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fff '''팀 버너스리의 주요 수상 및 수훈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대영제국 훈장(기사작위 수훈자들-남자))] ---- [include(틀:타임지 선정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100인(과학자들 & 사상가들))] ---- [include(틀:BBC 선정 위대한 영국인)] ---- [include(틀:역대 튜링상 수상자)] ---- [include(틀:역대 서울평화상 수상자)]}}} || ---- ||<-2> '''OM KBE FRS FREng FRSA FBCS[br]{{{+1 팀 버너스리 경}}}[br]Sir Tim Berners-Le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static.guim.co.uk/Sir-Tim-Berners-Lee-010.jpg|width=100%]]}}} || || '''본명''' ||티머시 존 버너스리[* 우리나라에서는 사람 이름을 표기할 때는 하이픈을 붙이지 않는다.][br]Timothy John Berners-Lee|| ||<|2> '''출생''' ||[[1955년]] [[6월 8일]] ([age(1955-06-08)]세)|| ||[[잉글랜드]] [[런던]]||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영국)]|| || '''직업''' ||[[컴퓨터과학|전산과학자]], [[프로그래머]], [[교수]]|| || '''부모''' ||아버지 콘웨이 버너스리 ^^(1921~)^^[br]어머니 메리 리 우즈 ^^(1924~2017)^^|| || '''배우자''' ||낸시 칼슨 ^^(1990년 ~ 2011년, 이혼)^^[br]로즈메리 리스 ^^(2014년 결혼)^^|| || '''자녀''' ||1남 1녀 및 의붓자녀 3명|| || '''링크'''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timberners_lee/with_replies, 크기=20)] [[https://instagram.com/tim.berners.lee?igshid=YmMyMTA2M2Y=|[[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https://www.w3.org/People/Berners-Lee/|[[파일:w3c아이콘.png|width=20]]]] [[https://ieeexplore.ieee.org/author/38271508800|[[파일:IEEE 심볼.svg|width=20]]]] [[https://dl.acm.org/profile/81100026375|[[파일:계산기협회 심볼.svg|width=20]]]]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학력''' ||에마뉴엘 스쿨 {{{-2 ([[졸업]][* 1969~73.])}}}[br][[옥스퍼드 대학교]] 퀸스칼리지 {{{-2 ([[물리학]] / [[학사|B.Sc.]][* 1973~76.])}}} || || '''소속''' ||[[CERN]][br][[W3C]][br][[사우스햄튼 대학교]][br]플레시[br][[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br][[옥스퍼드 대학교]] 크라이스트 처치 || || '''수상''' ||ACM 소프트웨어 시스템 상 {{{-2 (1995)}}}[br]메리트 훈장 {{{-2 (2007)}}}[br]NAS 외국인 준회원 {{{-2 (2009)}}}[br]엘리자베스 여왕상 {{{-2 (2013)}}}[br]튜링상 {{{-2 (2016)}}}[br]서울평화상 {{{-2 (2022)}}} || || '''종교''' ||[[개신교]]([[성공회]]) → [[유니테리언#s-3|유니테리언]][* "[[https://www.w3.org/People/Berners-Lee/UU.html|The World Wide Web and the "Web of Life"]]", w3.org] ||}}}}}}}}} || [목차] [clearfix] == 개요 == [[영국]]의 컴퓨터과학자, 프로그래머. [[월드 와이드 웹|www]], [[URL]], [[HTTP]] 등을 고안하여 [[웹]]을 탄생시킨 아버지로 유명하다. 그가 없었더라면 [[나무위키]]는 물론 [[구글]], [[페이스북]], [[아마존닷컴]], [[네이버]], [[카카오(기업)|카카오]]의 등장도 늦었을 것이다. 위 공로를 인정받아 [[기사작위]]를 받았고, 왕립학회의 회원(FRS)으로 활동 중이다. 현재는 월드와이드웹 컨소시엄(W3C)[* 웹사이트 코드 첫줄에서 자주 보이는 W3C 관련 표기의 그 컨소시엄이다.] 