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사건사고)] |||| {{{#fff '''항공 사건 사고 요약표'''}}} || || '''발생일''' ||[[2021년]] [[7월 2일]] || || '''유형''' ||엔진 고장 || ||<-2>{{{#!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21.275 -158.026) &zoom=8, 너비=100%, 높이=240px)]}}}|| || '''발생 위치'''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하와이#s-5.3|오아후 섬]] 마말라 만 || || '''기종''' ||[[보잉 737 오리지널|보잉 737-275C/Adv]] || || '''운영사''' ||트랜스에어 || || '''기체 등록번호''' ||N810TA[* 1975년에 제작된 기령 '''46년'''의 항공기였다.] || || '''출발지'''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다니엘 K. 이노우에 국제공항]] || || '''도착지'''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카훌루이 공항]] || || '''{{{#black 탑승인원}}}''' ||승무원: 2명 || || '''생존자''' ||'''탑승객 2명 전원 생존''' || [목차] [clearfix]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N810TA.jpg|width=100%]]}}} || || 사고 1년 5개월 전, [[다니엘 K. 이노우에 국제공항]]에서 찍힌 사고기. || == 개요 == [[2021년]] [[7월 2일]], 트랜스에어 810편이 엔진 고장으로 해상에 불시착한 사고. == 사고 진행 == [[다니엘 K. 이노우에 국제공항]] 8R 활주로에서 트랜스에어 810편이 이륙했다. 이후 810편은 예정대로 카훌루이를 향해 가고 있었다. 그러나 1번 엔진이 고장났고, 이후 2번 엔진도 고장났다. 엔진이 모두 꺼져 고도 유지와 속도 유지가 불가능해진 810편은 칼라엘로아 공항에 비상착륙을 하려고 했다. 그러나 810편은 고도가 너무 낮았고 속도도 너무 느렸던 810편은 결국 섬을 불과 3km 앞두고 해상에 비상 착수했다. === 구조 작업 === 착수 직후, 기체는 두동강 났으며, 기장은 꼬리날개에, 부기장은 화물 그물에 메달려 구조를 기다리고 있었다. 구조 헬기는 부기장을 먼저 구조히였고, 이후 기체 후방부가 가라앉자 기장도 같이 가라앉았으나, 잠시후 허우적대며 기장이 떠올랐고 그때 구조 헬기는 기장을 구조했다. == 사고 원인 == NTSB 조사결과, 연료에서는 문제를 파악하지 못했다고 밝혔고, 엔진 문제로 추정된다. == 사고 이후 == ||[[파일:45443wdwe.png|width=100%]]|| || 수면 아래로 가라앉은 사고기의 기수 부분 || 2021년 10월, 수심 130m에 가라앉은 사고기를 인양에 성공했다. 추가로 NTSB는 트랜스에어의 안전 규정 위반을 적발했다. == 유사 사고 == * [[팬 아메리칸 항공 6편 수상 불시착 사고]] * [[US 에어웨이즈 1549편 불시착 사고]] [[분류:2021년 항공사고]][[분류:엔진 고장으로 인한 항공사고]][[분류:미국의 항공사고]][[분류:보잉 737/사건 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