔드#s-3|디엔드 컴플리트 폼]]이 나온다. [[가면라이더 G4|G4]], [[가면라이더 류우가|류우가]], [[가면라이더 오가|오가]], [[가면라이더 글레이브|글레이브]], [[가면라이더 카부키|카부키]], [[가면라이더 코카서스|코카서스]], [[가면라이더 아크|아크]], [[가면라이더 스컬|스컬]] 등의 8인 [[극장판 라이더]][* 특히, 선역보다는 악역 최종 보스 라이더들. 단, 카부키는 중간 보스고, 스컬은 선역이다.]의 힘을 사용한다. 극중에서는 전용의 어택라이드 극장판 카드로 소환하여 단체 필살기를 시전하는 용도로 사용했다. == 파이널 어택라이드 == 디케이드와 디엔드의 최종 필살기. 파이널 폼라이드로 모습을 바꾼 [[주인공]] 라이더들과의 합동 공격기 혹은 각 라이더로 [[가면라이드]]한 상태에서의 필살기를 발동한다. 파이널 어택라이드는 어택라이드처럼 특정 기술이 할당되어있는 게 아니라, 필살기급 기술을 가리지 않고 쓴다. 같은 카드를 써도 디케이드만 해도 킥, 참격 등 다양한 기술을 썼으며, 파이널 폼라이드를 사용한 다른 라이더로 쓰느냐, 레전드 라이더로 변신한 디케이드가 쓰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헤이세이 라이더 관련 파이널 어택라이드 뿐만 아니라 [[아마존의 세계]]에서는 [[야마모토 다이스케(가면라이더 디케이드)|아마존]]의 파이널 어택라이드가 공개되었다. === 디케이드 === ||
<|3> [[파일:파이널 디케이드.png|width=100]] ||<|3> 디케이드 || 디멘션 킥 ||<|3> 디케이드의 단독 필살기.[br]앞에 카드를 잔뜩 세워두고 통과하면서 데미지를 늘리는 방법을 사용한다.[* 연출의 모티브는 블레이드의 로얄 스트레이트 플래시에서 따온 듯.] 킥 이외에도 [[라이드 북커]] 소드 모드/건 모드로도 사용할 수 있다. [[가면라이더 클라이맥스 히어로즈]]에선 컴플리트 폼에서 발동하면 10장의 카드가 역대 헤이세이 라이더의 문장으로 바뀐다. 잘 보이지는 않지만 자세히 보면 통과하는 카드 중 마지막 카드는 디케이드의 아이콘이 아닌, 디케이드가 라이더 킥을 날리는 모습이며 시전 시 디케이드가 어떤 폼 라이드 중인지에 따라 달라진다. || || 디멘션 슬래시 || || 디멘션 블래스트 || || [[파일:파이널 쿠우가.png|width=100]] || 쿠우가 || 디케이드 어설트 || 쿠우가 고우람으로 변형한 쿠우가와의 협공기. 디케이드 쿠우가 상태에서 사용할 경우에는 마이티 킥. 하지만 폼라이드에 따라서 다른 필살기[* 스플래시 드래곤, 블래스트 페가수스, 캘러미티 타이탄 등]도 쓸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 [[파일:파이널 아기토.png|width=100]] || 아기토 || 디케이드 토네이도 || 아기토 토네이더를 타고 합동공격.[br]극중에는 오노데라 유스케의 [[가면라이더 G3-X|G3-X]]와 함께 공격했다. 디케이드 아기토 상태에서는 아기토 [[라이더 킥]] 발동.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 다른 필살기[* 라이더 브레이크, 드래곤 브레스, 할버드 스핀, 할버드 브레이크, 세이버 슬래시, 더블 세이버 슬래시, 세이버 브레이크 등]도 쓸 수 있을 것 같다. || || [[파일:파이널 류우키.png|width=100]] || 류우키 || 디케이드 드래곤 || 류우키 드래그레더와 함께 뛰어올라 원작의 류우키처럼 [[드래곤]] 라이더 킥을 먹이는 기술.[br]디케이드 류우키 상태에서 사용하면 진짜 드래그레더를 소환해서 사용할 것 같다. || || [[파일:파이널 파이즈.png|width=100]] || 파이즈 || 디케이드 포톤 || 파이즈 블래스터를 이용해 포격을 가한다.[br]포격 전에 록 온도 한다.[br]디케이드 파이즈 상태에서 사용할 경우 크림슨 스매쉬가 발동. 하지만 크림즌 스매쉬를 씀에 따라, 그란 임팩트와 스파클 컷도 쓸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 [[파일:파이널 블레이드.png|width=100]] || 블레이드 || 디케이드 엣지 || 블레이드 블레이드에 의한 강력한 검의 일격.