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Global Alliance in Management Education 소속 대학)] ||<-2> {{{+2 {{{#white Hautes études commerciales de Paris}}}}}} || ||<-2> [[파일:HEC Paris 로고.png|width=300]] || || {{{#white 표어}}} ||'''Apprendre à oser'''[br]'''The more you learn, the more you dare''' || || {{{#white 개교}}} ||[[1881년]] || || {{{#white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프랑스)] || || {{{#white 이사장}}} ||장 폴 아공 (Jean-Paul Agon) [[로레알]] 이사회 의장|| || {{{#white 총장}}} ||엘로익 뻬라슈 (Eloïc Peyrache) || || {{{#white 소재}}} ||[[프랑스|{{{#000000 '''프랑스'''}}}]] [[주이 앙 조사스|{{{#000000 '''주이 앙 조사스'''}}}]] || || {{{#white 학생 수}}} ||'''4,238'''^^(2018년)^^ || || {{{#white 합격률}}} ||'''6%'''^^(2018년)^^ || || {{{#white 웹사이트}}} ||[[http://www.hec.edu/en|[[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HEC Paris, 너비=100%, 높이=100%)]}}} || ||<-2> {{{#white 위치}}} || [[파일:HEC_Paris_entrée.jpg|width=400]] '''HEC Paris 정문''' [목차] [clearfix] == 개요 == >'''Apprendre à oser''' >'''더 많이 배울수록 더 과감히 도전한다'''[* 직역하면 “Learn to dare” 이나 "The more you learn, the more you dare"로 의역되며 학교에서 쓰이는 공식 영어 번역도 의역을 따르고 있음.] 1881년 [[프랑스]] [[파리(프랑스)|파리]]에 세워진 최상위권 사립 [[그랑제꼴]]. 프랑스를 대표하는 명문 상경계 그랑제꼴로는 HEC Paris, ESSEC, ESCP, EDHEC 등이 손꼽히나 이 중 HEC Paris의 위상이 단연 절대적인 으뜸으로 인정된다. 파리고등상업학교 / 파리경영대학으로 번역하는게 올바르다. 설립과정이 특이한데, 파리 상공회의소 (Paris Chamber of Commerce)에서 전문 금융인력과 기업 간부를 양성하고 과학적 경영기법을 연구, 도입하기 위해 국가 공인 경영연구기관을 설립한 것이 바로 HEC Paris이다. 1964년 [[프랑스 대통령]] [[샤를 드골]]의 지시에 따라 파리 중심부에서 약 40분 정도 떨어진 Jouy-en-Josas로 캠퍼스를 이전하였다. HEC Paris에는 [[그랑제꼴]] 학위, 일반과정 학위가 있다. 일반과정 학위는 [[MBA]] (16개월), [[박사]] (약 5~6년), 전문석사로 나뉜다. == [[그랑제꼴]] MiM == [[그랑제꼴]] 학위는 MiM (Master In Management)라 불린다. 1년 반짜리 MiM 과정의 등록금이 EU인 4,500만원, 비EU인 5,400만원인데도 입학 경쟁은 매우 어렵다. 입학 방식은 2가지다. * 쁘레빠 2년에 그랑제꼴 2.5년(L3 M1 M2): 프랑스인 380명. 65%가 Scientifique, 26%가 Economique, 7%가 Litteraire, 2%가 Technologique 영역의 프레파를 거친다. 합격자는 평균 20세다. * 대졸 학위를 가지고 지원해 그랑제꼴 1년 반 (M1 M2): 프랑스인 90여 명 및 외국인 소수. 이 경우 L3 (그랑제꼴 1학년)에서 들어야 할 과목 중 일부를 첫 해에 듣게 되므로 M1 시기의 학업량이 매우 많다.[* 보통 8시부터 수업 시작.] 다른 학교에서 똑같은 수업을 들어놓을 경우 일부 과목의 면제가 가능하다.[* 학업량이 매우 많은 데다 현지 적응, 언어, 취업 문제도 있기 때문에 면제를 많이 받는 것이 유리하다.] 프랑스인의 경우 입학 자체가 취업을 상당부분 보장하고 있는데다 프랑스어를 외국인들처럼 공부해야 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공부량과 수업량이 외국인보다 적은 편이다. 특히 쁘레빠로 들어온 프랑스인은 3년에 걸쳐 수업을 듣기 때문에 M1에서 학업량이 매우 많은 것은 아니다. 따라서 두 집단은 같은 학교에 다니더라도 상당부분 따로 놀게 된다. 