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트어티엔부'''('''Phủ Thừa Thiên''' / 府承天 / 승천부)는 [[응우옌 왕조]] 시기의 행정 구역이다. 주요 지역이 현재의 [[베트남]] [[트어티엔후에성]]에 위치한다. 트어티엔부의 전신은 [[가륭제|자롱 황제]]가 설치한 직례(直隸) 꽝득영(廣德營)이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트어티엔성]]으로 고쳐 신설하였다. == 연혁 == [[민망]] 3년([[1822년]]), [[명명제|민망 황제]]가 직례 꽝득영을 트어티엔부로 고쳤고, [[흐엉짜|흐엉짜현]](香茶縣), [[푸방현]](富榮縣), [[꽝디엔현]](廣田縣) 3개의 현을 관할하게 하였다. [[민망 (연호)|민망]] 4년([[1823년]]), 경성제독(京城提督), 트어티엔부윤(承天府尹), 트어티엔부승(承天府丞)의 관직을 설치하였다. [[민망 (연호)|민망]] 후기에 민망이 행정 구역의 개혁을 진행하여, 전국을 30개의 성과 트어티엔부로 나누고 트어티엔부는 경기(京畿)의 땅으로서 독립성을 가지며 다른 성에 속하지 않도록 하였다. [[민망 (연호)|민망]] 16년([[1835년]]), [[흐엉투이|흐엉투이현]](香水縣), [[푸록현]](富祿縣), [[퐁디엔현 (트어티엔후에성)|퐁디엔현]](豐田縣) 3개의 현을 증설하여 1부 6현의 구성이 장기적으로 유지되었다. [[끼엔푹 (연호)|끼엔푹]] 원년([[1884년]]), 황태비(皇太妃) [[응우옌티흐엉]]의 이름을 피휘하여 흐엉투이현, 흐엉짜현을 쑤언투이현(春水縣), 쑤언짜현(春茶縣)으로 고쳤다. [[끼엔푹 (연호)|끼엔푹]] 2년([[1885년]]), 쑤언투이현, 쑤언짜현을 원래대로 흐엉투이현, 흐엉짜현으로 되돌렸다.[* 《[[대남국강계휘편]]·트어티엔부(承天府)》] 베트남이 [[프랑스]]의 식민지가 된 뒤 프랑스는 트어티엔부를 '''Province de Thua Thien'''(트어티엔성)으로 칭했다. 그래서 프랑스 식민지 시기에 작성된 일부 공문서에는 트어티엔부를 트어티엔성으로 적은 것도 있다. == 참고문헌 == *《[[대월지여전편]]》 *《[[대남일통지]]》 [각주] [[분류:베트남의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