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스위스의 시계 제조사, rd1=TUDOR)] [include(틀:영국과 아일랜드의 역사)] [include(틀:역대 잉글랜드 국왕)] ||||||
'''{{{+1 {{{#ffd700 Tudor Dynasty}}}}}}'''[br][[파일:튜더 왕조 문장.svg|height=120]] || |||| '''{{{#ffd700 국가}}}''' ||[[잉글랜드]] || |||| '''{{{#ffd700 본가}}}''' ||[[랭커스터 왕조]] || ||<|2> '''{{{#ffd700 존속}}}''' || '''{{{#ffd700 창건}}}''' ||[[1485년]] ([[헨리 7세]]) || || '''{{{#ffd700 최후}}}''' ||[[1603년]] ([[엘리자베스 1세]]) || |||| '''{{{#ffd700 종교}}}''' ||[[가톨릭]] → [[영국 국교회]] || |||| '''{{{#ffd700 성립 이전}}}''' ||[[요크 왕조]] || |||| '''{{{#ffd700 멸망 이후}}}''' ||[[스튜어트 왕조]] || [목차] [clearfix] == 개요 == [[영국]]의 역대 [[왕조]] 중 하나이자 [[랭커스터 가문]]의 방계 가문이다. '''절대 왕권'''으로 유명한데, 영국 역사상 가장 강력한 왕권을 휘두른 왕조가 바로 이 왕조이다. 1485년, [[헨리 튜더]]가 [[장미 전쟁]]을 끝내고 [[헨리 7세]]로 즉위하면서 시작되었다가 [[엘리자베스 1세]] 이후로는 직계 후손이 없어 단절되었다. 다만 뒤를 이은 [[스튜어트 왕조]]의 시조 [[제임스 1세]]가 모계로는 헨리 튜더의 피를 잇고 있어서 현재 [[영국 왕실]]에까지 튜더 가문의 피가 흐르고 있다. == [[정통성]] 관련 == [include(틀:앙주 가문 계보도)] 튜더 가문은 본래 [[웨일스]]의 귀족 가문이었다. 단순한 귀족이 아닌 웨일스 공가(公家)[* [[에드워드 1세]] 시기부터 [[웨일스 공]]이 왕세자의 직위가 되지만 그 전에는 웨일스 공국이 별도로 존재했었고 [[앵글로색슨]]인이 아닌 [[브리튼인]]이 웨일스 공으로서 웨일스 공국을 직접 다스렸다.]였던 아베르프라우 왕가의 방계후손이었지만,[* 튜더 가문은 모계 혈통으로 웨일스 공들의 혈통을 이어받았다.] 잉글랜드 중앙정계에선 [[듣보잡]] 약소 가문에 가까웠다.[[https://en.m.wikipedia.org/wiki/Family_tree_of_Welsh_monarchs|웨일스 공가 계보도]] 그런데 헨리 7세의 조부였던 오웬 튜더가 [[프랑스]] [[발루아 왕조]]의 국왕 [[샤를 6세]]의 딸로, [[랭커스터 왕조]]의 [[헨리 5세]]의 왕비이자 [[헨리 6세]]의 모후인 [[카트린 드 발루아|발루아의 카트린]]과 재혼하면서[* 당연히 카트린 입장에서는 헨리 5세가 이질로 갑작스럽게 사망하면서, 그의 아들인 헨리 6세가 어린 나이에 즉위한 이후에 한 재혼이었다.] 듣보에서 벗어났다. 이윽고 오웬과 카트린과의 사이에서 두 아들인 에드먼드 튜더와 재스퍼 튜더가 태어났다. 이 중 에드먼드 튜더가 바로 [[헨리 7세]]의 친아버지였다. 에드먼드 튜더와 재스퍼 튜더는 자신들의 이부형이었던 [[헨리 6세]]로부터 공식적으로 형제임을 인정받았고, 헨리 6세는 에드먼드와 재스퍼에게 각각 리치먼드 백작과 펨브로크 백작 작위를 하사했다. 