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투르크메니스탄의 초대 대통령, rd1=사파르무라트 니야조프)] ||||<#00843d><:>{{{#ffffff {{{+3 튀르크멘바시 [br] Türkmenbaşy }}}}}}|| ||<-3><:> [include(틀:지도, 장소=Türkmenbaşy, Turkmenistan)] || [목차] == 개요 == * [[투르크멘어]]: Türkmenbaşy / Түркменбашы [[투르크메니스탄]]의 도시. [[카스피 해]]에 접한 [[항구 도시]]다. [[아제르바이잔]]의 [[바쿠]] 등 카스피 해의 항구 도시들과 항로로 이어져 있다. == 역사 == [[19세기]] 중반 [[중앙아시아]]로 남하하던 [[러시아 제국]]은 오늘날의 투르크메니스탄 지역까지 남하하였는데 이 일대에 존재하는 [[히바 칸국]]을 공략하기에 앞서 [[카스피해]] 연안의 자카스피 지역의 통제를 확고히 하기 위해 [[1869년]] 크라스노보츠크([[러시아어]]: Красноводск)라는 [[이름]]의 [[요새]]를 세웠다.[* 붉은(Красно;красный) 물(вод;вода)의 도시라는 뜻으로, 이 지역을 가리키던 키질수(Kyzyl-Su)를 [[러시아어]]로 그대로 번역한 것이다.] 1991년 [[소련 해체|소련이 해체되고]] 독립한 투르크메니스탄 치하에서 1993년 [[사파르무라트 니야조프]] 대통령의 대통령령에 의해 크라스노보츠크에서 튀르크멘바시[* 당시 사파르무라트 니야조프 전 대통령의 호칭이 '튀르크멘바시'(투르크멘의 수령)이었으니, 개인 [[우상화]]가 포함된 도시 이름이다.]로 개칭되었다. [[카를리스 울마니스]]가 유배된 곳이기도 하다. == 기타 == 투르크멘바시 지역에 키안리 화학플랜트 공장이 있다. 이 시설은 중앙아시아 최대 규모의 가스화학단지로 현대엔지니어링, [[LG]] 상사 등의 컨소시엄과 국내 중소기업 120여 곳이 주도하여 건설한 곳이다.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mvpwork&logNo=220771304078&categoryNo=63&parentCategoryNo=0|천연가스 불구덩이]] [[분류:투르크메니스탄의 도시]] 여행유튜버 [[빠니보틀]]이 [[2019년]] [[7월]]경 이 도시의 항구에서 배를타고 [[아제르바이잔]]의 수도 [[바쿠]]로 넘어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