[br][[에피소드]] 10에서 블레이드로 가면라이드를 한 상태에서 발동해 라이트닝 블래스트를 [[오르페녹]]에게 먹였다. 다른 필살기[* 라이트닝 슬래쉬, 라이트닝 소닉]도 쓸 수 있을 듯하다. || || [[파일:파이널 히비키.png|width=100]] || 히비키 || 디케이드 웨이브 || 히비키 음격고로 맑은 소리를 두들겨 적을 없앤다.[br]극중에서는 아카네타카로 변형한 히비키가 적을 교란하고 음격고로 변신해 붙었다.[br]가면라이더 지오에서는 히비키로 가면라이드 한 상태에서 발동했는데 히비키의 필살기인 음격타를 사용했다. || || [[파일:파이널 카부토.png|width=100]] || 카부토 || 디케이드 메테오 || 젝터 카부토로 변형한 카부토와 협공한다.[br]그 후 디케이드가 [[클락 업#s-2.2|클락 업]] 상태에서 라이더 킥을 날렸다.[br]카부토는 원작의 카운터 킥을 구사.[br]에피소드 18에서 카부토로 가면라이드한 상태에서 발동해 [[마화망]]에게 라이더 킥을 먹였다. || || [[파일:파이널 덴오.png|width=100]] || 덴오 || 디케이드 라이너 || 모모타로스는 '이 몸의 필살기 디케이드 버전'이라고 부른다.[br]덴오 모모타로스가 소드 폼 필살기를 날린다.[br]작중에는 칼을 쿠우가 고우람에 꽂아 통째로 들어 날렸다.[br]디케이드 자신은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 디케이드 덴오의 상태에서 쓸 경우, 익스트림 슬래쉬의 각종 버전과 다른 필살기[* 로드 폼의 솔리드 어택, 액스 폼의 다이나믹 춉, 건 폼의 와일드 샷]도 쓸 수 있을 것이다. || || [[파일:파이널 키바.png|width=100]] || 키바 ||디케이드 팡 || 키바 애로우로 화살을 발사한다.[br]화살촉에는 키바 오른다리의 헬즈 게이트가 있다.[br]디케이드 키바 상태에서 사용할 경우 다크니스 문 브레이크를 발동할 수 있다. 폼라이드에 따라서, 다른 필살기[* 가루루 하울링 슬래시, 밧샤 아쿠아 토네이도, 독가 썬더 슬랩 등]도 쓸 수 있을 듯하다. || || [[파일:파이널 아마존.png|width=100]] || 아마존 || 슈퍼 대절단 || 가가의 팔찌를 어택라이드 카드를 이용해 아마존에게 넘겨주면 그 아마존이 슈퍼 대절단을 사용한다. || || [[파일:파이널 더블.jpg|width=100]] || 더블 || [* 원본의 기본폼 킥 필살기는 조커 익스트림.] || [* 더블이 사용하는 모든 메모리 브레이크를 사용 할수 있는걸로 보인다.] || || [[파일:파이널 오즈.jpg|width=100]] || 오즈 || [* 원본의 기본폼 킥 필살기는 타토바 킥.] || [* 타토바 킥 외에도 메다쟈리버를 사용한 오즈 배쉬도 쓸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 [[파일:파이널 포제.jpg|width=100]] || 포제 || [* 원본의 기본폼 킥 필살기는 라이더 로켓 드릴 킥.] || [* 이 외에도 다른 모듈의 리미트 브레이크를 쓸 수 있을 듯하다.] || || [[파일:파이널 위자드.jpg|width=100]] || 위자드 || [* 원본의 킥 필살기는 스트라이크 위자드.] || [[가면라이더 지오]]에서 사용했다. 게이츠 위저드 아머를 털어먹었지만[* 이걸 본 시청자들은 저게 필살기냐며 까는 사람들이 많았다. 하지만 잘 생각해보면 상황이 게이츠와 마주보고 있던 디케이드 위자드가 게이츠 옆으로 빅 마법 공격을한걸 보면 빅 위자드 링과 커넥트 위자드 링 효과를 혼합한 공격일 수도 있다.][* 만약 파이널 어택라이드 위자드 카드가 혼합 마법공격을 하는 효과가 있다면 바인드, 커넥트, 카피, 킥 스트라이크(아니면 드래곤 전용 스페셜)를 혼합해서 엄청난 피해를 줄수있다. 예시)우선 바인드로 적을 묶고 적 주위에 커넥트 마법진을 카피 효과로 여러개 만든다. 그리고 디케이드 위자드는 자신 앞에 있는 커넥트 마법진으로 킥 스트라이크를 사용하면서 들어간다. 그러면 적 주위에 있는 커넥트 마법진에서 나타난 무수히 많은 드케이드 위자드가 적에게 킥 스트라이크를 날린다.] 