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화 되지 않은 카드/속공 마법]] [목차] == 설명 == [[파일:external/uploads4.yugioh.com/trap-booster.jpg]] || 한글판 명칭 ||'''트랩 부스터'''|| || 일어판 명칭 ||'''トラップ・ブースター'''|| || 영어판 명칭 ||'''Trap Booster'''|| |||| 속공 마법 || ||||패를 1장 버리고 발동. [[처형인-마큐라|패의 함정 카드 1장을 발동할 수 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에 등장한 속공 마법 카드. 그냥 써도 결과적으로 패 1장을 낭비하는 셈인데, 코스트로 패를 1장 더 버려야 해서 패를 2장이나 낭비하게 된다. 그나마도 함정 1장 쓰는 걸 포함하면 한번에 패를 3장이나 소모한다. 함정 1장 자기 턴에 발동하자고 쓰기엔 굉장히 비효율적인 카드. 거기에 속공 마법이란 점만 빼면 [[왕가의 신전]]과 차별화할 요소도 거의 없다. 59화에서 [[마루후지 료]]가 [[에드 피닉스]]와의 듀얼 첫 턴에 사용해 [[재머|트랩 재머]]를 발동하고 [[드레인 실드]]를 파괴하려 했으나, 에드 역시 트랩 재머로 맞대응하는 바람에 불발이 됐다. 65화에선 [[매드 독 이누카이]]가 발동한 [[카드 파괴]]의 효과로 마루후지 료의 패에 추가됐지만, 쓸 수 있는 함정 카드가 없어 안 쓰였다. 85화에선 [[프란츠(유희왕 GX)|프란츠]]가 [[유우키 쥬다이]]와의 듀얼 첫 턴에 [[라의 사도]] 1장을 일반 소환한 뒤 [[희생의 제물]]을 발동하기 위해 썼다. 이후 희생의 제물의 효과로 패에 있는 라의 사도 2장을 일반 소환한 뒤, 라의 사도 3장을 제물로 바쳐 [[라의 익신룡]]까지 일반 소환했다. 99화에선 [[오딘(유희왕)|오딘 왕자]]가 [[유우키 쥬다이]]와의 듀얼 첫 턴에 사용, [[새털라이트 캐논]]을 버리고 [[리빙 데드가 부르는 소리]]를 발동해 버렸던 새털라이트 캐논을 되살렸다. 발동 타이밍이 '동시'가 아니므로 가능한 것. 직후 [[지옥의 폭주소환]]을 발동해 새털라이트 캐논을 2장 더 특수 소환했다. == 관련 카드 == === [[왕가의 신전]] === === [[부비트랩E]] === === 광속속공 ===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LightSpeedAttack-JP-Anime-AV.png]] || 한글판 명칭 ||'''광속속공'''|| || 일어판 명칭 ||'''光速速攻'''|| || 영어판 명칭 ||'''Lightning Quick'''|| |||| 일반 함정 || ||||①: 자신의 패에서 속공 마법 카드 1장을 발동할 수 있다.|| [[유희왕 ARC-V]] 59화에서 [[쿠로사키 슌(유희왕)|쿠로사키 슌]]이 [[데니스 맥필드]]와의 라이딩 듀얼 중 사용, '랩터즈 얼티미트 메이스'의 효과로 서치한 [[RR(유희왕)|RUM-레볼루션 포스]]를 그 턴에 발동하는 데 썼다. 레볼루션 포스의 효과로 데니스의 [[Em(엔터메이지)|Em 그림자화가 섀도우 메이커]]를 빼앗아 [[RR-레볼루션 팔콘]]을 소환했다. 한편 데니스는 Em 그림자화가 섀도우 메이커의 효과를 발동해 엑스트라 덱의 다른 섀도우 메이커를 특수 소환했다. 그러나 갑자기 [[시큐리티(유희왕 애니메이션 시리즈)|시큐리티]]의 난입으로 듀얼이 중단됐다. 위와 비슷한 카드로, 저쪽은 속공 마법 카드가 함정 카드를 발동하게 해 준다면, 이쪽은 함정 카드가 속공 마법 카드를 발동하게 해 준다. 일러스트에 있는 건 [[엑시즈 더블 백]]. 굳이 이 카드를 안 쓰고 그냥 속공 마법 자체를 세트하면 된다. 애니에서처럼 상대 턴에 속공 마법을 서치하지 않는 이상 써먹을 이유가 없다. 그래도 위의 트랩부스터에 비하면 패 낭비도 없고 기습적으로 패에서 발동할수 있다는 점에서 나름의 가치는 있는 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