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일반 함정]] [목차] == 개요 == [[유희왕]]의 일반 함정 카드. == 설명 == === 원작 === [[파일:TransactionRollback-JP-Anime-VR.png|width=400]]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트랜잭션 롤백, 일어판명칭=トランザクション・ロールバック, 영어판명칭=Transaction Rollback, 효과1=①: LP를 절반 지불하고\, 상대 묘지의 일반 함정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의 효과는\, 그 묘지의 일반 함정 카드의 효과와 같아진다., 효과2=②: LP를 절반 지불하고\,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여\, 자신 묘지의 일반 함정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효과의 처리는\, 그 묘지의 일반 함정 카드 발동시의 효과와 같아진다.)] [[유희왕 VRAINS]] 45화에서 [[후지키 유사쿠|Playmaker]]가 [[코가미 료켄|리볼버]]와의 4차전 듀얼 중 사용. [[마커즈 차지]]로 드로우한 카드 중 1장으로, ①의 효과로 [[성스러운 방어막 거울의 힘]]을 대상으로 발동하여 그 효과를 베끼려 했으나, [[토폴로직 검블러 드래곤]]의 원작 효과로 인해 저지되었다. [[마커즈 차지]]의 발동 조건으로 이 카드가 이미 공개되었기에, 리볼버는 플레이메이커가 이 전략으로 자신의 포진을 붕괴시키려고 한다는 것을 파악하고 있었다. 이후 Playmaker 최후의 턴에서 ②의 효과로 자신의 [[리코디드 얼라이브]]를 베껴 전개의 포석이 된다. TV 방영판에 텍스트에서는 '①: LP를 절반 지불하고, 상대 묘지의 일반 함정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는 그 일반 함정 카드와 같은 효과를 얻는다.'라고 적힌 것이 전부였으나, 듀얼 로그 전개 중에 급조되었는지 현재의 ②의 효과가 추가되었다. 이후 DVD판에서 상기 텍스트로 수정되었다. 한국어 더빙판에서는 처음부터 ②의 효과도 추가된 채로 방영되었다. 이름의 유래는 [[SQL]] 용어. 트랜잭션 이후에는 트랜잭션의 내용을 그대로 DB에 남길 것인가(COMMIT)과 이 트랜잭션을 폐기할 것인가(ROLLBACK) 2가지 명령어 중 하나를 입력해야 하는데, 실수로 잘못 내용을 입력하고 커밋을 할 경우 잘못된 내용으로 기존의 내용을 덮어씌우므로 롤백 명령어를 이용해야 한다.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 [[파일:トランザクション・ロールバック.pn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트랜잭션 롤백, 일어판명칭=トランザクション・ロールバック, 영어판명칭=Transaction Rollback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1턴에 1번\, 어느 쪽이든 1개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LP를 절반 지불하고\, "트랜잭션 롤백" 이외의 상대 묘지의 일반 함정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이 효과는\, 그 일반 함정 카드 발동시의 효과와 같아진다., 효과2=②: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LP를 절반 지불하여\, "트랜잭션 롤백" 이외의 자신 묘지의 일반 함정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효과는\, 그 일반 함정 카드 발동시의 효과와 같아진다.)] 카드명과 턴 제약이 추가되고 텍스트가 다듬어졌을 뿐 효과 자체는 애니판과 다를 바가 없다. 필드 발동 효과로 상대의 일반 함정을, 묘지 발동 효과로 자신의 일반 함정을 베낄 수 있다. 