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파리의 지하철)] ||<-2> [[RATP|[[파일:RATP그룹 아이콘.svg|height=25]]]]{{{#!wiki style="margin: -10px -10px" ||[[파일:파리 지하철 4호선 아이콘.svg|width=70]]||{{{#bb4b9c {{{+1 '''Ligne 4'''}}} '''du métro de Paris'''[br]{{{-1 Paris Metro}}} Line 4[br]{{{-1 파리 지하철}}} 4호선}}} ||}}} || ||<-2> [[파일:8243.webp|width=100%]] ---- [[RATP MP 14형 전동차|RATP MP 14형 전동차]] || ||<-2> '''{{{#ffffff 노선 정보}}}''' || || '''분류''' || [[지하철]] || || '''기점''' || [[포르트 드 클리냥쿠르역]] || || '''종점''' || [[메리 드 몽루주역]] || || '''역 수''' || 27 || || '''노선기호''' || {{{#bb4b9c '''4'''}}} || || '''노선번호''' || 4호선 || || '''개업일''' || [[1908년]] [[4월 21일]] || || '''소유자''' || [[파리(프랑스)|[[파일:파리 문장.svg|width=50]]]] || || '''운영자''' || [[RATP|[[파일:RATP그룹 아이콘.svg|width=60]]]] || || '''차량기지''' || 배속/중검수: Saint-Ouen AMT L.4, AMP et AME 차량기지 || || '''사용차량''' || [[RATP MP 89형 전동차|RATP MP 89CC형 전동차]] [br] [[RATP MP 14형 전동차]] || ||<-2> '''{{{#ffffff 노선 제원}}}''' || || '''노선연장''' || 12.1 km || || '''궤간''' || 1435mm [[표준궤]] || || '''선로구성''' || 전구간 [[복선]] || || '''사용전류''' || [[직류]] 750V [[제3궤조집전식]] || || '''최고속도''' || 80km/h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리 지하철]]의 한 노선으로 파리 지하철 4호선 (Paris Metro Line 4)은 북쪽의 파리 18구(18e arrondissement) 포르트 드 클리냥쿠르역에서 남쪽의 오드센(Hauts-de-Seine) 주 몽루주(Montrouge) 마리 드 몽루주역까지 남북으로 이으며 영업거리 12.1㎞의 노선이다. 이 노선의 노선색은 자색. == 역사 == * [[1908년]] [[4월 21일]] 세느강 우안의 4호선 첫 번째 구간인 포르트 드 클리냥쿠르역-[[샤틀레-레알역|샤틀레역]] 구간이 선개통되었다. * [[1909년]] [[10월 30일]] 세느강 좌안의 4호선 두 번째 구간인 포르트 도를레앙역-라스파이역 구간이 개통되었다. * [[1910년]] [[1월 9일]] 세느강 좌-우안의 양 구간이 [[샤틀레-레알역|샤틀레역]]과 라스파이역 사이의 터널이 완성되면서 연결되었다. 이를 통해 4호선은 세느강을 지하로 통과하는 첫번째 호선이 되었다. * [[1967년]] 궤도가 고무차륜 전동차의 도입을 위해 교체되었으며, 기존의 Sprague-Thomson 철제차륜 전동차는 [[RATP MP 59형 전동차]]로 대체되었다. * [[1977년]] [[10월 3일]] [[샤틀레-레알역|레 알역]]이 새로운 RER노선과의 접속을 위해 재건축되었다. * [[2011년]] [[5월 23일]] [[RATP MP 59형 전동차]]가 [[RATP MP 89형 전동차|RATP MP 89CC형 전동차]]로 대체되기 시작했다. * [[2012년]] [[12월 21일]] 마지막 [[RATP MP 59형 전동차]]가 4호선에서의 45년간의 서비스를 마치고 퇴역하였다. * [[2013년]] [[3월 23일]] 메리 드 몽루주역이 공식적인 승객이용이 시작되었으며, 이는 4호선의 개시 이후 첫번째 노선확장으로 기록되었다. * 2022년 1월 13일, 4호선이 메리 드 몽루주역에서 Bagneux - Lucie Aubrac역까지 연장되었다. 총 2개 역사가 신설되었다. [[https://www.francezone.com/xe/hanweeklynews/2155944|#]] == 특징 == 전 구간이 지하구간이다. 또한, 파리 지하철 노선 중 [[파리 지하철 1호선|1호선]] 다음으로 이용객이 많다. 1호선처럼 자동화를 위해 공사가 진행중이다. 