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유희왕 5D's]] [[유희왕 5D's/WRGP 편|WRGP 편]]에 등장하는 [[라이딩 듀얼]] 팀. [[WR-GPX]]에 출전한 팀으로서, 대회 직전 연습 중이던 [[크로우 호건]]의 사고에 관여하여 그를 1차전에서 출전하지 못하게 만들었다. 이후 [[팀 유니콘]]의 안드레와 쟝을 크래시시켜 팀 유니콘을 탈락시키고, [[이자요이 아키]]마저 의식불명으로 만들어버린다.[* 이때 아키는 자신의 초능력으로 로즈 텐터클스를 소환해 물리적 피해를 피하려고 했는데, 어째서인지 로즈 텐터클스가 실체화되지 않았다. 이는 아키의 초능력이 서서히 약화되고 있음을 의미하는 복선이 되었다.] 얼굴에서부터 대놓고 "나는 나쁜 놈이오!"라고 광고하고 있으며, 다들 [[마커]]를 얼굴에 새긴 전과자들이다. 이들이 사고를 일으킬 수 있었던 것은 히든 나이트 후크라는 카드를 이용해 대전 상대가 탄 D휠의 그림자에 검은 후크(갈고리)를 생성시켜 그대로 D휠을 걸어 넘어뜨리는 식. 카드 주제에 실제로 영향을 끼친다는 건 [[볼가]]가 쓰던 [[블러드 메피스트]]와 같은 종류일 가능성도 있다.[* 사기리는 블러드 메피스트 이외의 모든 카드는 회수했다고 말했다. 이 회수된 카드가 3명의 치안유지국 장관 중 1명인 [[플라시도]]의 손에 있을 가능성은 충분하다.] 일단은 '''어둠의 카드'''라고 부르고 있다. 사실 이 카드는 [[플라시도]]가 준 것. 팀 5D's를 박살내기 위한 플라시도의 흉계였다. 그에게 있어서는 팀 카타스트로프 따위는 1회용 장기말에 지나지 않았던 셈. 멤버는 니콜라스, 헤르만, 한스. 이름으로 보아 독일 출신인듯 하다. 성우는 로사와 츠요시, [[카츠누마 키요시]], [[시모즈마 요시유키]]. 104화 방영 전에 엘시오란 멤버가 [[다크 크리에이터]], [[다크 암드 드래곤]]을 쓴다는 소문이 나와 사람들을 [[충격과 공포]]에 몰아넣었지만, 실제로는 애초에 엘시오란 멤버가 없었다. 크로우의 분전으로 히든 나이트 후크가 파괴되면서 헤르만은 패배하였고, 세컨드 휠러 니콜라스는 또다른 어둠의 카드 "둠즈 레이"로 [[잭 아틀라스]]와 함께 자폭하려다가 잭의 몬스터의 효과로 실패해 그대로 자신만 패배했다. 이후 D휠의 폭발로 위험해진걸 잭이 구해주긴 했으나 바로 '''"영혼이 맞붙는 듀얼에서 자기 카드를 못 믿고 어둠의 카드 따위나 쓰는 넌 듀얼할 자격이 없다."'''라고 일갈한다. 게다가 한스는 그대로 묻혔다. 정말로 1회성 악역이었던 모양이다. 팬덤에서는 등장 전의 의미심장한 발언들과 함께 완전히 개그 취급. 일본에서는 카마세이누와 합쳐서 '''카마세트로프'''라고 부른다. [[유희왕 5D's 오버 더 넥서스]]에서는 자폭한 니콜라스와 그대로 묻힌 한스와 실제로 듀얼을 해볼 수 있는데, 어째선가 사용하는 덱이 '''[[자동기계(유희왕)|자동기계]] 덱'''이다. 덕분에 그럭저럭 강하다. 스토리 상으로는 한스가 주인공 팀의 토오루한테 져주고 헤르만이 이상한 힘으로 토오루를 크래시 시킨다. 이후 토오루는 부상 당한 채로 D휠을 끌고 홈으로 귀환한다.[* 원작에서 [[잭 아틀라스]]가 했던 행동이다.] 이후 헤르만과 니콜라스가 연달아 주인공에게 털린 후 니콜라스도 어둠의 힘으로 주인공을 크래시 시키려 하지만 오히려 본인이 당해 버린다. 다만 여기서 그들이 무슨 짓을 해서 그를 크래시 시켰는지는 [[맥거핀|끝끝내 밝혀지지 않는다]].[* 니콜라스가 '두건 녀석'을 운운하면서 플라시도와 관련이 있음을 암시하긴 했다.] 그리고 니콜라스의 덱에는 자동기계와 1도 시너지가 없는 [[자폭 스위치]]가 1장 들어있는데 아마도 원작재현인 듯.