지오가 합류하여 디케이드 아머 에그제이드 폼으로 변신하자 그대로 퇴장. 스트라이크 위저드, 슬래시 스트라이크, 슈팅 스트라이크도 쓸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 [[파일:파이널 가이무.jpg|width=100]] || 가이무 || [* 원본의 기본폼 킥 필살기는 무뢰 킥.] || [* 그 외에도 대등일도(오렌지 스쿼시), 오렌지 스파킹, 무쌍 세이버와 다이다이마루를 합쳐 쓰는 나기나타 무쌍 슬라이서도 있다. 설정 상 오렌지 오레도 있긴 하다.] || || [[파일:파이널 드라이브1.jpg|width=100]] || 드라이브 || [* 원본의 기본폼 킥 필살기는 스피드롭.] || [* 스피드롭 외에도 터보 스매시, 턴 슬래시, 타이어 샷이 있다.] || || [[파일:파이널 고스트.jpg|width=100]] || 고스트 || 오메가 드라이브 오레 || [[가면라이더 지오]]에서 게이츠를 향해 쓴다. 그 외에도 간 건 세이버를 이용한 각종 필살기[* 기본 블레이드 모드일 경우, 오메가 브레이크, 이도류 모드일 경우, 오메가 슬래시, 건 모드는 오메가 슛, 나기나타(언월도) 모드는 오메가 스트림, 애로우 모드는 오메가 스트라이크, 라이플 모드는 오메가 임팩트, 해머 모드는 오메가 봄버.]도 쓸 것이다. || || [[파일:파이널 엑제.jpg|width=100]] || 에그제이드 || [* 원본의 기본폼 킥 필살기는 마이티 크리티컬 스트라이크.] || [* 가샤콘 브레이커를 이용한 마이티 크리티컬 피니쉬도 있다.] || || [[파일:파이널 빌드.jpg|width=100]] || 빌드 || 볼텍 피니쉬 || [[가면라이더 지오]]에서 사용했다. 지오의 중간폼인 디케이드 아머의 빌드 폼과 라이더 킥으로 격돌했지만 밀렸다. 볼텍 브레이크와 호크 개틀링의 풀 불릿도 드릴 크러셔와 호크 개틀링거를 사용해 쓸 수 있을 것이다. || || [[파일:파이널 지오.jpg|width=100]] || 지오 || [* 원본의 기본폼 킥 필살기는 타임 브레이크.] || [* 시간 기레이드 검모드를 쓰는 아슬아슬 슬래시, 건 모드의 닿을 듯 말듯 슈팅도 있다.] || [[가면라이더 배틀 간바라이드|간바라이드]]에서 나온 디케이드 단독 사용기 * 디케이드 배니시(DCDV): 연출은 가슴부분의 십자형태에서 광선이 날아가 상대에게 맞으면, 상대의 뒤에 디케이드의 문장이 생기면서 라이드 북커 소드모드에서 바코드를 스캔, 이후 눈부분에서 'DCDV'란 문자가 뜨면서 달려가서 가로베기 후 하늘로 떠오른 상대에게 세로베기. * 디케이드 감옥(DCDJ): 이란 단독 필살기도 존재한다. 상대를 바코드로 변화시켜 농락하다가 다시 실체화시키고 사격을 가해 폭발시키는 식의 공격. 연출이 다소 난해하다.[[https://youtu.be/lP1y5N_1a8M=1m40s|영상. 1분 40초부터 디케이드 배니시가 나오고, 그 다음에 디케이드 감옥이 나온다.]] 이 외에도 일부 FAR들의 연출이 TV에서의 연출과는 다소 다르다. * 디케이드 어설트(DCDA): TV판에서는 양쪽에서 동시에 공격했지만 여기서는 전방에서 동시에 공격한다. 쿠우가 고우람을 타고 날아올라갈 때 배경이 '''[[푸른 하늘이 된다|푸른 하늘]]'''이 된다. * 디케이드 토네이도(DCDT): 아기토 토네이더를 타고 회전하면서 날아가 라이드 북커 소드 모드로 적을 관통한다. * 디케이드 드래군(DCDD): 킥이 아닌 참격으로 공격. * 디케이드 포톤(DCDP): 커다란 빔 한방을 스트레이트로 날리는 대신 사격을 할 때 파이즈 블래스터를 휘둘러 광탄들을 확산시킨다. 확산되어 나가던 광탄들이 록온된 장소로 모여 한번에 폭발. * 디케이드 엣지(DCDE): 블레이드 블레이드에서 카드들이 튀어나가 상대방 앞에 일렬로 늘어선다. 그 후 디케이드가 블레이드 블레이드를 잡고 공중으로 뛰어올라 한 바퀴 회전하면서 검을 내려친다. 로얄 스트레이트 플래시와 비슷한 연출. * 디케이드 웨이브(DCDW): 당연히 TV판의 단체 세션은 나오지 않고 TV판에서 디엔드가 사용하던 것과 비슷한 연출이 나온다. * 디케이드 메테오(DCDM): 난데없이 [[우주]]에서 날아오는 운석을 오른손에 든 젝터 카부토로 받아낸 후 그 에너지로 적을 힘껏 찌른다. * 디케이드 라이너(DCDL): '이 몸의 필살기 디케이드 버전' 대신 사용. 각 [[이매진(가면라이더 덴오)|이매진]]들의 색에 맞춘 다섯 줄의 선로가 생겨나면서 그 위를 달리는 5색의 디케이드가 연속공격을 행한다. * 디케이드 팡(DCDF): 상공에 나타난 스테인드 글래스를 향해 화살을 쏘면 붉은 [[달]]이 나타나며 유리 파편들이 상대를 둘러싼다. 그대로 상대방의 머리 위로 날아올라 상공에서 마지막 1발을 발사. === 디엔드 === ||
