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비행야수족]][[분류:유희왕/OCG/링크 소환]] [include(틀:관련 문서, top1=트라이브리게이드)] [목차] == 개요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링크 몬스터 카드. == 설명 == [[파일:鉄獣式強襲機動兵装改“BucephalusII”.jpg|width=400]]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링크=, 한글판명칭=트라이브리게이드 암즈 "Bucephalus(부케팔로스) ()", 일어판명칭=鉄獣式強襲機動兵装改(トライブリゲード・アームズ)Bucephalus(ブーケファルス)(ツー)”, 영어판명칭=Tri-Brigade Arms Bucephalus II, 속성=어둠, 레벨=5, link1=, link2=, link3=, link4=, link6=, 공격력=3500, 종족=비행야수족, 소재=야수족 / 야수전사족 / 비행야수족 몬스터 3장 이상, 효과외1=자신 묘지의 "트라이브리게이드" 마법 / 함정 카드가 2장 이하일 경우\, 이 카드는 엑스트라 덱에서 특수 소환할 수 없다. 이 카드명의 ③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이 몬스터의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때에는\, 상대는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효과2=②: 몬스터의 공격 선언시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 및 상대 필드의 카드를 전부 제외한다., 효과3=③: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엑스트라 덱에서 야수족 / 야수전사족 / 비행야수족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낸다.)] [[포톤 하이퍼노바]]에서 등장한 [[트라이브리게이드]]의 링크 5 몬스터이자, 최종 에이스. 일본판 카드명은 기존의 철수전선(트라이브리게이드) 대신 '''철수식강습기동병장 改(개) "BucephalusⅡ"'''라 쓰고, '트라이브리게이드 암즈 "부케팔로스 투"'라고 읽는다. [[부케팔로스]]는 [[알렉산드로스 3세]]의 명마의 이름이자 슈라이그의 모티브 [[때까치]]의 학명이다. === 성능 === 기본 소재는 야수족/야수전사족/비행야수족 몬스터 3장 이상이지만, 추가적인 소환 제약으로 묘지에 트라이브리게이드 마법/함정 카드가 3장 이상 있어야만 소환 가능하다는 조건이 붙어 있다. 때문에 트라이브리게이드가 주력으로 사용하는 리볼트로 빠르게 불러낼 수도 없고,[* 그나마 쓸만한 에어본을 쓰고 키트로 한 장을 더 묻는다 쳐도 첫 리볼트로는 소환이 불가능하다.] 리볼트 이외의 트라이브리게이드 마법, 함정의 성능이 뛰어난 것도 아니라[* 리볼트 또한 메인 몬스터 존을 다수 비워둬야 할 필요성이 있어 부케팔로스의 소환조건을 위한 적극적인 활용을 하기도 애매하다.] 적극적으로 소환할 의미는 갖지 못한다. 이 때문인지 이후 고성능 마법 카드인 로어가 추가되기는 했지만 이게 이 카드의 채용과 연결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 ①의 효과는 자신이 몬스터를 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때 상대가 효과를 발동할 수 없게 만드는 [[지속 효과]]. 소환 후 묘지로 보내졌을 때 발동되는 트라이브리게이드의 효과를 안전하게 통과시킬 수 있지만, 이 카드 자신이 링크 5에 별도의 소환 조건까지 존재해 상기한 고생을 감안하고 추가 전개를 할 의미는 적다. 무엇보다 이 효과로는 소환 처리가 끝난 뒤 필드에 있는 다른 트라게 몬스터의 기동 효과를 발동하는 건 보호하지도 못한다. ②의 효과는 몬스터의 공격 선언 시, 이 카드와 상대 필드의 카드를 전부 제외하는 [[유발 효과]]. 자신의 다른 몬스터든, 상대 몬스터든 상관없이 공격 선언만 나오면 발동이 가능하다. 비대상 전체 제외라는 점에서 손해는 없는 효과지만 자기 자신도 제외하여 ③의 효과도 사용하기 힘들며 전투를 실행해야 하기에 상당히 발동 타이밍이 늦다. ③의 효과는 묘지로 보내졌을 때, 엑스트라 덱에서 야수족/야수전사족/비행야수족 1장을 묘지로 보내는 [[유발 효과]]. 수동적인 면이 많은 이 카드에게서 유일하게 능동적으로 쓸 수 있어 본체라 말할 수 있는 효과로 엑스트라 덱의 트라이브리게이드 몬스터들과 [[트라이브리게이드#흔식룡 브리간드|흔식룡 브리간드]]는 묘지로 보내질 때 추가 효과를 가지고 있으니, 원하는 방향대로 덤핑하면 될 것이다. 트라이브리게이드 최강의 능력치를 겸비한 몬스터지만, 그에 걸맞지 않게 모든 효과가 다른 몬스터에 대한 보조에 그치고 있다. 