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에티오피아 관련 문서)] [include(틀:에티오피아의 행정구역)] [[분류:아프리카의 행정구역]] || [include(틀:지도, 장소=에티오피아 티그라이)] || ||<-6> {{{#ffffff '''행정'''}}} || ||<-2> {{{#fff '''국가'''}}} ||<-4>[include(틀:국기, 국명=에티오피아)]|| ||<-2> {{{#fff '''지역'''}}} ||<-4>북동부|| ||<-2> {{{#fff '''시간대'''}}} ||<-4>GMT+3|| ||<-2> {{{#fff '''공용어'''}}} ||<-4>[[티그레어]]|| ||<-2> {{{#fff '''주도'''}}} ||<-4>[[메켈레]]|| ||<-6> {{{#ffffff '''인문 환경'''}}} || ||<-2> {{{#fff '''면적'''}}} ||<-4>50,079km²|| ||<-2> {{{#fff '''인구'''}}} ||<-4>5,738,996 명 (2022) || ||<-2> {{{#fff '''인구밀도'''}}} ||<-4>114.59/㎢|| ||<-2> {{{#fff '''종교'''}}} ||<-4>에티오피아 정교회|| * [[티그리냐어]]: ትግራይ [목차] == 개요 == [[에티오피아]] 북부에 위치한 지역 또는 주의 이름이다. 면적은 50,079제곱킬로미터로 한국의 딱 절반 넓이. 인구는 약 710만명으로 110만 제곱킬로미터에 인구 1억 1700만을 넘긴 에티오피아 전체로 보면 소수에 불과하지만, [[1991년]] [[에티오피아 인민 민주 공화국|공산정권]]을 전복시킨 이래 실세가 되었고, [[아비 아머드 알리]] 정권에 대항해 전쟁을 일으켰다. == 역사 == 역사적으로는 [[티그리냐어]]를 사용하는 [[티그라이인]]들의 나라인 티그라이 왕국의 영토였으나 [[19세기]]에 [[에티오피아 제국]]에게 정복되었으며, 이후 [[티그라이인]]과 [[암하라인]] 사이에 갈등이 계속되고 있다. 1991년에는 티그라이 군대가 중심이 되어 에티오피아의 [[멩기스투]] 공산 정권을 붕괴시켰고, 이후 티그라이 주에서 자체적인 군대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티그라이인들은 에티오피아의 실세로 거듭났다. [[2020년]] [[11월 3일]]부터 [[티그라이 전쟁|내전]]이 일어나기까지 했으며, 에티오피아 중앙 정부에서 군대를 파견해 반란을 진압했으나 [[2021년]] 11월에는 오히려 수도 [[아디스아바바]]를 위협하기도 했다. 이후 [[2022년]] [[11월 3일]] 평화협정이 타결되면서 내전이 종식되었다. == 여담 == [[에리트레아]]의 접경 지역과 매우 가까우며, 에리트레아의 [[티그리냐인]]과 에티오피아의 티그라이 주의 [[티그라이인]]은 이를테면 북한, 남한 사람이나 몰도바, 루마니아 사람 사이처럼 같은 언어를 사용하는 같은 민족에 해당한다. [[분류:에티오피아]][[분류:아프리카의 지명]][[분류:에티오피아-에리트레아 관계]][[분류:나무위키 아프리카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