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그리스 로마 신화]][[분류:목성의 위성]][[분류:역행 불규칙 위성]] [목차] == [[크레타]]의 왕비 == '''Πασιφάη / Pasiphae''' [[그리스 로마 신화]]의 등장인물. 어원은 모든 것을 비추는 자. 태양신 [[헬리오스]]와 마법 여신 [[페르세이스]](혹은 페르세)의 딸. 남매로는 [[키르케]], 아이에테스,[* 콜키스의 왕이자 칼키오페(프릭소스의 아내), 압시르토스, [[메데이아]]의 아버지.] [[페르세스]][* 형 아이에테스의 왕좌를 빼앗았다가 조카 메데이아에게 살해당했다.]가 있다. [[미노스#s-1|미노스]]와 결혼해서 [[데우칼리온]], 카트레우스, 안드로게오스, [[글라우코스]], [[아리아드네]], 파이드라, 크세논디케, 아카칼리스를 낳았다. 그러나 미노스가 흰 소를 빼돌리고 다른 소를 [[포세이돈]]에게 제물로 바친 일로 분노한 포세이돈의 저주를 받아 흰 소를 사랑하게 된다.[* [[만화로 보는 그리스 로마 신화]] 3권에서는 파시파에가 미노스에게 흰 소를 달라고 부탁해서 미노스가 다른 소를 제물로 바쳤다는 전승을 택했다. [[홍은영의 그리스 로마 신화]] 5권에서는 미노스가 독단적으로 제물 횡령을 해서 분노한 포세이돈이 흰 소를 미치게 하고 파시파에에게 저주를 내렸다는 전승을 택했다.] [[다이달로스]]에게 암소 모형을 만들어 달라고 부탁했고, 암소 모형에 들어가 소와 [[수간]]을 저질러 [[미노타우로스]]를 낳는다.[* 이에 대해서는 [[레다]]와 비슷하게 파시파에에게 타우로스(소)라는 이름의 남자 애인이 있었고 그 남자와의 사이에서 사생아를 낳은 것이라는 해석이 있다.] [[비블리오테케]]에 의하면, 미노스는 자주 바람을 피워서 파시파에와 사이가 나빴고 파시파에는 미노스에게 저주[* 사정할 때 [[정액(체액)|정액]]이 아니라 '''독사, 전갈, 지네를 싸게 만드는''' 저주였다. 미노스가 절정에 다다른 순간 동침하던 불륜녀의 자궁이 어떻게 될지는... 때문에 파시파에도 한동안은 미노스와의 사이에서 아이를 갖지 못했으나 신의 딸이었기에 독이 듣지 않아 관계를 얼마나 가지던 간에 멀쩡했다고 한다.]를 걸어 남편과 동침한 여인들을 모두 죽게 만든다.[* 다만 케팔로스의 아내 프로크리스는 키르케가 쓰기로 유명한 약초, 혹은 [[https://en.wikipedia.org/wiki/Moly_(herb)|몰리]]를 써서 저주를 무마하고 그와 동침할 수 있었다. [[페미돔|염소의 방광]]을 여자의 몸 안에 집어넣은 후 [[질내사정]]을 하라고 지시하여 저주를 풀어주었다는 설도 있다.] === 대중매체에서 === ==== [[만화로 보는 그리스 로마 신화]]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파시파에3권.jpg|width=100%]]}}}|| || [[만화로 보는 그리스 로마 신화]] 구판 || 3권에서 등장한다. 원전대로 포세이돈의 저주로 사람들이 다 보는 앞에서 대놓고 입을 맞춰댈 정도로 황소를 사랑하게 되고 이후 [[미노타우로스]]를 낳아 남편 [[미노스]]를 경악시킨다. ==== [[홍은영의 그리스 로마 신화]]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파시파에.jpg|width=100%]]}}}|| || [[홍은영의 그리스 로마 신화]] || 5권에서 남편 [[미노스#s-1|미노스]]와 같이 등장한다. 자녀들인 카트레우스, 데우칼리온, 글라우코스, 안드로게오스, 아카칼리스, 크세논디케, 아리아드네, 파이드라도 소개됐다. 미노스가 포세이돈을 속이고 황소를 빼돌린 뒤 다른 소를 제물로 바치자 분노한 포세이돈은 "네가 그 소를 그렇게 아낀다면 너의 아내가 그 소를 사랑하게 하겠다"라면서 파시파에에게 저주를 내렸다. 결국 소를 사랑하게 된 파시파에는 다이달로스에게 부탁해 가짜 암소를 만들어 달라고 부탁했고, 다이달로스는 소 떼들이 있는 곳에 가짜 암소를 두고 파시파에를 불렀다. 수위 문제로 수간을 저질렀다는 언급은 없고 파시파에가 가짜 암소에 들어갔으나 황소가 가짜 암소를 진짜 암소로 착각해서 가까이 갔다는 언급만 있다. 원전과 동일하게 미노타우로스를 낳으며, 미노스는 다이달로스를 시켜 지은 미궁에 미노타우로스를 가뒀다. == 목성의 위성 == [include(틀:목성/위성)] '''파시파에'''(Pasiphae) 또는 '''목성 VIII'''는 목성의 제8위성이며 목성의 위성 중 역행 위성 중 가장 큰 위성이지만 목성의 불규칙 위성 중 3번째로 큰 위성이다. 지름은 약 60km[* 38km는 가짜 직경이다.] 정도이고 임시 명칭은 '''1908 CJ'''며 공전 주기는 약 2.092년(764.082032일)이다. [[1908년]] [[1월 27일]]에 필리버트 자크 멜로트가 '''파시파에'''라는 위성을 발견을 하였다. 그 '''파시파에'''라는 이름은 그리스 로마 신화의 '''[[미노스]]'''의 부인이자 '''[[미노타우로스]]'''의 어머니 이름을 따왔다. 그 전에는 '''목성 VIII'''라고 불렸고, 1955~1975년 사이에 기간에는 가끔씩 "'''포세이돈'''"이라고 불렸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