필드 광역 제외는 유희왕에서도 몇 없는 강력한 효과지만, 전투시에만 발동이 가능해 [[트라이브리게이드 흉조 슈라이그|원본]]에 비해 타이밍이 많이 느리다. 오히려 소환하지 않고 별도의 수단을 통해 엑스트라 덱에서 덤핑해버리고 ③의 효과로 이득을 보는 것이 낫다. 최종 에이스로 나온 것 치고는 지나치게 수동적이고 보조적인 성향이 강한데, 이러한 특징들은 이 카드가 슈라이그 본인이 아닌 '''그가 들고 있는 무기'''임을 은연중에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어려운 소환 조건과 애매한 제거 효과 때문에 트라이브리게이드 덱에서는 쓰기 힘든 계륵 취급 받는다. 오히려 [[라뷰린스]] 등 함떡덱에서 [[드래그마 퍼니시먼트]]로 덤핑하는 용도로 [[공명의 날개 가루라]], 도화 페리지트와 함께 투입된다. 이들은 퍼니시먼트의 코스트로 쓰기엔 공격력이 낮은데, 3500까지의 몬스터를 제거하면서 가루라나 페리지트를 추가로 덤핑해서 패를 교환하거나 루갈을 덤핑해서 타점을 약화시키는 용도로 사용한다. === 설정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부케팔라스설정화.jpg|width=100%]]}}}|| || [[https://twitter.com/yugioh_ocg_info/status/1580528785769828354|설정화]] || > '''[[데스피아안 쿠에리티스|쿠에리티스]]에게 상처받은 왼팔에 초중병장을 들고, 슈라이그는 다시 날개를 펼친다. [[비스테드 디스 파테르|동료를 빼앗은 적]]에게 최후의 일격을 가하기 위해서.''' >---- > 밸류어블 북 EX3의 설명 [[낙인개막]]에서의 전투에서 왼팔에 부상을 당한 [[트라이브리게이드 흉조 슈라이그|슈라이그]]가 키트의 [[스프라이트(유희왕)#스프라이트 스프린드|스프라이트 스프린드]]를 이용한 새로운 공정으로 만들어진 신 무기를 장착한 형태. 일러스트가 처음 공개됐을 때는 슈라이그의 팔이 팔꿈치 위로밖에 묘사되지 않아서, 팔을 통째로 중화기로 대체한 것이 아닌가 하는 추측이 있었는데 공개된 설정화를 보면 그냥 손으로 드는 타입의 [[건랜스|랜스 형태에 가까운 대포]]라는 점이 밝혀졌다. 또한 슈라이그 일러스트에서 최소 3체는 보이던 메카모즈는 전부 파괴되고 1체만 남았다고 한다. 이 무기를 통해 [[기간틱 "챔피언" 사르가스|사르가스]]와 함께 [[기간틱 썬더크로스]]를 작렬, [[더 비스테드 알버 로스]]를 박살내고, [[비스테드 디스 파테르]]와 결착을 지었다. 아군 측 최강자라는 설정에 메카모즈(메르쿠리에)가 딱 한 기 남았고, ②의 효과가 공격에 반응해 상대 필드와 같이 자폭한다는 점이 스토리에서 슈라이그가 전투에서 자폭하는 비극적인 최후를 암시하는게 아닌가 하는 추측이 많았다. 이름의 어원이 된 명마 [[부케팔로스]]또한 주인인 알렉산더 대왕과 치룬 마지막 전투인 히다스페스 전투 직후 세상을 떠났던 것도 있다. 같은 팩에서 등장한 드래그마 막시무스의 진화체이자 알베르와 함께 최종 보스 후보중 한 명인 [[드래그마의 알버 조아]]는 융합/싱크로/엑시즈/'''링크''' 몬스터의 효과로부터 '''필드의 드래그마 몬스터 전체'''를 지킬 수 있어서 새로운 무기인 부케팔로스의 무의미하게 만들 수 있다. 결국 데스피아의 몸을 빌려 부활한 플루르드리스(루루와릴리스)와 함께 비스테드로 변모한 숙적 막시무스 드래그마를 토벌한 뒤 [[열린 대지]]에서 페리지트, 키트, 루갈과 함께 알버스와 에클레시아를 배웅하게 되었다. === 기타 === [[파일:트라이브리게이드 부케팔로스 2 소환 연출.gif]] [[유희왕 마스터 듀얼]]에서는 본체인 슈라이그처럼 2023년 6월 8일에 Live 2D 소환 연출을 받았다. == 수록 팩 일람 == ||수록 시리즈 || ||<(> 2022-10-15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PHHY-JP048 | '''[[포톤 하이퍼노바|PHOTON HYPERNOVA]]'''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L)][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SE)] || ||<(> 2023-01-11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PHHY-KR048 | '''[[포톤 하이퍼노바]]'''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L)][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E)][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SE)] || == 관련 카드 == === [[트라이브리게이드 흉조 슈라이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