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트랜스포머 시리즈/애니메이션]][[분류:미국 애니메이션/목록]] [include(틀:트랜스포머 애니메이션 시리즈)] [목차] == 개요 == [[트랜스포머(애니메이션)|트랜스포머 G1]]의 네번째 시즌으로 미국판 G1 스토리의 마지막을 장식한다. 성우를 제외한 거의 대부분의 제작스텝들이 한국인들이라는게 특징. 감독(넬슨 신)도, 프로듀서도, 애니메이터도 모두 한국인이다. OVA이며, 본디 5화로 제작되려 했으나[* 만약 5화 제작이었다면 트랜스포머 애니메이션은 총 100화수를 기록했을 것이다.] 트랜스포머의 인기 감소와 [[해즈브로]]의 요구로 인해 총 3화로 제작되었다. 그래서 영상을 보다보면 전반적으로 내용을 압축시켰다는 느낌이 들고, 이전 시즌들에 비해 캐릭터의 특성을 살려내는 것이 좀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사실상 이 작품부터 트랜스포머 G1의 세계관은 일본과 완전히 갈라서게 되었다.[* 이후 [[비스트 워즈]]때부터 다시 합작을 하긴 하지만.] 등장인물은 [[트랜스포머 더 헤드마스터즈]]와 거의 똑같지만[* 일본판인 [[트랜스포머 더 헤드마스터즈]]에서 [[트레인봇]], [[파이어봇]](몬스터봇), [[듀오콘]](일본명 투 인 원)이 추가되었다. 이 중 트레인봇을 제외하면 미국에도 다 완구발매가 된 캐릭터들이다.], 설정과 내용은 완전히 다르다. 적은 화수에 비해 많은 등장인물에도 불구하고 캐릭터들의 특성을 살리기 위해 최대한 노력하였으며, 한 집단 내에서도 비중이 극과 극을 달리는 헤드마스터즈와 달리, 헤드마스터, 타겟마스터 할 것 없이 어느정도 고른 비중을 보였다. 다만 이런 장점에도 불구하고 헤드마스터즈에서 넘어온 캐릭터들은 일부 색상이나 형태가 조잡하게 바뀌어버린감도 있어 이에 반감을 가진 팬들도 적지 않은데다가[* 이 중 대표적인 캐릭터가 [[포트리스 맥시머스]]를 포함한 [[헤드마스터]]들과 [[식스샷]]. 이 중 식스샷은 헤드마스터즈에서는 [[진주인공]]이라 불릴 정도로 입체적인 캐릭터였는데 반해 G1시즌 4에서는 임팩트는 있었지만 대사가 겨우 한마디였을 정도로 등장 분량은 짧고, 캐릭터성도 그냥 디셉티콘 병사 1 수준으로 두루뭉실하게 나온다.] 결정적으로 적은 분량에 많은 캐릭터들의 이야기를 욱여넣다보니 작품의 최종 클라이맥스가 되었어야 할 포트리스 맥시머스와 스콜포녹의 대결이 겨우 1분 남짓한 분량으로 허무하게 끝나버리는 등[* 그마저도 주먹질 몇번 하다가 제대로 끝맺음도 없이 다시 전함으로 변형해서 흐지부지 넘어가버린다.] 헤드마스터즈와 비교했을 때 장점 못지않게 단점도 많은 편이다. 참고로 일본에서는 1996년 [[트랜스포머 더 헤드마스터즈]]의 LD박스를 발매할 때 특전으로 본작이 일본어로 더빙되어 수록되었다.[* 다만 성우진은 전부 갈렸다. ( 정확히는 [[마사무네 잇세이|나레이션]] 과 [[겐다 텟쇼|콘보이]] 그리고 [[가토 세이조|갈바트론]] 만 유지되고 전부 갈렸다.)] == 줄거리 == [[오토봇]]들은 열쇠를 통해 플라즈마 에너지를 개방하여 사이버트론 행성을 파괴시키려는 [[갈바트론]]의 음모에 맞서 싸우다, 플라즈마 에너지로 인해 네뷸로스라는 행성에 불시착하게 된다. 네뷸로스의 주민들은 기계를 통해 행성을 무자비하게 지배하는 조직 '하이브'와 그 리더 자락에게 저항하고 있었고, 오토봇은 그들과 연합하여 헤드마스터와 타겟마스터 시스템을 만들어낸다. 한편 '하이브'의 리더 자락은 디셉티콘과 연합하여 오토봇을 공격한다. 그들은 사이버트론에서 최종전을 펼치게 된다. 마지막에 갈바트론이 플라즈마 에너지를 개방시킴으로써 모든 오토봇들이 무력화되지만 [[스파이크 윗위키]]와 네뷸로스 주민들의 활약으로 [[디셉티콘]]과 [[스콜포녹]]은 우주 멀리 날아가버리고(...) [[사이버트론]]은 회복되어 제2의 황금기가 오는 것으로 시리즈는 막을 내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