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파리의 지하철)] ||<-2> [[RATP|[[파일:RATP그룹 아이콘.svg|height=25]]]]{{{#!wiki style="margin: -10px -10px" ||[[파일:파리 지하철 7호선 아이콘.svg|width=70]]||{{{#f59eb3 {{{+1 '''Ligne 7'''}}} '''du métro de Paris'''[br]{{{-1 Paris Metro}}} Line 7[br]{{{-1 파리 지하철}}} 7호선}}} ||}}} || ||<-2> [[파일:mf77(7).webp|width=100%]] ---- [[RATP MF 77형 전동차]] || ||<-2> '''노선 정보''' || || '''분류''' || [[지하철]] || || '''기점''' || [[라 쿠르뇌브]] || || '''종점''' || [[메리 디브리역]] || || '''지선 기점''' || [[메종 블랑쉬역]] || || '''지선 종점''' || [[빌쥐프 루이 아라공역]] || || '''역 수''' || 38 || || '''노선기호''' || {{{#f59eb3 '''7'''}}} || || '''노선번호''' || 7호선 || || '''개업일''' || [[1910년]] [[11월 5일]] || || '''소유자''' || [[파리(프랑스)|[[파일:파리 문장.svg|width=50]]]] || || '''운영자''' || [[RATP|[[파일:RATP그룹 아이콘.svg|width=60]]]] || || '''차량기지''' || 배속, 중검수: Choisy AMT L.7 et AMP차량기지 || || '''사용차량''' || [[RATP MF 77형 전동차]] || ||<-2> '''노선 제원''' || || '''노선연장''' || 22.5 km || || '''궤간''' || 1435mm [[표준궤]] || || '''선로구성''' || 전구간 [[복선]] || || '''사용전류''' || [[직류]] 750V [[제3궤조집전식]] || || '''최고속도''' || 70km/h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리 지하철]]의 한 노선으로 파리 지하철 7호선 (Paris Metro Line 7)은 북쪽의 센생드니(Seine-Saint-Denis)주 라 쿠르뇌브(La Courneuve) 라 쿠르뇌브-1945년 5월 8일역에서 남쪽의 발드마른주(Val-de-Marne) 이브히 쉬르 센(Ivry-sur-Seine) 매리 디브리역까지 잇는 본선과 파리 13구(13e arrondissement) 매종 블랑쉬 역에서 발드마른 주(Val-de-Marne) 빌쥐프(Villejuif) 빌쥐프 루이 아라공 역에 이르는 지선으로 이루어져 있는 총영업거리 22.5㎞의 노선이다. 이 노선의 노선색은 분홍색. == 역사 == * [[1910년]] [[11월 5일]] [[오페라역|오페라(Opéra)역]]에서 포르트 드 라 빌레트(Porte de la Villette)역을 잇는 7호선이 개통함. * [[1911년]] [[1월 18일]] 루이 블랑(Louis Blanc)역에서 프레 생 제르베(Pré-Saint-Gervais)역을 잇는 지선이 개통함. * [[1916년]] [[7월 1일]] 노선이 [[오페라역|오페라(Opéra)역]]에서 [[팔래 루아얄-뮈제 뒤 루브르역|팔래 루아얄-뮈제 뒤 루브르(Palais-Royal - Musée du Louvre)역]]까지 남쪽으로 연장됨. * [[1926년]] [[4월 16일]] 노선이 [[팔래 루아얄-뮈제 뒤 루브르역|팔래 루아얄-뮈제 뒤 루브르(Palais-Royal - Musée du Louvre)역]]에서 퐁 마리(Pont Marie)역까지 연장됨. * [[1930년]] [[2월 15일]] 세느강 하저터널이 지어지는 동안에 세느강 남부의 플라스 몽주(Place Monge)역에서 [[플라스 디탈리역|플라스 디탈리(Place d'Italie)역]]까지가 개통되고 일시적으로 10호선의 일부로 운행됨. * [[1930년]] [[3월 7일]] 일시적으로 10호선으로 운행되는 구간이 [[플라스 디탈리역|플라스 디탈리(Place d'Italie)역]]까지에서 포르트 드 슈아지(Porte de Choisy)역까지로 늘어남 * [[1930년]] [[6월 3일]] 노선이 퐁 마리(Pont Marie)역에서 퐁 드 쉴리(Pont de Sully)역까지 연장됨.