프랑스 내에서 대졸 학위를 가지고 들어오는 학생은 90여 명인데 39% 정치학, 25% 수학, 19% 법, 9% 경제, 6% 인문-예술, 1% 경영을 전공하고 들어온다. 들어오는 학교는 [[그랑제꼴]]으로는 Agro ParisTech. Ulm [[고등사범학교]], [[에콜 폴리테크니크]], Ecole des Mines ParisTech, Ecole Nationale des Ponts et Chaussées ParisTech, ENSAE ParisTech, ESPCI ParisTech, Institut Catholique de Paris (ICP), IEP (Bordeaux, Aix Marseille, Lille), Institut d’Optique, [[파리 정치대학]], Sup Aéro, Supméca, Télécom ParisTech 등이다. 일반 대학교로는 [[소르본 대학교]], [[파리 제1대학교 팡테옹 소르본]], [[파리 팡테옹 아사스 대학교]], [[파리 시테 대학교]], [[파리 낭테르 대학교]], [[그르노블 알프 대학교]] 등이다. 프랑스 상경계 그랑제꼴의 독특한 점은 갭 이어 (Gap Year)다. 말 그대로 M1과 M2 사이에 1년 쉬는 것이다. 약 85%가 이 제도를 사용한다. 이 기간 동안 두 군데 정도에서 [[인턴]]을 하는 경우가 많다. 이 인턴이 정규직 취업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다른 특수한 재주가 없다면, 현지 회사에서 인턴을 구하기 위해서는 [[유럽언어기준]] B2 정도의 [[프랑스어]]는 필요하다. 이 실력을 현지에서 단기간에 얻기는 불가능하므로 프랑스 [[해외취업]]을 생각하고 있다면 유학 전부터 프랑스어 실력을 키워오는 게 낫다. 한편 현지 행정이 외국인들에게 속터지는 경우가 많아 높은 프랑스어 실력이 요구되기도 한다. M1 수업은 보통 아침 8시에 시작해서 오후 4시경 끝나고, 이후 각종 채용, 네트워크 행사가 진행된다. 외딴 곳에 위치한 캠퍼스 특성상 M1 기간에는 보통 기숙사에 살지 않으면 안된다.[* 캠퍼스 내 기숙사에 살면서 친구도 사귀고 재미있게 .. 지내보자.] 캠퍼스 주위에는 엄청 큰 슈퍼마켓 Auchan밖에 없다. [* Auchan 슈퍼마켓 구경하면서 재미있게 .. 지내보자.] 참고로 약국을 가려고 해도 뒷산을 30분 정도 걸어 내려가서 Jouy 시내로 가야한다. 파리에서 캠퍼스로 가는 주된 수단인 RER C는 최악의 노선 중 하나. 연착이 잦고 예정된 기차가 아예 사라지기도 한다. === 외국인 전형 === 외국인 전형은 대졸 학위를 갖고 지원하는 경우만 가능하다. 그랑제꼴 2년 (M1 M2)을 거친다.[* 보통은 갭이어 1년까지 해서 3년 과정. ] 외국인 전형은 다음 조건으로 뽑는다. (1) 외국 대학 학사 이상 학위 (2) 프랑스 국적자 아님 (3) 학부 성적, GMAT 반영 (GMAT 평균 710) [[중국]] 명문대에는 특별전형이 열려 있다.[* [[베이징대학]], [[칭화대학]], [[푸단대학]], [[상하이교통대학]], [[난징대학]], [[저장대학]], 우한대학] 주로 들어오는 학교는 다음과 같다. * [[한국]]: [[서울대학교]], [[연세대학교]], [[고려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경희대학교]] *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 [[케임브리지 대학교]], [[런던 정치경제대학교]] (LSE) * [[러시아]]: [[모스크바 국립대학교]] * [[스위스]]: [[ETH Zurich]], St.Gallen * [[스페인]]: Universidad Politécnica de Madrid * [[미국]]: [[컬럼비아 대학교]], [[코넬 대학교]], [[하버드 대학교]], [[UC 버클리]], [[UCLA]],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예일 대학교]] *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교]], [[맥길 대학교]] * [[중국]]: [[푸단대학]], [[베이징대학]], [[상하이교통대학]], [[저장대학]], [[칭화대학]]. * [[일본]]: [[게이오기주쿠대학]] * [[인도]]: [[인도 공과대학교|IIT]] Ahmedabad, Birla, Calcutta * [[싱가포르]]: [[싱가포르 국립대학]] 그 외에 [[유럽]] 및 [[중동]]에서는 CEMS (Bocconi, Rotterdam School of Management), Maastricht University, American University of Beirut (레바논 소재), MGIMO, University of Mannheim, 남미/북미에서는 Universidad de Los Andes, Universidad Torcuato di Tella, 아시아에서는 Thammasat University 등에서 학생이 진학한다. 