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width=20]] ''' {{{#000 티그라이인 관련 틀}}}''' [[파일:에리트레아 국기.svg|width=20]] || ||<-7>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아프리카의 민족)] [include(틀:셈족)] [Include(틀:에티오피아 관련 문서)] [Include(틀:에리트레아 관련 문서)] }}} || [목차] == 개요 == [[에티오피아]]의 [[티그라이]] 지역에서 [[아프리카아시아어족]]의 [[티그리냐어]]를 사용하는 민족이다. 에티오피아 전체 인구의 5% 정도를 차지하는 소수민족이지만, [[멩기스투]]의 [[에티오피아 인민 민주 공화국]]을 전복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면서 90년대 이후 에티오피아의 실세로 거듭났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6/0011165155?sid=104|#]] [[에리트레아]]의 [[티그리냐인]]과 크게 보면 하나의 [[민족]]이지만, 현대사와 국경 분단에 의해 서로 상황이나 입지가 상당히 달라진 상황이다. == 종교 == [[에리트레아 테와히도 정교회]]를 믿는 기독교인이다. == 2020년 에티오피아 내전 == 에티오피아 중앙정부와의 주도권 싸움을 벌이는 와중에 [[2020년 에티오피아 내전]]이 일어났다. 티그라이인은 인구 비중으로는 5% 남짓에 불과하지만 90년대 이후 에티오피아 전체 군사력의 과반을 차지할 정도로 영향력이 막강한 상황이었는데, 이 과장에서 [[오로모인]] 출신 [[아비 아머드 알리]]의 입지가 강해지자 위기의식을 느끼고 아직 건재한 부족 군사력을 바탕으로 내전을 일으킨 것 == 출신인물 == [[파일:0F977BC1-1BE0-42C3-901D-4E36BEC5BB2F.jpg]] WHO의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총장은 부모님이 티그라이 출신이지만 부모님이 [[에리트레아]] 지역으로 이사하여 자랐다가, 에티오피아에 쭉 살게 되었고, 지금도 티그라이 지역 정당에 소속되어 있는 티그라이인이다. [[파일:external/i.telegraph.co.uk/meles_2280428b.jpg]] * [[멜레스 제나위]] : 장기집권 독재자 [[파일:fryat-yemane-sam-studio-pic-1509363375l8c4p.jpg]] * [[프르야트 예마네]] : 배우 [[분류:셈족]][[분류:에티오피아의 민족]][[분류:에리트레아의 민족]][[분류:에티오피아-에리트레아 관계]][[분류:나무위키 아프리카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