당연히 에드먼드와 재스퍼 형제는 자신들을 후히 대우해주는 이부형을 따라 [[장미전쟁]] 내내 철저히 [[랭커스터 왕조]]의 편에 섰다. 무엇보다 헨리 7세가 왕위를 주장한 근거는 '넓게 보면 나도 [[플랜태저넷 왕조|플랜태저넷]]의 혈통이다'[* 헨리 7세의 친할머니인 발루아의 카트린이 프랑스의 공주였는데, 그 시절엔 잉글랜드 왕가와 프랑스 왕가 간의 혼인이 잦았기에 멀리 보면 [[헨리 3세]]의 후손이었다. 어머니 [[마거릿 보퍼트]]를 배출한 외가인 보퍼트 가문을 통해선 에드워드 3세의 혈통을 물려받았는데, [[랭커스터 가문]]과 [[요크 가문]] 모두 에드워드 3세의 후손이었다.]였다. 하지만 헨리 7세의 혈통은 모계로 봐도 플랜태저넷과는 상당히 좀 거리가 있는 상태였다.[* 헨리 7세의 외가인 보퍼트 가문은(어머니 [[마거릿 보퍼트]]의 친정) [[에드워드 3세]]의 4남 랭커스터 공작 곤트의 존의 후손이었다. 다만 보퍼트 가문은 [[랭커스터 왕조]]의 시조 곤트의 존이 정부 캐서린 스윈포드에게서 낳은 사생아들로 창시된 가문으로, 두번째 아내와 사별한 존이 캐서린과 정식으로 결혼하면서 [[리처드 2세]] 시절에 적자로 인정받긴 했지만 왕위계승권은 주어지지 않았다. 하지만 장미전쟁 후반부에 랭커스터 왕족이 거의 절멸하면서 보퍼트 가문의 후손들까지도 랭커스터로 치게 된다. 헨리 7세가 왕이 될 수 있었던 이유는 어디까지나 [[장미전쟁]]으로 인해, 랭커스터 왕조와 요크 왕조의 정당한 계승자들이 거의 모두 죽어나갔기 때문이었다.] 이에 헨리 7세는 [[요크 왕조]]의 [[에드워드 4세]]의 장녀 [[요크의 엘리자베스|엘리자베스 공주]]와 결혼하여 요크와 랭커스터간의 융합을 이뤘다. 헨리 7세가 왕위에 등극할 무렵엔 이미 플랜태저넷 혈통들이 서로 죽고 죽이는 동족상잔을 벌이는 바람에[* 요크나 랭커스터나 플랜태저넷의 방계다. 처음부터 가문 이름이 요크와 랭커스터였던 게 아니라 시조들의 작위인 요크 공작과 랭커스터 공작에서 유래된 것으로 '''원래 성은 플랜태저넷이었다'''. [[리처드 2세]] 이후 플랜태저넷 본가의 후손은 절손되었고, 리처드 2세의 숙부들이 랭커스터 왕조와 요크 왕조의 시조들이었다.] 사실상 후손들이 모두 도륙나있는 상황이었다. 이렇다 보니 헨리 7세의 왕위에 위협을 끼칠 만한 왕족은 [[리처드 3세]]의 조카인 워릭 백작과[* 리처드 3세의 둘째 형 [[조지 플랜태저넷|클러렌스 공작 조지]]의 아들이었다.] 링컨 백작[* 리처드 3세의 누이인 서포크 공작부인 엘리자베스의 아들이었다.] 정도밖에 없었는데, 그나마도 워릭 백작과 링컨 백작 모두 철없는 소년들이라 큰 위협은 되지 않았다.[* 다만 워릭 백작과 링컨 백작 모두 헨리 7세에게 정적인터라 런던탑에 감금되어 있다가, 헨리 7세 시절 반란에 연루되어 처형당했다. 하지만 이 반란들도 이미 리처드 3세 때 죽은 걸로 알려진 요크 공작 리처드([[에드워드 4세]]의 차남)의 이름으로 내세울 정도로 명분이 시덥잖았고 금세 진압됐다. 애초에 요크 왕조가 분열된 이유부터가 [[리처드 3세]]가 형 [[에드워드 4세]]의 아들들인 [[에드워드 5세]]와 요크 공작 리처드를 죽이고 왕위에 오른 것에 대한 반발 때문이었다.] == 시대상 == 종교적으로는 헨리 8세가 [[가톨릭]]-[[잉글랜드 국교회]](성공회)[* 당시 성공회란 건 존재하지 않았다. 