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분류:토크쇼]][[분류:팟캐스트]] == 개요 == 비즈볼 프로젝트에서 2013년부터 방영한 온라인 토크 버라이어티 [[팟캐스트]] 프로그램이다. 시즌과 비시즌 모두 방영한다. 현재 시즌 3 종영. 프로그램이 표방하는 것은 "대한민국 최고 야구 분석 방송"이다. == 상세 == 시즌1과 시즌2 때는 매주 목요일 오전 9시에 방영되었는데 시즌3부터는 매주 월요일과 목요일 주2회로 확대편성된다. 사실 원래는 축구 등 다른 구기 종목도 시즌 1, 2 때는 다루었으나 지금은 역량 상의 한계로 야구만 집중적으로 하고 있다. 최근에는 [[KBO 리그]] 내용이 80% 이상이고 간간이 시즌 프리뷰, 중간정리, 총정리할 때나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이야기가 나오는 수준이다. [[세이버메트릭스]] 방송을 표방하는 만큼 나름의 공식이나 새로운 스탯을 알고자 하는데는 유용한 편이다. 미국이나 일본쪽의 데이터도 인용하는 등 한국에서는 세이버메트릭스의 최첨단을 달리고 있다. 특히 트랙맨 데이터 등 일반인들이 쉽게 구할 수 없는 자료를 인용하여 팀과 선수의 강점, 약점, 기대요인, 위협요인 등 세부적이고 나름 체계적인 분석을 진행한다는 점은 장점이다. 데이터를 취사선택한다는 비판을 들을지언정, 나름의 수학적 모델과 근거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이 정도의 성과를 거두는 한국 세이버메트릭스 팟캐스트는 많지 않다. 나름 정량적인 것뿐 아니라 정성적인 것에도 관심이 있는지 [[박동희(기자)]]나 [[허구연]]같은 명사를 초빙해서 이야기를 듣기도 한다. 다만 출연진이 일반 야구팬들이다 보니 여러가지 단점도 많이 노출하고 있다. 첫째 출연진들이 전부 일반인들이라 1~3주 가량의 방송을 하루에 몰아서 녹음한다는 단점 때문에 시의성에서 뒤처지는 일이 잦다. 그래서인지 계속 방송중에 녹음일 기준이라는 말이 나온다. 둘째 방송진행이나 표현이 아마추어적이다. 그냥 프리랜서 [[아나운서]] 한 명만 섭외했으면 싶을 정도로 호스트든 패널이든 어색하다. 특히 패널은 만들어 온 대본을 그대로 읽는 티가 너무 많이 난다. 셋째 일반 야구팬들이 공감하기 힘든 멘트가 너무 많다. 디씨 [[야갤]]발 드립이 가끔 나오는 등 개드립을 하는데 야갤드립이야 그렇다쳐도 [[해야갤]]식 반어법 드립도 많다. 드립도 잘 살린다고는 할 수 없는 편이라... 넷째 야구계 내부 상황을 접하기 힘든 일반팬들이 데이터만을 가지고 방송을 만들다 보니, 말도 안되는 분석이 종종 튀어나온다. 특히 [[FA 제도|FA]] 특집 때마다 비판이 심해지는데, 아무래도 표본이 부족하다는 점과 [[회귀분석]] 모델의 특성상 극단값이 적게 나오는 점을 들어 실드칠 수는 있겠으나, [[고영민]]이 20억 이상의 계약을 한다고 예상하는 등 엇나가는 분석이 상당했다. 보완할 필요가 있는 점이다. 그외에 세이버메트릭스를 지향한다면서도 [[김성근]]을 분석할 때는 일방적으로 김성근을 찬양하는 패널을 섭외하는 등 인터넷 여론을 지나치게 의식하는 모습을 보이는 점도 아쉬운 점. 2015년부터는 [[라디오볼]]을 방영하는 [[네이버 스포츠 라디오]]에서도 틀어주고 있다. 2016년 7월 28일자로 시즌 3이 종료됐다. 사실상 트루볼쇼의 종영에 가까워보인다. 이후 트루볼쇼 출연진은 야구공작소라는 팀명으로 야자수라는 야구 팟캐스트를 런칭하여 네이버 스포츠 라디오에서 방영 중이다. == 경쟁 중인 온라인 야구 프로그램 == * [[이광용의 옐로우카드]] - 2016년 6월 폐지. * [[라디오볼]] * [[사사구#s-2]] * [[풀카운트]] * [[더블 플레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