[* 퐁 드 쉴리(Pont de Sully)역은 현재의 쉴리-모를랑(Sully - Morland)역] * [[1931년]] [[4월 26일]] 퐁 드 쉴리(Pont de Sully)역에서 플라스 몽주(Place Monge)역까지가 개통되어서 세느강 남부와 북부가 이어짐. 또한 플라스 몽주(Place Monge)역에서 포르트 드 슈아지(Porte de Choisy)역까지가 7호선 관할로 바뀌었으며 동시에 포르트 디브히(Porte d'Ivry)역까지로 연장됨. * [[1946년]] [[5월 1일]] 노선이 포르트 디브히(Porte d'Ivry)역에서 메리 디브리(Mairie d'Ivry)역까지로 연장됨 * [[1967년]] 운행 편수의 부족으로 7호선의 북부 지선 루이 블랑(Louis Blanc)역에서 프레 생 제르베(Pré-Saint-Gervais)역 구간이 [[파리 지하철 7bis선]]의 독립운행계통으로 분리되어 운행을 시작함. * [[1979년]] [[10월 4일]] 노선이 포르트 드 라 빌레트(Porte de la Villette)역에서 포르 도베르빌리예(Fort d'Aubervilliers)역까지 북쪽으로 연장됨. * [[1982년]] [[12월 10일]] 노선의 지선인 빌쥐프 지선이 메종 블랑쉬(Maison Blanche)역에서 르 크레믈랑 비세트르(Le Kremlin-Bicêtre)역까지로 개통함. * [[1985년]] [[2월 28일]] 노선의 지선인 빌쥐프 지선이 르 크레믈랑 비세트르(Le Kremlin-Bicêtre)역에서 빌쥐프 루이 아라공(Villejuif – Louis Aragon)까지로 연장됨. * [[1987년]] [[5월 6일]] 노선이 포르 도베르빌리예(Fort d'Aubervilliers)역에서 라 쿠르뇌브-1945년 5월 8일(La Courneuve - 8 Mai 1945)역까지 북쪽으로 연장됨. == 특징 == 이 노선은 매해 평균 1억 2070만명의 승객을 나르며 이 수치는 [[파리 지하철]] 중 수송여객인원 수 3위에 해당한다. 파리 동역과 인구 밀집 지역, 중심 상권을 쏙쏙 이어주는 선형을 가진 터라 상당히 많은 수송량을 분담하며 출퇴근 시간때만 되면 [[가축수송(교통)|미어터지는]] 노선 중에 하나이다. 그리고 이 노선은 [[파리 지하철 12호선|12호선]]과 [[파리 지하철 13호선|13호선]]을 제외하고 모든 지하철 노선과 접속하며, [[샤틀레-레알역|샤틀레역]]에서는 [[RER]]과도 접속하기에 이용객이 매우 많다. 또한 이 노선에서 운행하는 [[RATP MF 77형 전동차]]는 77년에 설계된 전동차로서 아주 오래되었는데, 그래서 그런지 차량 내부의 전등이 한 두 개씩 꺼져있어 을씨년스러운 분위기를 자아내기도 한다. 이 노선은 심지어 아프리카계 프랑스인분들께서 많이 이용하시는 노선으로, 처음탔을 때 다른 노선과 분위기가 사뭇 다르다고 느낄 수도 있다. 그러나 사실 아프리카계 프랑스인분들은 생각보다 무섭지 않으며, 오히려 친절하신 분들도 있으므로 선입견은 가지지 말고 부담없이 탑승하도록 하자. 또한 이 전동차는 문을 열 때 버튼을 눌러야 한다. 생각보다 버튼이 뻑뻑하며, 깊게 눌러야 열리므로, 힘을 주어서 꾹 누르자. 참고로 어떤 역에서도 안내방송이 나오지 않는다. 창 밖으로 역명을 확인하면서 내릴 역을 찾는게 좋다. [[파리(프랑스)|파리]]를 방문하게 되면 상당히 자주 이용하게 될 지하철 노선이라고도 할 수 있다. 