잉글랜드 국교회가 19세기에야 성공회로 명칭을 변경한다.]-[[청교도]]의 삼자 구도를 짜면서 아주 피곤한 시기였다. 경제적으로는 [[젠트리]]와 [[요먼]] 세력이 성장하면서 상업이 발달하여 근대 자본주의 경제의 기틀을 마련하였고, 대외적으로는 [[네덜란드]]와 [[스페인]] 세력을 물리쳐 해상에서의 주도권을 장악할 기초를 쌓았다. 세계 각지에 식민지를 건설하면서 [[대영제국]]의 시작을 알리면서 영국 정부의 재정이 건실해지던 시기였다.[* 이 시기를 영국의 전성기로 아는 사람들이 있으나, 정확히는 전성기로 향하는 토대가 쌓이는 시기였다. 앤 서머싯의 엘리자베스 1세 전기를 보면 재정 때문에 늘 노심초사하고, 강대국 스페인과 (펠리페 2세 시절) 프랑스를 되도록이면 자극하지 않으려는 여왕의 모습이 보인다.] 문화적으로는 토마스 모어, 존 던 등 지금도 영국에서 손꼽히는 문학가들이 활동했으며, 무엇보다도 영문학계의 [[본좌]] [[윌리엄 셰익스피어]]가 이 시기 사람이다. 활발하고 진취적인 분위기의 튜더 왕조의 문화는 엘리자베스 1세의 이름을 따서 '엘리자베탄(Elizabethan)' 문화라고도 이름 붙여졌다.[* 반면 18세기에 들어 스튜어트 왕조가 옹립되었는데, 제임스 1세가 통치를 막장으로 하자 [[꿈도 희망도 없어]]하고 현실에 절망하는 어두운 분위기의 문화는 제임스 1세의 이름을 따서 '자코뱅(Jacobean)' 문화라 불린다.] 대체로 영국 역사에서 가장 '드라마틱한 시기'로 꼽힌다. [[헨리 8세]]의 경우 막강한 왕권을 제멋대로 휘둘렀으나 복잡한 사생활과 [[결혼]]을 6번이나 한 덕에, 대중적으로 많은 관심을 끌고있고 그의 인생은 오늘날까지도 대중매체의 인기 소재로 자주 다뤄진다. 그리고 [[엘리자베스 1세]]의 경우 영국 역사상 가장 뛰어난 왕 중 한 명이다. 이 탓에 영국에선 지금도 여왕이 즉위하면 나라가 잘 된다고 믿는 사람들이 많다. (권리장전과 하노버 왕조 이후엔 왕이 정치에 큰 영향을 끼치지 못한다.) 정치적으로는 영국 역사상 유일하게 왕이 의회를 권력으로 찍어누른 시대였다. [[장미 전쟁]]은 잉글랜드에서 오랫동안 권세를 누린 대귀족간의 내전이었고 여기서 내로라하는 귀족들이 모조리 죽어나가면서, 그들의 힘은 물론 숫자 자체가 엄청나게 줄어들었고 귀족들로 구성된 의회의 힘도 약해질수밖에 없었다. 반대로 이에 비례해 왕권은 아주 강력해졌다. 무엇보다 헨리 7세부터 엘리자베스 1세까지의 왕의 권력은 튜더 왕조 이전에도 이후에도 꿈도 못 꿀 정도로 막강했다. 물론 당연히 프랑스, 조선, 중국보다 크지 않았지만 그래도 절대왕정이라 불릴만했다. 특히 이때 영국 국왕은 의회를 재정/돈, 군사 등으로 찍어누르고 마음대로 국정을 주도했다. 심지어 헨리 7세/헨리 8세, 그리고 엘리자베스 1세 때 의회는 사실상 없는 것과 마찬가지었다. 이렇게 강력했던 절대왕권이 사라지기 시작한 건 [[스튜어트 왕조]]가 시작된 후, [[제임스 1세]] 시대의 중기부터였다.[* 엘리자베스 1세는 본인도 검소하고 드레이크가 막대한 자본을 가져다주긴 했지만 후에 스페인과의 전쟁 등으로 거대 자본이 필요하자 왕실 부동산을 처분하기 시작했다. 