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트랜스젠더, 인터섹스)] [[파일:chris_mosier.jpg]] [[미국]] [[트라이애슬론]] / 듀아슬론 국가대표 크리스 모지어. [[파일:jillianbearden.jpg]] [[트랜스젠더]] 여성 프로 사이클리스트 질리언 비어든.[* 2015년 메디컬 트랜지션을 시작하여 IOC의 비포 앤 애프터 퍼포먼스 데이터 수집에 협조한 선수이기도 하다.] [[파일:external/47d0cdeec00f7d8257ad955836ba6d09bc8b5e4449d3bbcb4322086805427e72.jpg|width=100%]] [[캐스터 세메냐]]. > 스포츠 단체들은 욕야카르타 원칙(2006) 및 추가 원칙(2017), 그리고 모든 관련 인권 규범과 기준을 정책 및 관행에 통합한다. 특히, > _i. 스포츠 및 체육에의 참여가 환영받는 공간을 만들기 위해 적절한 탈의실 설치, 스포츠적 맥락에서의 다양한 성적 지향, 성별 정체성, 성별 표현, 성징에 대한 차별금지법 도입에 대한 감수성 증진 등의 실질적인 조치를 취해야 한다. > _ii. 스포츠에 참여하고자 하는 모든 이들이 성적 지향, 성별 정체성, 성별 표현, 성징과 무관하게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모든 이들이 합리적이고, 비례적이고, 자의적이지 않은 요건을 제외한 모든 제한에서 자유롭게 그들 스스로 정체화한 성별로서 참여할 수 있도록 보장해야 한다. > _iii. 여성으로서 스포츠에 참여하고자 하는 선수에게 불필요하고 되돌릴 수 없으며 유해한 의료 검사, 테스트 및/또는 절차를 거치도록 강제, 강요 또는 압력을 가하는 정책을 없애거나 도입하지 않아야 한다. > _iv. 스포츠 경기에서의 증오발언, 괴롭힘, 폭력을 없애는 조치를 포함해 일반 대중의 성적 지향, 성별 정체성, 성별 표현, 성징에 대한 다양성 존중 의식을 함양하는 조치를 취해야 한다. > > - [[욕야카르타 원칙]] +10 [목차] == 트랜스젠더의 스포츠 참여 == 어느 분야나 안 민감한 데가 있겠냐마는, 성별이라는 관념이 스포츠에서는 특히나 민감하다. 인류의 성별 이분법이 공고히 서는 공간이나 분야가 많고 많지만, 스포츠 분야만큼 흔들림 없이 굳건한 분야가 없다. 이는 [[성 호르몬]]은 유소년기부터 인간의 성장 방향을 좌지우지하고, 신체의 비가역적인 변화를 초래하는 물질이기 때문이다. 2차 성징기에 발현되는 성 호르몬에 의한 변화는 근력이나 체격, 체력 등의 요소에서 현저한 차이로 나타난다. 이를 노리고 경기력 향상을 위해 근력 강화에 제격인 [[테스토스테론]]을 비롯한 [[안드로겐]]을 복용하다 [[도핑|도핑 테스트]]에서 적발된 선수가 예로부터 한둘이 아니다. 이로 인해 성소수자들, 특히 [[트랜스젠더]]와 [[인터섹스|간성인]]들은 존재 자체가 불공정한 것으로 여겨지며 스포츠계에서 일절 배제되어왔다. 그러나 계속되는 논란에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올림픽위원회|IOC]]에서 조치를 내놓았다. IOC에서는 2004년부로 성전환 운동 선수의 올림픽 참가를 3가지 조건부로 승인했다. 이는 첫째 [[성전환 수술]], 둘째 법적 [[성별 정정]], 셋째 [[호르몬 대체 요법]] 2+년 시행인데, 이를 두고 많은 인권운동가들과 의료인들의 논란이 이어졌다. 가장 큰 이유는 신체 자기결정권을 불필요하게 침해한다는 것. 또한 법적 성별 정정 메커니즘이 전혀 마련되지 않은 나라들이 적지 않으므로, 심신과 무관한 이유로 올림픽 출전을 불허하는 일이 벌어질 수 있다는 법조계의 비판도 나왔다. 