이 부분은 다음 문단에서 계속 하겠다. 60년대 수송력을 높이고 정차와 주행소음을 해결하기 위해 가감속에 유리하고 소음이 줄어드는 고무차륜 방식으로 개조되었고,[* 이 밖에 1, 6, 11호선이 고무차륜으로 개조되었고, 14호선은 1998년 개통 당시부터 고무차륜 방식을 채택했다.] [[RER B선]]이 [[파리 북역]]-[[샤틀레-레알역|샤틀레-레 알역]]-당페르-로슈로역 구간에서 바이패스 노선으로 급행 역할을 하고 있다. 이 노선은 [[RATP]](파리교통공사)가 운영하고 있다. 이 지하철은 [[파리 지하철]] 중에서 시테섬 아래를 지나가는 유일한 노선이며, 우리나라의 대법원과 같은 [[파기원]], 우리나라의 지방법원과 비슷한 위치인 팔레 뒤 쥐스티스(시 법원), 파리항소법원, 현 경찰청과 같은 사법기관이 밀집되어있는 시테섬으로 가기위한 유일한 철도교통수단이다. 또한 시테섬은 [[하중도]]인 관계로 지반이 상당히 약한 편이다. 그래서 지하철 4호선 시테역의 심도는 상당히 깊으며, 이는 안정적인 기반암층에 역사를 짓고 그 위로 출구를 내어 연약지반에 대처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 자동화 노력 == 상술되어있듯, 파리 지하철 4호선은 [[파리 지하철 1호선]] 다음으로 이용객 수가 많은 노선이다. 그렇기 때문에 RATP는 배차 간격을 줄이고 더 많은 승객을 태울 수 있는 방법인 자동운전을 4호선에 적용시키려고 한다. 자동운전을 하게 되면 열차간 시격을 줄이고, 더욱 효과적으로 배차를 진행하여 단위시간당 더 많은 승객을 태울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또한 이에 따라서 늘어날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자동 운전용 전동차를 신규 발주하였다. 신규 발주분은 [[RATP MP 14형 전동차]]이며, 현재 [[파리 지하철 1호선|1호선]] 구간에서 열차 운행이 종료된 심야시간에 시운전 중이며, 올해 안으로 승객 서비스를 시작하며 4호선과 [[파리 지하철 11호선|11호선]]에는 2021-2022년도에 발주 물량이 공급 될 예정이다. 자동화 계획은 * 2018년 2분기에 스크린도어 공사와 시험을 시작 * 2019년에는 중앙통제센터의 시스템을 발주 * 2020년에는 첫번째 무인 운전 열차를 공급 * 2022년 말에는 무인운전체계 완성 및 운행 이런 계획을 [[RATP]]홈페이지 측에서는 밝히고 있다. [[https://www.ratp.fr/en/automatisationdela4|#]] == 의의 == 파리 지하철 4호선은 [[파리 지하철 1호선|1호선]]과 함께 파리의 정맥과 동맥 역할을 하고 있다. 파리의 시내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종축을 담당하며, 주요 수요처를 가장 빠른 거리로 연결해준다. 파리 철도 교통에 중요한 두 역인 [[파리 북역]]과 [[파리 동역|동역]], [[RER]] 천국 [[샤틀레-레알역|샤틀레역]], 예전 파리의 중심이었던 시테섬, 파리 남부 철도교통의 중심인 [[파리 몽파르나스역]]을 한번에 잇는 유일한 노선이다. 그렇기 때문에 노선의 이용객 수가 전체적으로 많다. 파리 지하철 4호선으로 인해 각 기차역들의 상호 접근성이 매우 향상되었다. 즉 파리 지하철 4호선은 철도교통의 환승수요를 잡아주고, [[파리(프랑스)|파리]]를 종축으로 가로지른다는 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노선이라 할 수 있다. == 노선 == [[파일:Plan_Linéaire_Métro_Paris_Ligne_4_-_2022-01-13.svg.png|width=750]] || 한국어 역명 || 프랑스어 역명 || 환승노선 || 비고 || || 포르트 드 클리냥쿠르 || Porte de Clignancourt || || || || 생플롱 || Simplon || || || || 마르카데-푸아소니에 || Marcadet - Poissonniers || {{{#028d5b ●}}} [[파리 지하철 12호선|12호선]] || || || 샤토 루주 || Château Rouge || || || || [[바르베스-로슈슈아르역|바르베스-로슈슈아르]] || Barbès - Rochechouart || {{{#0c6eb7 ●}}} [[파리 지하철 2호선|2호선]] || || || [[파리 북역]] || Gare du Nord || {{{#f68f4d ●}}} [[파리 지하철 5호선|5호선]] [br] {{{#537db9 Ⓑ}}} [[RER