한국인이 지원시 국내 캠퍼스프랑스에서 30분 정도 면접을 본다. 상경계의 경우 프랑스 그랑제꼴 출신의 한국 기업 임원, 프랑스 관련 부처 관계자, 프랑스 그랑제꼴 출신의 면접관 등이 면접관으로 참석하는 식이다[* 출처: [[https://gyunny.tistory.com/165|한국인이 입학한 경우]]]. == 일반 석사 과정 == === MBA 과정 === 유럽을 대표하는 [[MBA]] 과정 중 하나로 2019년 [[이코노미스트]] 지 선정 세계 3위 (유럽 MBA 1위), 2018년 [[포브스]](Forbes) 지 선정 세계 MBA 2위, [[QS 세계 대학 랭킹]] 글로벌 MBA 랭킹에서는 2018년 세계 3위를 차지하였다[* 출처: [[https://www.economist.com/whichmba/full-time-mba-ranking|Economist 랭킹]]][* 출처: [[https://www.topmba.com/mba-rankings/global/2018|QS 랭킹]][[https://www.forbes.com/business-schools/#710c023f6d6d|Forbes 랭킹]]]. 졸업생들은 대체로 [[전략컨설팅]], [[투자은행]] 등 여느 최상위권 MBA의 취업 진로를 따르나, [[창업]]을 하거나 프랑스 중심의 [[다국적 기업]] [[간부후보생#s-6|Fast Track 간부후보생]] 으로 현지 채용되는 비율이 높은 편이다. 특히 럭셔리 산업의 강호인 프랑스를 대표하는 경영대학원인 만큼 럭셔리 분야에서 가장 두각을 드러내는 MBA이다. 2019년 기준 입학생 평균 나이는 30.3세, 경력은 6년이었다. MBA 과정은 물론 영어로 진행되며 프랑스 취업 지원을 희망하는 학생들을 위하여 불어 수업 (초급~고급)이 제공된다. [[경영전략|Strategy]], [[기업가정신|Entrepreneurship]], [[재무관리|Finance]], Advanced Management, [[마케팅|Marketing]], Sustainable & Disruptive Innovation, Digital Innovation의 7가지 심화 전공 (Specialization)이 제공된다. 단, 이중학위 (double degree) 과정에 입학 ([[예일대학교]] 경영대학원 경영학석사 Master of Advanced Management, [[뉴욕대학교]] MBA, [[파리정치대학]] MPA, [[조지타운 대학교]] LL.M, [[싱가포르 국립대학]] MBA 등)하는 경우에는 심화 전공 트랙을 선택할 수 없다. MBA 과정은 16개월로 매년 1월, 9월 입학으로 나뉜다. 학급 규모는 1월, 9월을 모두 합쳐 약 250~300명 수준이다. 매년 5월 전 세계 명문 MBA와의 교류 체전인 MBAT (MBA Tournament) 을 개최한다. === MS/MSc 석사 과정 === MSc International Finance (MIF) MSc Managerial and Financial Economics (MFE) MSc/MS Media Art and Creation MSc Strategic Management MSc/MS Marketing MSc Innovation and Entrepreneurship MS Digital 등 다양한 학위를 취득할 수 있다. == 주요 동문 == * [[도미니크 스트로스칸]] * 드니 케슬러[* Scor CEO.] * 루이 갈로아[* [[EADS]] CEO.] * 베르트랑 바드레[* [[세계은행]] CFO.] * 보두앵 프로[* [[BNP 파리바]] CEO.] * [[손 산]] * 앙리 드카스트리[* [[AXA]] CEO.] * [[에디트 크레송]] * 자크 조르주[* [[프랑스축구협회]] 회장.] * 장 도미니크 세나르[* [[르노]] CEO.] * 장 폴 아공[* [[로레알]] CEO.] * 파스칼 라미[* [[세계무역기구]] 사무총장.] * [[폴 레노]] * [[프란시스코 마데로]] * [[프랑수아 올랑드]] * 피터 토머스 애크워스[* Kink.com CEO.]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HEC, version=42)] [[분류:그랑제콜]][[분류:파리의 대학]][[분류:1881년 개교]][[분류:상과대학]][[분류:CEMS]][[분류:나무위키 교육기관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