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크로아티아의 세계유산)] ||<-3> '''[[유네스코|{{{#fff 유네스코}}}]] [[세계유산|{{{#fff 세계유산}}}]]''' || ||<-3> [[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흰 배경).svg|width=160]] || ||<|3> 이름 || 한국어 || 트로기르 역사 도시 || || 영어 || Historic City of Trogir || || 프랑스어 || Ville historique de Trogir || |||| 국가·위치|| [[크로아티아]] 스플리트달마치야 주 || ||<-3> [include(틀:지도,장소=Trogir)] || |||| 등재유형 || [[세계유산#s-3.1|문화유산]] || |||| 등재연도 || [[1997년]] || |||| 등재기준 || (ii)[* 오랜 세월에 걸쳐 또는 세계의 일정 문화권 내에서 건축이나 기술 발전, 기념물 제작, 도시 계획이나 조경 디자인에 있어 인간 가치의 중요한 교환을 반영 ], (iv)[* 인류 역사에 있어 중요 단계를 예증하는 건물, 건축이나 기술의 총체, 경관 유형의 대표적 사례일 것] || |||| 지정번호 || [[http://whc.unesco.org/en/list/810|810]] || [목차] [clearfix] == 개요 == [[크로아티아]] 스플리트달마티아 주(Splitsko-dalmatinska županija)의 도시. [[스플리트]]에서 서쪽으로 27km 떨어져 있다. 시내버스로 다녀올 수 있을 정도. == 언어별 표기 == ||[[크로아티아어]]||Trogir|| ||[[이탈리아어]]||Traù|| ||[[독일어]]||Trau|| ||[[헝가리어]]||Trau|| ||[[그리스어]]||Τραγούριον|| ||[[라틴어]]||Tragurium|| == 역사 == 기원전 3세기 [[그리스인]]들이 세운 식민 도시 트라구리온(Τραγούριον)이 기원이다. [[로마 제국]] 시대에 요새화가 진행되었고, 9세기 후반 무렵에는 [[동로마 제국]]의 디배를 받았다. 이후 [[크로아트 왕국|중세 크로아티아 왕국]]을 거쳐 크로아티아와 [[동군연합]]을 이룬 [[헝가리 왕국]]의 지배를 받았다. [[몽골제국]]의 침공 당시 헝가리 국왕 [[벨러 4세]]는 몽골군의 침공을 피해 이곳까지 피난오기도 했다. 1420년부터 [[베네치아 공화국]]의 지배를 받았고 이때 트로기르 대성당, 카메를렌고 성, 트로기르 요새 등 오늘날 트로기르 관광의 중심이 되는 장소들이 대부분 세워졌다. 1797년 베네치아 공화국이 [[나폴레옹]]에게 멸망당하며 [[합스부르크 제국]]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1806~1814년에는 [[프랑스 제1제국]]의 지배를 받기도 했으나 [[빈 회의]]로 [[오스트리아 제국]]에 반환되었고 이후 오스트리아 제국 산하 [[달마티아 왕국]]에 속했다.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해체되면서 [[이탈리아 왕국]]의 지배를 받았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4년 [[요시프 브로즈 티토]]가 이끄는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에게 점령당하며 유고슬라비아 영토가 되었다. [[유고슬라비아 내전]] 이후 독립 크로아티아 공화국의 영토가 되었다. == 인구와 사회 == 2021년 기준 약 12,000명으로 2011년 정점을 찍은 이후 서서히 감소하고 있다. 대부분 [[크로아티아어]]를 사용하는 [[크로아티아인]]이며 [[가톨릭]]을 믿는다. 구유고 내전의 여파로 크로아티아 인구 특성상 여성이 남성보다 많은데 트로기르도 예외는 아니라 여성이 남성보다 더 많다. [[분류:크로아티아의 도시]][[분류:크로아티아의 세계유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