파리 남부의 교통 요충지인 [[플라스 디탈리역|플라스 디탈리(Place d'Italie)역]]에서 [[RER]] 천국 [[샤틀레-레알역|샤틀레역]]을 직빵으로 이어주는 노선인데다가, 수송량이 차고 넘쳐서 바이패스 [[파리 지하철 1호선|노선이]] 있는 [[샤틀레-레알역|샤틀레역]]-[[팔레 루아얄-뮈제 뒤 루브르역|팔레 루아얄-뮈제 뒤 루브르(Palais-Royal - Musée du Louvre)역]]을 이어주기도 하며, 또한 [[루브르|루브르 박물관]]과 [[파리 오페라 하우스|오페라 갸르니에(Palais Garnier)]]를 잇는 오페라 가(Avenue de l'Opéra)를 따라 진행하며, 그 유명한 라파예트 백화점이 있는 쇼세 당탱-라 파예트(Chaussée d'Antin - La Fayette)역을 지나기도 하기 때문이다. == 의의 == [[파리 지하철 5호선|5호선]]과 함께 파리 동부지역의 남-북 축을 담당하며 파리 시내의 도로교통의 혼잡도를 완화하는 역할을 하며, 주요 철도역을 [[RER]] 노선은 물론이고, 관광 명소, 상업 중심지와 이어주는 선형으로, 파리 시내의 유기적인 도시철도 교통의 중요한 한 축을 담당한다. 그러나 [[파리 지하철 5호선|5호선]]과 다른점은 물론 5호선이 보비니 지역을 이어주긴 하지만 주로 파리 시내의 수송 분담에 초점을 둔다면, '''7호선'''은 북쪽으로는 오베르빌리예, 남쪽으로는 빌주이프와 이브리 지역을 파리 도심으로 연결하며 광역철도의 느낌을 가지고 있다고 과언이 아니다. 실제로 우리나라 서울의 [[서울 지하철 7호선]]과 비슷하게, 인구 밀집지역(파리 – 빌주이프, 이브리, 오베르빌리예 / 서울 – 노원구, 서초구, 광명, 부천, 인천)을 도심(파리 – 파리 1구 / 서울 – 강남구)과 빠르게 연결해주는 선형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렇게 '''파리 지하철 7호선'''은 파리가 광역도시권을 형성하고 유지하는데 큰 역할을 하는 노선이라고 할 수 있다. == 노선 == [[파일:attachment/파리 지하철 7호선/노선도.jpg|width=650]] === 본선 === || 한국어 명 || 프랑스어 명 || 환승노선 || 비고 || || 라 쿠르뇌브-1945년 5월 8일 || La Courneuve - 8 Mai 1945 || {{{#006cb8 ①}}} [[파리 트램 1호선]] || || || 포르 도베르빌리예 || Fort d'Aubervilliers || || || || 오베르빌리에 - 팡탱 카트르 슈맹 || Aubervilliers - Pantin - Quatre Chemins || || || || 포르트 드 라 빌레트(과학산업관) || Porte de la Villette(Cité des Sciences et de l'Industrie) || {{{#008b5a ③b}}} [[파리 트램 3b선]] || || || 코랑탱 카리우 || Corentin Cariou || || || || 크리메 || Crimée || {{{#e8ce10 Ⓒ}}} [[RER C선]] || || || 리케 || Riquet || || || || [[스탈린그라드역|스탈린그라드]] || Stalingrad || {{{#0c6eb7 ●}}} [[파리 지하철 2호선|2호선]] [br] {{{#f68f4d ●}}} [[파리 지하철 5호선|5호선]] || || || 루이 블랑 || Louis Blanc || {{{#78c696 ●}}} [[파리 지하철 7bis선|7bis선]] || || || 샤토 랑동 || Château-Landon || {{{#ffa90d Ⓟ}}} [[트랑지리엥 P선]] [br] [[TER]] 피카르디 [br] [[TER]] 샹파뉴-아르덴 || || || [[파리 동역|파리 동역(베르됭)]] || Gare de l'Est(Verdun) || {{{#bb4b9c ●}}} [[파리 지하철 4호선|4호선]] [br] {{{#f68f4d ●}}} [[파리 지하철 5호선|5호선]][br] {{{#c760ad Ⓔ}}} [[RER E선]] [br] {{{#ffa90d Ⓟ}}} [[트랑지리엥 P선]] [br] [[TER]] 피카르디 [br] [[TER]] 샹파뉴-아르덴 || || || 푸아소니에르 || Poissonnière || || || || 카데 || [[Cadet]] || || || || 르 펠르티에 || Le Peletier || || || || [[쇼세 당탱-라 파예트역|쇼세 당탱-라 파예트]] || Chaussée d'Antin - La Fayette || {{{#cec82b ●}}} [[파리 