B선]] [br] {{{#18964c Ⓓ}}} [[RER D선]] [br] {{{#c760ad Ⓔ}}} [[RER E선]] [br] {{{#a15256 Ⓗ}}} [[트랑지리엥 H선]] [br] {{{#c3a500 Ⓚ}}} [[트랑지리엥 K선]] [br] [[TER]] 오드프랑스 || || || [[파리 동역|파리 동역(베르됭)]] || Gare de l'Est(Verdun) || {{{#f68f4d ●}}} [[파리 지하철 5호선|5호선]] [br] {{{#f59eb3 ●}}} [[파리 지하철 7호선|7호선]] [br] {{{#ffa90d Ⓟ}}} [[트랑지리엥 P선]] [br] [[TER]] 발레드마른 [br] [[TER]] 그랑테스트 || || || 샤토 도 || Château d'Eau || || || || [[스트라스부르-생 드니역|스트라스부르-생 드니]] || Strasbourg - Saint-Denis || {{{#c5a3cc ●}}} [[파리 지하철 8호선|8호선]] [br] {{{#bb4b9c ●}}} [[파리 지하철 9호선|9호선]] || || || 레오뮈르-세바스토폴 || Réaumur-Sébastopol || {{{#9b993a ●}}} [[파리 지하철 3호선|3호선]] || || || 에티엔느 마르셀 || Étienne Marcel || || || || [[샤틀레-레알역|레 알]] || Les Halles || {{{#fe370f Ⓐ}}} [[RER A선]] [br] {{{#537db9 Ⓑ}}} [[RER B선]] [br] {{{#18964c Ⓓ}}} [[RER D선]] || || || [[샤틀레-레알역|샤틀레]] || Châtelet || {{{#ffcd09 ●}}} [[파리 지하철 1호선|1호선]] [br] {{{#78c696 ●}}} [[파리 지하철 7호선|7호선]] [br] {{{#8d663a ●}}} [[파리 지하철 11호선|11호선]] [br] {{{#672f8f,#a770d0 ●}}} [[파리 지하철 14호선|14호선]] [br] {{{#fe370f Ⓐ}}} [[RER A선]] [br] {{{#537db9 Ⓑ}}} [[RER B선]] [br] {{{#18964c Ⓓ}}} [[RER D선]] || || || 시테 || Cité || || || || [[생미셸-노트르담역|생 미셸]] || Saint-Michel || {{{#537db9 Ⓑ}}} [[RER B선]] [br] {{{#e8ce10 Ⓒ}}} [[RER C선]] || || || [[오데옹역|오데옹]] || Odéon || {{{#e0b03a ●}}} [[파리 지하철 10호선|10호선]] || || || 생 제르맹 데 프레 || Saint-Germain-des-Prés || || || || 생 쉴피스 || Saint-Sulpice || || || || 생 플라시드 || Saint-Placide || || || || [[파리 몽파르나스역|몽파르나스-비앵브뉘]] || Montparnasse - Bienvenüe || {{{#78c696 ●}}} [[파리 지하철 6호선|6호선]] [br] {{{#028d5b ●}}} [[파리 지하철 12호선|12호선]] [br] {{{#89d3de ●}}} [[파리 지하철 13호선|13호선]] [br] {{{#32b0b0 Ⓝ}}} [[트랑지리엥 N선]] [br] [[TER]] 상트르-발드르와르 [br] [[TER]] 노르망디 || || || 바뱅 || Vavin || || || || 라스파이 || Raspail || {{{#78c696 ●}}} [[파리 지하철 6호선|6호선]] || || || [[당페르 로슈로역|당페르-로슈로(콜로넬 롤 탕기)]] || Denfert-Rochereau (Colonel Rol-Tanguy) || {{{#78c696 ●}}} [[파리 지하철 6호선|6호선]] [br] {{{#537db9 Ⓑ}}} [[RER B선]] || || || [[무통 뒤베르네역|무통 뒤베르네]] || Mouton-Duvernet || || || || 알레지아 || Alésia || || || || 포르트 도를레앙(제네랄 르클레르) || Porte d'Orléans (Général Leclerc) || {{{#f68c59 ③a}}} [[파리 트램 3a선]] || || || 메리 드 몽루주 || Mairie de Montrouge || || || || 바르바라 || Barbara || || || || 바뉴외-뤼시 오브락 || Bagneux – Lucie Aubrac || || || [[분류:파리 지하철]][[분류:1908년 개업한 철도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