(...) 헤르만의 덱은 원작의 히든 나이트가 표시형식으로 이득을 얻는 카드라서 그런지 [[드림 삐에로]] 주축의 표시형식 변경 덱, 한스는 어둠속성 기계족 주축 덱을 사용한다. 둘은 공통적으로 [[블랙 봄버]]를 이용해서 자동기계장군 무령을 소환하는 전술을 사용하는데, 조금 짜증나는 정도지 대단하게 강하진 않다. [[유희왕 태그 포스|유희왕 5D's 태그 포스 6]]에서는 OCG화되지 않은 히든 나이트 훅이 게임 오리지널 카드로 수록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오버 더 넥서스와는 달리 본인들은 출연하지 못했다. 직접 출연은 못하고 [[브루노(유희왕)|브루노]] 등 다른 캐릭터의 시나리오에서 언급만 되는데, 이 중 오리지널 캐릭터 중 미야타 유마의 시나리오에서 자주 언급되는 편. 어둠의 카드를 받아 악영향을 받았던 처지를 공유하는 과정에서 유마의 선량함에 감화되어 개심하고, 어둠의 카드들을 모두 찾아내 봉인하기로 한 유마의 동료가 되었다고 나온다. == 사용 카드 == === OCG화 된 카드 === 전부 헤르만의 패에 있는 것으로만 등장. * [[명계의 마왕 하데스|하데스의 마법]] * [[영혼 분쇄]] === OCG화 되지 않은 카드 === ==== 메인 덱 몬스터 ==== ===== 효과 몬스터 ===== ====== 히든 나이트 -후크- ====== [[파일:HooktheHiddenKnight-TF05-JP-VG.png|width=400]] || 한글판 명칭 ||<-4>'''히든 나이트 -후크-'''|| || 일어판 명칭 ||<-4>'''ヒドゥン・ナイト-フック-'''|| || 영어판 명칭 ||<-4>'''Hook the Hidden Knight'''||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4 || [[유희왕/속성|어둠]] || [[악마족]] || 1600 || 0 || ||<-5>자신 필드 위의 공격 표시로 존재하는 이 카드가 공격 대상이 되었을 때, 이 카드와 상대 공격 몬스터 1장을 수비 표시로 한다. 이 카드의 표시 형식이 공격 표시에서 수비 표시로 변경되었을 때, 상대 플레이어에게 800 포인트 데미지를 준다.|| 플라시도에게 받은 어둠의 카드 중 하나. 전투 데미지를 주거나 이 카드의 효과 데미지를 줄 때 바닥에서 갈고리가 튀어나와 상대의 D휠 바퀴를 걸고 넘어뜨려 사고를 일으켰다. 크로우의 함정 카드 [[디펜더즈 크로스]]의 효과로 효과가 무효화되고 크로우가 수비 표시로 싱크로 소환한 블랙 페더 드래곤과 같이 공격 표시로 변경되어 블랙 페더 드래곤의 공격으로 파괴되고 헤르만은 패배했다. 공격명은 '데빌 훅'. 효과명은 '섀도우 훅'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 사용 가능한 미 OCG화 카드 중 하나이다. [[유희왕 태그 포스]]에서 게임 오리지널 카드로 나왔던 것을 재활용한 것. ====== 히든 나이트 -다크-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DarktheHiddenKnight-JP-Anime-5D.png]] [[파일:external/www13.atpages.jp/hidden_knight_dark-2.jpg]] || 한글판 명칭 ||<-4>'''히든 나이트 -다크-'''|| || 일어판 명칭 ||<-4>'''ヒドゥン・ナイト-ダーク-'''|| || 영어판 명칭 ||<-4>'''Dark the Hidden knight'''||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3 || [[유희왕/속성|어둠]] || [[악마족]] || 800 || 0 || ||<-5>이 카드는 상대 플레이어에게 직접공격 할 수 있다. 