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산시성(섬서성)의 지급시]][[분류:중국의 도시]] [include(틀:섬서성의 행정구역)] ||<-3> [[파일:중국 국기.svg|height=20]] {{{#000,#ddd '''[[중국|{{{#000,#ddd 중화인민공화국}}}]] [[산시성(섬서성)|{{{#000,#ddd 산시성}}}]]의 [[지급시|{{{#000,#ddd 지급시}}}]]'''}}} || ||<-3> {{{#ff0 '''{{{+1 [ruby(铜川, ruby=Tóngchuān)][ruby(市, ruby=Shì)]}}}'''[br]퉁촨시 | Tongchuan City}}} || ||<-3> [include(틀:지도, 장소=铜川市, 너비=100%, 높이=100%)] || ||<-2> '''{{{#ffff00 시정부 소재지}}}''' || [[산시성(섬서성)|산시성]] 퉁촨시 야오저우구 정양루9호[br]陕西省铜川市耀州区正阳路9号 || ||<-2> '''{{{#ffff00 지역}}}''' || [[시베이]] || ||<-2> '''{{{#ffff00 면적}}}''' || 3,882km² || ||<-2> '''{{{#ffff00 하위 행정구역}}}''' || 3구 1현 || ||<-2> '''{{{#ffff00 시간대}}}''' || UTC+8 || ||<-3> '''{{{#ffff00 인문 환경}}}'''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2> '''{{{#ffff00 인구}}}''' || 698,322명 ^^(2020)^^ || ||<-2> '''{{{#ffff00 인구밀도}}}''' || 180명/km² || ||<-2> '''{{{#ffff00 서기}}}''' || 리주훙(李九红) || ||<-2> '''{{{#ffff00 시장}}}''' || 하오강야오(郝光耀) || ||<|2> '''{{{#ffff00 GRDP}}}''' || '''{{{#ffff00 전체}}}''' || $49억 3,200만 ^^(2015)^^ || || '''{{{#ffff00 1인당}}}''' || $5,832 ^^(2015)^^ || ||<|2> '''{{{#ffff00 상징}}}''' || '''{{{#ffff00 시화}}}''' || [[장미]] || || '''{{{#ffff00 시목}}}''' || [[자귀나무]] || ||<-2> '''{{{#ffff00 차량번호}}}''' || '''陕B''' || ||<-2> '''{{{#ffff00 행정구역 약칭}}}''' || '''铜''' || ||<-2> '''{{{#ffff00 행정구역코드}}}''' || '''61'''0200 || ||<-2> '''{{{#ffff00 지역전화번호}}}''' || '''0919''' || ||<-2> '''{{{#ffff00 우편번호}}}''' || '''7270'''00 || ||<-2> '''[[ISO 3166-2|{{{#ffff00 ISO 3166-2}}}]]''' || '''CN-SN-02''' ||}}}}}}}}} || ||<-3> [[http://www.tongchuan.gov.cn/|홈페이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 [[산시성(섬서성)|산시성]] 중북부의 [[지급시]]. [[시안시]]에서 북쪽으로 50km 떨어진 분지에 위치한다. 산시성에서 면적과 인구가 모두 제일 작은 지급시로, 제주도 면적의 2배에 불과하다. 관할 인구 65만명 중 도심인 야오저우구에 30만이 거주한다. 옛 지명은 동관(同官)인데, [[함곡관]]과 함께 [[관중]]-허난 지역의 관문이던 [[동관]](潼關)과는 관련이 없다.[* 후자는 남쪽 [[웨이난시]]에 위치한다.] == 경제 == 중세 시기에는 도자기 생산의 거점이었고 현재도 도자기로 유명하다. 현재는 웨이베이(渭北) 탄전이 위치한 광공업 도시이며, 그외에 제철소와 화력발전소 등이 있다. 북쪽 고원 지대에서는 밀과 면화가 생산된다. 북한과 나름 교류가 있는지, [[2021년]] [[3월]] 북한 원유 회사의 신영남이 방문, 부시장과 면담하였다. == 역사 == 한대에 [[사예교위]] 좌빙익에 속했으며, 대우현(祋祤縣)이 설치되었다. 213년 [[강족]]과 [[선비족]]의 침공으로 [[칭양]]의 북지군이 와해되자 그 치소가 이전되기도 하였다. [[남북조 시대]]에 현 지명인 동관현(同官県)으로 개칭되어 의주(宜周)를 거쳐 수당대에는 옹주 경조군(京兆郡)에 속하였다. 925년부터는 요주(耀州)에 속하였고, 현재 야오저우구 지명으로 남아있다. 그 치소인 화원현(華原縣) 역시 그곳에 있었고, 동관현은 동북쪽 외곽 인타이구에 있었다. 그러던 [[1935년]], [[중화민국]]은 시내를 흐르는 동천, 즉 퉁촨으로 지명을 바꾸었다. 중국 공산당은 1948년 이를 다시 동관현으로 고쳤으나 이듬해 다시 퉁촨으로 돌아갔다. [[1956년]] 탄광 개발로 발전하기 시작, [[1958년]] 현급시를 거쳐 [[1966년]] 지급시로 승격되었다. == 교통 == 시내에 야오저우역(耀州站)이 존재하며, 셴퉁철도(咸铜铁路)가 지나간다. 퉁촨둥역(铜川东站)도 있는데, 해당 역은 화물 전용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