지하철 9호선|9호선]] || || || [[오페라역|오페라]] || Opéra || {{{#9b993a ●}}} [[파리 지하철 3호선|3호선]] [br] {{{#c5a3cc ●}}} [[파리 지하철 8호선|8호선]] [br] {{{#fe370f Ⓐ}}} [[RER A선]] [br] {{{#c760ad Ⓔ}}} [[RER E선]] || || || [[피라미드역(파리)|피라미드]] || Pyramides || {{{#672f8f,#a770d0 ●}}} [[파리 지하철 14호선|14호선]] || || || [[팔레 루아얄-뮈제 뒤 루브르역|팔레 루아얄-뮈제 뒤 루브르]] || Palais-Royal - Musée du Louvre || {{{#ffcd09 ●}}} [[파리 지하철 1호선|1호선]] || || || 퐁 뇌프 || Pont Neuf || || || || [[샤틀레-레알역|샤틀레]] || Châtelet || {{{#ffcd09 ●}}} [[파리 지하철 1호선|1호선]] [br] {{{#bb4b9c ●}}} [[파리 지하철 4호선|4호선]] [br] {{{#8d663a ●}}} [[파리 지하철 11호선|11호선]] [br] {{{#672f8f,#a770d0 ●}}} [[파리 지하철 14호선|14호선]] [br] {{{#fe370f Ⓐ}}} [[RER A선]] [br] {{{#537db9 Ⓑ}}} [[RER B선]] [br] {{{#18964c Ⓓ}}} [[RER D선]] || || || 퐁 마리 || Pont Marie || || || || 쉴리-모를랑 || Sully - Morland || || || || [[주시외역|주시외]] || Jussieu || {{{#e0b03a ●}}} [[파리 지하철 10호선|10호선]] || || || [[플라스 몽주역|플라스 몽주(식물원 – 원형경기장)]] || Place Monge(Jardin des Plantes – Arènes de Lutèce) || || || || 성시에 - 도방통 || Censier - Daubenton || || || || 르 고블랭 || Les Gobelins || || || || [[플라스 디탈리역|플라스 디탈리]] || Place d'Italie || {{{#f68f4d ●}}} [[파리 지하철 5호선|5호선]] [br] {{{#78c696 ●}}} [[파리 지하철 6호선|6호선]] || || || 톨비악 || Tolbiac || || || || 메종 블랑슈 || Maison Blanche || 빌쥐프 지선 || || || 포르트 디탈리 || Porte d'Italie || {{{#f68c59 ③a}}} [[파리 트램 3a선]] || || || 포르트 드 슈아지 || Porte de Choisy || {{{#f68c59 ③a}}} [[파리 트램 3a선]] || || || 포르트 디브히 || Porte d'Ivry || {{{#f68c59 ③a}}} [[파리 트램 3a선]] || [[파리 오를리 공항|오를리(버스 183번)]] || || 피에르 에 마리 퀴리 || Pierre et Marie Curie || || || || 메리 디브리 || Mairie d'Ivry || || || === 빌쥐프 지선 === || 한국어 명 || 프랑스어 명 || 환승노선 || 비고 || || 메종 블랑쉬 || Maison Blanche || 빌쥐프 본선 || || || 르 크레믈랑 비세트르 || Le Kremlin-Bicêtre || {{{#006cb8 ①}}} [[파리 트램 1호선]] || || || 빌쥐프 - 레오 라그항주 || Villejuif – Léo Lagrange || || || || 빌쥐프 - 폴 바이양 쿠튀리에(폴 브루스 병원) || Villejuif – Paul Vaillant-Couturier(Hôpital Paul Brousse) || || || || 빌쥐프 루이 아라공 || Villejuif – Louis Aragon || {{{#b98b59 ⑦}}} [[파리 트램 7호선]] || || [각주] [[분류:파리 지하철]][[분류:1910년 개업한 철도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