이에 2015년, IOC는 개정된 가이드라인을 내놓았다. 2016년 1월부로 발효된 이 개정안에서는 트랜스젠더 남성에게 가해지던 모든 제한을 없앴으며, 트랜스젠더 여성에게만 4+년간의 소셜 트랜지션과 12+개월의 10nmol/L 이하 테스토스테론 수치 유지라는 조건을 규정했다. 외부 성기 모양이 신체적 능력과는 관련이 없으며, 내분비계를 대상으로 하여야 한다는 지적을 받아들인 것. 이에 발맞춰 세계반도핑기구 [[WADA]]에서도 트랜스젠더 선수에게 메디컬 트랜지션에 쓰이는 성 호르몬제들에 대한 치료목적사용허가(Therapeutic Use of Exemption, TUE)를 내려줄 것을 일선 반도핑 심사관들에게 지시하는 가이드라인을 내놓으며 이르면 2016년이나 2018년, 현실적으로는 [[2020 도쿄 올림픽]]부터 오픈리 트랜스젠더 선수들의 올림픽 참가가 허용될 것으로 전망되었으나... 2019년 9월 [[영국]] 가디언지의 [[https://www.theguardian.com/sport/2019/sep/24/ioc-delays-new-transgender-guidelines-2020-olympics|보도]]에 따르면 이 가이드라인의 2020년부터의 적용이 불투명해졌다고 한다. 10nmol/L의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너무 높은 것 아니냐는 주장, 호르몬 대체 요법 1년으로는 트랜스젠더 여성의 근손실이 충분치 않다는 주장 등이 회의에서 쏟아져나왔는데, 학계의 보편적인 의견은 충분한 연구가 이뤄지지 못했다는 것이다. 그러다 [[2020 도쿄 올림픽]]에서 뉴질랜드의 역도 선수 로럴 허버드가 최초의 트랜스젠더 올림픽 출전 선수로 기록되었다. 2021년부터는 리아 토마스라는 미국의 트랜스여성 수영선수가 여성 선수로 전향한 후 대회에서 연달아 신기록을 경신하고, 2022년 3월에는 [[NCAA]] Division I 500야드 자유형 종목에서 트랜스젠더로서는 최초로 우승을 차지하여 논란이 되고 있다. == 인터섹스 선수들의 스포츠 참여 == 여성으로 사는 인터섹스 운동 선수들은 예로부터 '여성이 아닌 무엇' 내지는 '[[여장남자]]' 따위로 여겨져 검열, 색출의 대상이 되어왔다. [[1964 도쿄 올림픽]]까지는 직접 성기를 검사하는(...) 방법을 썼지만, 인권운동가들의 주장에 힘입어 [[1968 멕시코시티 올림픽]]부터는 성염색체 검사 방법으로 바뀌었다. 그러나 [[1996 애틀랜타 올림픽]]에서 8명에 달하는 검사 오류 사례가 보고되는 등의 실패를 거쳐 성별 판독 검사는 공식적으로 폐기되었다. == 전망 == 테스토스테론이라는 호르몬에 대한 절충안이 연구되고 있으며, 절충안은 현실적으로 호르몬 대체 요법의 실시로 귀결될 가능성이 높다. 이 점에서 IOC에서 연구 끝에 내놓은 가이드라인이 주목 받고 있는데, 이 가이드라인이 자리 잡는다면 여러 스포츠 단체들이 제각기 처리하고 있는 [[성소수자]] 운동 선수의 스포츠 참가 권리, 나아가 성별에 따른 스포츠 참가의 보편적인 조건을 새로 정립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매체에서 == [[사우스 파크]] 시즌 23의 에피소드인 에서 [[PC 교장]]의 아내인 스트롱 우먼이 참가하는 스포츠 대회에서 트랜스 여성이 참여한다. 그 트랜스 여성은 그의 다른 여자들보다 우월한 신체 능력을 통해 1등을 하나, 스트롱은 2등을 차지한다. [[분류:스포츠]] [[분류:성소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