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루마니아의 행정구역)] ||||<#000000><:>{{{#white {{{+3 티미쇼아라 (루마니아)}}}}}}|| ||<-3><:> [include(틀:지도, 장소=Timișoara)] || [목차] == 개요 == [[루마니아]] 서부의 최대 도시로 [[트란실바니아]][* 1920년 [[트리아농 조약]]으로 [[헝가리 왕국]]이 빼앗긴 넓은 의미의 트란실바니아에 속하고, 엄밀히 말하면 바나트(Banat)라는 지역에 속한다. 바나트 지역은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나고 독립지역으로 빼자는 의견이 있었을 정도로 트란실바니아와는 정체성이 다르다.]의 대도시이다. 도시 이름은 '테메시 강변의 성'이라는 [[헝가리어]]에서 유래했다. 별칭은 '작은 [[빈(오스트리아)|빈]](Mica Vienă), 장미의 도시(Orașul florilor). == 언어별 표기 == || [[루마니아어]] ||Timișoara|| || [[헝가리어]] ||Temesvár(테메슈바르)|| || [[독일어]] ||Temeswar, Temeschwar, Temeschburg|| || [[튀르키예어]] ||Temeşvar(테메슈바르)[* [[오스만어]]: Tımışvar(트므슈바르)]|| || [[세르비아어]] ||Темишвар(테미슈바르)|| == 역사 == 1266년, [[헝가리 왕국]]의 국왕 [[벨러 4세]]의 아들 [[이슈트반 5세|이슈트반 왕자]]가 티미스 요새를 건립하는데 기부했다는 기록에서 처음 언급된다. 1552년, [[오스만 제국]]의 [[파디샤]] [[쉴레이만 1세]]가 점령하여 트므슈바르 에야레트(Eyālet-i Tımışvār)의 중심지가 되었다. 1699년, [[카를로비츠 조약]] 체결 당시에는 오스만 제국에 남았으나 [[사부아 공자 외젠]]의 활약으로 1718년 체결된 [[파사로비츠 조약]]에서 [[합스부르크 제국|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가문|합스부르크 왕가]]의 영토가 되었다. [[1848년 헝가리 혁명]]이 실패로 끝나고 헝가리 왕국이 5개 [[군구]][* [[부다페스트|오펜]], [[쇼프론|외덴부르크]], [[브라티슬라바|프레스부르크]], [[코시체|카샤우]], [[오라데아|그로스바르다인]].]와 [[트란실바니아 대공국|에르데이 대공국]]으로 재편될 때 이 지역은 [[보이보디나 공국|테메슈바르의 바나트와 세르비아 주]](Woiwodschaft Serbien und Temeser Banat)에 속했고, 이후 [[대타협]]으로 헝가리 왕국이 부활하면서 테메시 주(Temes vármegye/Komitat Temes)의 주도가 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패전하고 [[트리아농 조약]]이 체결되면서 [[루마니아 왕국]]으로 편입되었다. [[1989년]] [[12월]] [[니콜라에 차우셰스쿠]]에 반대하는 민주화 운동이 발발한 진원지였다. 그래서, [[대한민국]]의 [[광주광역시]]가 [[5.18 민주화운동]]이 발발한 지역으로서 한국 정치사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 것처럼, 티미쇼아라도 반 차우셰스쿠 운동의 진원지로서 루마니아 정치사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 인구 == 2016년 현재 33만 명으로, 2011년 기준으로 [[루마니아인]] 81%, [[헝가리인]] 5%, [[세르비아인]] 1.5%, [[독일인]] 1.3% 등이다. 차우셰스쿠에 반대하는 민주화 운동도 헝가리인 개신교 목사 퇴케시 라슬로(Tőkés László)에 대한 차별로부터 발생한지라 [[인종차별]]은 거의 없는 편이다. == 볼거리 == 워낙 전란이 잦아서 이름값에 비해 볼거리는 많지 않다. 과거 헝가리 왕국의 명장 [[후녀디 야노시]]의 성은 박물관으로 썼으나 현재는 시 외곽으로 옮겨가 폐허 상태. 과거 테메슈바르 요새의 일부였던 [[마리아 테레지아|테레지아]] 보루가 남아있다. 중심지는 [[루마니아 정교회]] 성당[* 1989년 민주화 운동 당시 어린이들에게 차우셰스쿠의 치안부대가 총기난사를 퍼부은 병크를 저지른 곳이다.]이 바라보는 승리 광장(Piața Victoriei), 오스트리아-헝가리 시대의 네오바로크 양식 건물이 다수 있는 자유 광장(Piața Libertății)[* 과거에는 [[사부아 공자 외젠]]의 이름을 따 프린츠 오이겐 광장(Prinz Eugen Platz)이라 불렀다.], 오스만 제국 시대부터 유서 깊은 중심지였던 통일 광장(Piața Unirii) 3곳이다. 승리 광장은 주요 쇼핑몰이 있고 통일 광장은 시청사나 가톨릭 교회 성당이 있는 정치적인 중심지이다. == 교통 == 기차역으로는 티미쇼아라 북역이 있는데 주변 분위기가 살벌하다. 버스 터미널은 외곽에 한참 떨어져있어 트램을 타고 나가야 한다. 시내 교통으로는 버스나 트램이 돌아다니는데 주변에 있는 매점에서 교통권을 구입하고 탈 수 있다. == 자매결연 지역 == * [[1990년]]: [[이탈리아]] [[사사리(이탈리아)|사사리]] * [[1991년]]: [[이탈리아]] [[파엔차]] * [[1991년]]: [[프랑스]] [[뮐루즈]] * [[1992년]]: [[독일]] [[카를스루에]] * [[1993년]]: [[프랑스]] [[뤼에유말메종]] * [[1998년]]: [[독일]] [[게라]] * [[1998년]]: [[헝가리]] [[세게드]] * [[2003년]]: [[이탈리아]] [[트레비소]] * [[2004년]]: [[멕시코]] [[캉쿤]] * [[2005년]]: [[세르비아]] [[노비사드]] * [[2005년]]: [[이탈리아]] [[팔레르모]] * [[2007년]]: [[중국]] [[선전시|선전]] * [[2009년]]: [[영국]] [[노팅엄]] == 기타 == [[ACS 폴리 티미쇼아라]]가 이곳을 근거지로 하고 있는 축구 구단이다. [[2023년]] [[유럽 문화 수도]] 중 한 곳으로 지정되었다. 시내를 돌아다니다보면 바닥에 도시 역사를 설명하는 동판을 볼 수 있다. 2013년 이 도시의 시장이 [[대한민국]]의 [[광주광역시]]를 방문한 적이 있다. 두 도시 모두 민주화 운동의 근원지라는 공통점이 있다. [[분류:루마니아의 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