자신 필드 위에 존재하는 수비 표시 몬스터가 공격 대상으로 선택되었을 경우, 이 카드를 릴리스하는 것으로 그 몬스터 1장을 공격 표시로 하고, 공격 몬스터와 전투를 실행한다.|| 크로우가 BF 몬스터를 대량전개해 히든 나이트 후크의 효과를 1번 쓰게하고 또 공격해서 히든 나이트 후크를 파괴하려하자 이 카드의 효과로 히든 나이트 후크를 공격 표시로 변경시켜 히든 나이트 후크의 효과를 1번 더 쓰게 했다. ==== 함정 카드 ==== ===== 암현의 그림자 ===== || 한글판 명칭 ||'''암현의 그림자'''|| || 일어판 명칭 ||'''闇眩ましの影'''|| || 영어판 명칭 ||'''Shadow Concealing Darkness'''|| ||<-2> 지속 함정 || ||<-2>자신 필드 위에 수비 표시로 존재하는 몬스터는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상대 필드 위에 빛 속성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이 카드는 파괴된다.|| 수비 표시였던 히든 나이트 후크를 지키기 위해, 크로우가 [[긴급동조]]를 발동했을 때 발동하였다. ===== 리바이벌 나이트 ===== [[파일:RevivalKnight-OW.png]] || 한글판 명칭 ||'''리바이벌 나이트'''|| || 일어판 명칭 ||'''リバイバル・ナイト'''|| || 영어판 명칭 ||'''Revival Knight'''|| ||<-2> 일반 함정 || ||<-2>자신 필드 위에 존재하는 "나이트"라는 이름이 붙은 악마족 몬스터 1장이 파괴된 턴의 엔드 페이즈시에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 1장을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히든 나이트 후크가 블랙 페더 드래곤에게 전투로 파괴되자 다시 써먹기 위해 발동했으나, 크로우가 블랙 페더 드래곤을 릴리스하고 발동한 카운터 함정 [[중력붕괴]]에 의해 기껏 되살린 후크는 맥없이 파괴된다. ===== 둠즈 레이 ===== [[파일:DoomRay-OW.png]] || 한글판 명칭 ||'''둠즈 레이'''|| || 일어판 명칭 ||'''ドゥームズ・レイ'''|| || 영어판 명칭 ||'''Doom Ray'''|| ||<-2> 일반 함정 || ||<-2>상대 몬스터가 직접 공격을 선언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패 × 800 포인트 데미지를 서로의 라이프에 준다.|| 세컨드 휠러인 니콜라스가 잭과의 듀얼에서 사용. 마찬가지로 실제로 데미지를 주는 어둠의 카드로서 자폭을 노렸지만, 잭은 [[파워 자이언트]]의 효과로 데미지를 받지 않았다. 결국 니콜라스만 데미지를 받고 패배해버린다. 니콜라스는 분명 서로가 데미지를 받는다고 말했는데, 왠지 자신이 데미지를 받는 것에 어리둥절했다.[* 이 때 대사는 니콜라스:말도 안돼! 어째 나한테도 들어오는거지..?/플라시도:넌 이제 볼일 없으니까] 아마 상대에게만 실제 데미지가 들어가는 줄 알았거나 플라시도가 곧바로 사용하는 유저에게도 데미지를 받게끔 설정했을 듯 하다. [[분류:유희왕 5D's/등장인물]][[분류:라이딩 듀얼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