이후 드레이크가 죽고 제임스 1세가 즉위하자 왕실 금고가 바닥을 보이기 시작했는데, 이 때부터 엘리자베스 1세 말기에 조금씩 힘을 회복하던 의회가 금전적으로 압박하면서 왕권이 축소되기 시작한다.][* 이전엔 제임스 1세가 사치가 심했다고 나오는데 이는 오류다. 사실 사치로 치자면 엘리자베스 1세가 더 심했고, 이조차도 여왕 본인의 사치가 심한 건 결코 아니였다. 엘리자베스 1세는 딱 한 분야 드레스와 보석을 구하는데 꽤 돈을 많이 쓴 건 빼면 검소한 편이었다. 제임스 1세는 사치는 커녕 손수 근검절약하며, 생판 외국이나 다름없었던 잉글랜드를 꽤 제대로 통치했던 군주다. 특히 제임스 1세는 돈을 많이 쓰는 자신의 왕비 [[덴마크의 아나]]를 제지시킬 정도였다. 그리고 제임스 1세의 왕권도 강력해서 자신에게 반항하는 의회를 강제로 해산시켜버리고 의사 결정을 해도 그 누구도 국왕을 제지하지 못했다. 오히려 실정을 벌여 절대 왕권을 몰락시킨 군주는 제임스 1세의 아들 [[찰스 1세]]다.] 그리고 완전히 사라진 건 [[잉글랜드 내전|의회에게 완벽하게 패한]] [[찰스 1세]] 때이다. == 왕가 == === 주요 인물 === ==== 국왕 ==== * [[헨리 7세]] * [[헨리 8세]] * [[에드워드 6세]] * [[메리 1세]] * [[엘리자베스 1세]] ==== 왕비 ==== ||
|| '''{{{#ffd700 왕비}}}''' || || '''[[헨리 7세|{{{#ffd700 헨리 7세}}}]]''' || [[요크의 엘리자베스]] || ||<|6> '''[[헨리 8세|{{{#ffd700 헨리 8세}}}]]''' || [[아라곤의 캐서린]] (이혼) || || [[앤 불린]] (참수) || || [[제인 시모어]](산후 사망) || || [[클레페의 앤]] (이혼) || || [[캐서린 하워드]] (참수) || || [[캐서린 파]](헨리 8세 사후 사망) || === 그 외 === * [[아서 튜더]] - 헨리 7세의 장남. * [[메리 튜더]] - 헨리 7세의 딸. * [[마거릿 튜더]] - 헨리 7세의 딸. == 계보 == ||<|4> [[헨리 7세]] || [[마거릿 튜더]] || [[제임스 5세]] || [[메리 1세(스코틀랜드)]] || [[제임스 1세]]([[스튜어트 왕조]]) || ||<|3> [[헨리 8세]] ||<-3>[[메리 1세]] || ||<-3>[[엘리자베스 1세]] || ||<-3>[[에드워드 6세]] || == 여담 == 총 3대에 걸쳐 5명의 군주를 배출하였다 유난히 극적인 일생을 살다간 인물이 많아 창작물의 소재로 자주 활용된다. 대표적으로 [[드라마]] [[튜더스]]. 희고 붉은 꽃잎의 문장 유래는 다음과 같다. 1455년부터 1485년에 이르기까지, 잉글랜드는 두 가문의 왕좌 다툼으로 시끄러웠다. 붉은 꽃잎을 문장으로 삼은 [[랭커스터 왕조]]와, 흰 꽃잎을 문장으로 쓰던 [[요크 왕조]]의 싸움이었기 때문에 '장미전쟁'이라 불렸고, 이 30년의 전쟁으로 국토가 피폐해질 무렵, 흰 꽃잎과 붉은 꽃잎이 섞인 장미가 피어 결국 싸움을 그만두었다고 한다. 다만 장미전쟁이라 이름 붙인 건 후대 작가 월터 스콧이 처음이었고, 실제 시기엔 장미전쟁이니 하는 [[타령]]도 않았다는 게 통설이다. [[분류:랭커스터 가문]][[분류:튜더 가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