상대 카드 복사는 애초에 함정 카드 자체가 특화덱이 아닌 이상 잘 투입되지 않는 메타이기도 하고, 투입하더라도 본인 덱에 맞춰서 쓰기 때문에 미러전 같은 상황이 아닌 이상 쓰기 힘든 경우가 많을 것이다. 그래도 어떤 덱에도 투입되는 [[무한포영]]을 훔쳐 쓸 수 있기는 하다. 묘지 발동 효과로 LP 외의 어드밴티지 소모없이 함정을 재활용할 수 있다. [[라뷰린스]]같은 일반 함정을 애용하는 덱에서 덤핑한 뒤 언제든지 묘지의 함정을 날리는 용도로 쓸 수 있을 것으로 보였고, 실제로 라뷰린스에서 이 카드를 적극 활용하면서 기존에 들어가던 일부 필수 카드를 빼고서도 [[https://twitter.com/nextplay_/status/1676573413614424064?t=kZbFMPBzNUixrHY7EAz_ew&s=19|상위]]에 입상하기도 했다. 현재는 거의 모든 라뷰린스 구축에서 2장 이상 채용한다. 발동 시 효과부터 복사한다는 점에 주목하여, 발동 코스트가 무겁지만 효과가 강력한 일반 함정 카드들이 재평가를 받고 있다. 또한 단순하게 '''롤백과 효과를 쓸 함정 카드 2장만 묘지로 보내두면 된다'''는 점 덕분에 [[영원의 숙녀 베아트리체]][* 랭크 6 엑시즈 소환이 용이한 [[전뇌계]]나 [[디클레어러 디바이너]]를 사용하는 [[드라이트론]], [[미캉코]]가 사용한다.], [[버제스토마#버제스토마 마렐라|버제스토마 마렐라]]가 재조명되었다. [[펑크비스테드]]를 비롯한 60장 [[이웃집 잔디깎기]] 덤핑 덱 역시도 채용하는 중. 재정상 효과만을 복사하기 때문에 코스트를 무시하고 효과를 발동할 수 있다. 덕분에 코스트 탓에 발동하기 어려운 강력한 함정들을 쉽게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발동 조건을 무시하진 않으니 주의. 쉽게 말하자면 무한포영을 베끼기 위해선 상대 필드에 대상으로 지정할 수 있는 효과 몬스터가 존재해야 하며, 길항승부를 베끼기 위해선 배틀 페이즈 종료시에만 가능하다. 이하는 묘지로 보내어 효과를 사용할 만한 카드. * [[봉화요려담-마요괴시라누이이야기]]: 이 턴, 서로 패 / 덱 / 엑스트라 덱에서 몬스터를 특수 소환할 수 없다. * [[엘리멘틀 버스트]]: 상대 필드 위에 존재하는 카드를 전부 파괴한다.[* 비슷한 조건을 가진 [[풍림화산(유희왕)|풍림화산]]은 코스트가 아닌 조건이므로 완화가 불가능하다.] * [[길항승부]]: (배틀 페이즈 종료시에만 발동 가능) 자신 필드의 카드의 수와 같아지도록, 상대는 자신 필드의 카드를 고르고 뒷면 표시로 제외해야 한다.[* 필드에서 발동해 상대 묘지의 것을 복사했다면 1장이 남지만, 자신 필드에 아무것도 없는 상태에서 묘지에서 발동해 자신 묘지의 것을 베꼈다면 상대 필드가 싸그리 뒷면 표시로 제외당한다.] * [[홍연의 지명자]]: 상대의 패를 확인하고, 그 중에서 1장을 골라, 다음 상대 엔드 페이즈까지 제외한다. * [[령사#수령술-「규」|수령술-「규」]]: 상대의 패를 확인하여, 그 중에서 카드를 1장 골라 묘지로 보낸다. ||수록 시리즈 || ||<(> 2023-06-10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AC03-JP028 | '''[[컬렉터즈 팩#애니메이션 크로니클 2023|ANIMATION CHRONICLE 2023]]'''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 2023-09-08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AC03-KR028 | '''[[컬렉터즈 팩#애니메이션 크로니클 2023|애니메이션 크로니클 2023]]'''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 관련 카드 == 둘 다 이 카드처럼 묘지의 함정의 효과를 배끼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 [[어둠의 함정]] === === [[BF(유희왕)#페이크 페더|페이크 페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