[[파일:파이널 디엔드.jpg|width=100]] || 디엔드 || 디멘션 슛 ||강력한 광탄을 발사하는 기술.[br]이 때 카드의 형상 같은 것이 전개되는데[* 순서는 디엔드 앞에서부터 쿠우가 - 아기토 - 류우키 - 파이즈 - 블레이드 - 히비키 - 카부토 - 덴오 - 키바 - 디엔드 순],[br]이 형상 속에 자신이 소환한 라이더가 빨려 들어간다.[* 그러나 초 덴오 트릴로지에서의 라이오 트루퍼 6명은 빨려들어가지 않았다. 마찬가지로 [[가면라이더 지오]]에서 엑셀과 버스를 소환하고 파이널 어택 라이드를 사용할 때 액셀과 버스는 빨려들어가지 않았다.][br]자세한 건 불명이지만 디엔드가 가진 카드를 전부 전개해서 쓰는 모양.[br]왠지 파워 업 카드를 얻은 이후에 쓴 디멘션 슛에선 펼쳐지는 카드들에 색이 입혀져있다.|| || [[파일:파이널 키바.png|width=100]] || 키바 || 디케이드 팡 ||키바 애로우를 사용하여 화살을 발사한다.[br]화살촉에는 키바 오른다리의 헬즈 게이트와 같은 것이 있다.[br]류우가를 공격해 쓰러트렸다.|| || [[파일:파이널 블레이드.png|width=100]] || 블레이드 || 디케이드 엣지 ||블레이드 블레이드에 의한 강력한 검의 일격.[br]단공광아검 같다는 사람도 있다.[br]에피소드 13에서 [[언노운(가면라이더 아기토)|언노운]]을 쓸어버리는 데 썼다.|| === 극중 미등장 === ||
[[파일:파이널 어택 라이드 1호.png|width=100]] || 1호 || - || - || || [[파일:파이널 어택 라이드 2호.png|width=100]] || 2호 || - || - || || [[파일:파이널 어택 라이드 V3.png|width=100]] || V3 || - || - || || [[파일:파이널 어택 라이드 라이더맨.png|width=100]] || 라이더맨 || - || - || || [[파일:파이널 어택 라이드 X.png|width=100]] || X || - || - || || [[파일:파이널 어택 라이드 스트롱거.png|width=100]] || 스트롱거 || - || - || || [[파일:파이널 어택 라이드 스카이 라이더.png|width=100]] || 스카이 라이더 || - || - || || [[파일:파이널 어택 라이드 슈퍼 1.png|width=100]] || 슈퍼-1 || - || - || || [[파일:파이널 어택 라이드 제크로스.png|width=100]] || ZX || - || - || || [[파일:파이널 어택 라이드 블랙.png|width=100]] || 블랙 || - || - || || [[파일:파이널 어택 라이드 블랙 RX.png|width=100]] || 블랙 RX || - || - || || [[파일:파이널 어택 라이드 신.png|width=100]] || 신 || - || - || || [[파일:파이널 어택 라이드 ZO.png|width=100]] || ZO || - || - || || [[파일:파이널 어택 라이드 J.png|width=100]] || J || - || - || == 파이널 가면 어택 폼라이드 == ||
[[파일:파이널 어택 폼라이드.png]] || 디케이드 || 파이널 디멘션 킥 ||[[극장판 가면라이더 디케이드 올 라이더 대 대쇼커|올 라이더 대 대쇼커]]에서는 모든 쇼와&헤이세이 라이더가 가면라이드 카드로 변하고 디케이드가 카드들을 통과하면서 킥.[* 이때 쿠우가는 라이징 얼티밋 폼이였지만 쿠우가 마이티 폼 카드가 되었고 점보 디케이드가 되었던 J의 카드도 나타났다.]|| [[분류:라이더 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