소장으로 재직. == 생애 == 1976년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수석으로 물리학 학사를 취득했다. 이후 1980년 [[CERN]]에서 컨설턴트로 근무를 하였다. 입사 후 그가 맨 처음으로 한 일은 문의(Enquire) 시스템을 만든 일. 이 시스템은 후에 [[월드 와이드 웹|www]]의 기초가 된다. 이후 잠깐 퇴사했다가 1984년 CERN에 재입사한 후 정보검색 시스템 구축 작업에 참여하였다. === [[월드 와이드 웹|www]]의 고안 === [[1989년]] 그는 [[CERN]]의 정보 시스템에서 착안하여 세계의 망을 하나로 묶는 거대한 [[인트라넷]], [[월드 와이드 웹|www]]를 제안하였다. 월드 와이드 웹의 약자인 www는 흔히 웹이라고도 불리며, 지금의 인터넷 시스템을 이르는 말이기도 하다. 또한 그는 웹과 [[클라이언트]](컴퓨터)를 연결하는 [[HTTP]] 프로토콜, 사이트를 갈 수 있는 [[URL]]도 고안해 냈다. 이 셋은 2022년 지금까지도 기본적으로 쓰이고 있으며, 고안된 뒤 약 30년간 큰 틀에서의 변화 없이 소소하게 업데이트가 되어 왔다. 그리고 팀 버너스리는 이 웹과 자신이 고안해낸 다른 여러 가지 기술들을 특허도 내지 않고 [[대인배|무료로 풀어버린다]]. 이것은 당장 자신의 형편보다는 앞으로의 인터넷의 자유로운[* 자유는 그의 사상이기도 하다. 그는 지금까지 인터넷과 그 안의 정보들은 자유로워야 하며 반드시 검열되지 않아야 한다는 주장을 해 오고 있다.] 발전을 위해서 한 행동이었으며, 그로 인해 인터넷이 더 빨리 발전하게 된 것은 당연지사. 대중의 찬사를 받으며 2004년 [[기사작위]]도 받았다.[* 인터넷의 대중화에 기여한 공로. [[https://www.thegazette.co.uk/London/issue/57155/supplement/24|관보]]에는 'For services to the global development of the Internet'이라 되어 있다.] === 현재 === [[CERN]]을 나와 1994년 [[월드 와이드 웹]] 컨소시엄을 만들었다. 지금도 활발히 활동하고 있으며 컨퍼런스 등에도 많이 나오곤 한다. 2009년 그는 큰 실수를 고백하는데 [[URL]]의 입력 방식에 관한 것이었다. 맨 앞에 붙는 [[HTTP]]에는 2개의 슬래시가 붙는데(http:'''//''') 사실은 쓸모없지만 붙이게 했다는 것이다.[* "그땐 그게 좋은 생각인 줄 알았어요."][* 나무위키 사이트 주소를 예로 들면 안 붙이는 경우 http:namu.wiki 가 되며, https로 하는 경우 https:namu.wiki 가 된다. 참고로 현재는 이렇게 해도 대부분의 브라우저들은 자동으로 //를 붙여서 접속시켜 준다.] 그는 "슬래시만 안 붙였어도 잉크를 절약하거나 시간이 덜 낭비되었을 것"이라며 사과를 하였다. [[http://news.bbc.co.uk/2/hi/technology/8306631.stm|출처]] [[2012 런던 올림픽]] 개막식에 출연하기도 했다. 최근에는 거대 IT 기업들이 인터넷상 정보를 [[독점]]하여 막대한 이익을 취하지만 책임은 제대로 지지 않는 모습에 실망해 인터넷 분권화 운동과 탈인터넷 운동에 매진 중이다. [[실리콘밸리]]의 IT기업들이 엮인 수많은 정보유출 스캔들과 불법 정보수집 사건들을 보면서, 이용자들이 제공하는 자발적인 정보제공을 이용해 매순간 막대한 이익을 취하지만, 정작 문제가 생겼을 때 제대로 책임을 지지 않는 기업들의 모습과 이들 기업을 제대로 규제하지 못하는 각국 정부들에 실망했다고. 미국현지 시간으로 2018년 9월 28일 감시정부와 거대기업에 의해 중앙집중형 괴물이 된 인터넷을 뜯어고치기 위해 새로운 플랫폼인 '솔리드'가 탑재된 [[인터넷 브라우저]]인 인럽트의 출범을 발표했다. [[https://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92&aid=0002147063|기사]] == 상훈 == * 1995년 영국 컴퓨터학회 회원(FBCS) * 2001년 [[왕립학회]] 회원(FRS) * 2001년 왕립공학학회 회원(FREng) * 2001년 왕립예술학회 회원(FRSA) * [[2004년]] 밀레니엄 테크놀로지 상 (첫 번째 수상자) * 2004년 [[대영제국 훈장]] 2등급(KBE) * [[2007년]] 메리트 훈장(OM) * [[2016년]] [[튜링상]] * [[2022년]] [[서울평화상]] 이 사람의 이름을 제대로 쓰면 "Sir Timothy John Berners-Lee OM KBE FRS FREng FRSA FBCS" 가 된다. [[분류:영국의 프로그래머]][[분류:1955년 출생]][[분류:대영제국 훈장 남성 2등급]][[분류:옥스퍼드 대학교 출신]][[분류:영국의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