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북아시아의 역사)] [Include(틀:몽골의 역사/근현대)] [목차]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Uryankhay-Tuva_AO.png]] || || 파란색: 탄누 우량카이의 영역 / 붉은색: [[소련]]의 투바 자치주 영역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20px-Flag_of_Uriankhai_%281918-1921%29.svg.png|width=200]] [[탄누 우량카이]]의 깃발 [[파일:투바 인민 공화국 국기(1943-1944).svg|width=200]] [[투바 인민 공화국]]의 국기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20px-Flag_of_Tuvan_ASSR_%281978-1992%29.svg.png|width=200]] 투바 소비에트 사회주의 자치 공화국의 국기 [[파일:투바 공화국 국기.svg|width=200]] [[투바 공화국]]의 국기 == 개요 == 기원전 9세기 [[스키타이]] 쿠르간 무덤이 발굴되었다. [[위구르 제국]]은 투바 지역을 지배했을 당시 이곳에 요새와 요새를 석벽과 토담으로 연결하는 방어 시스템을 구축했다. 이 건축물을 통해 약 15개 요새를 하나의 단일 방어 체계로 구축하여 [[미누신스크]] 분지에서 넘어오는 고대 [[키르기스인]]들의 공격을 막아내기도 했다. 투바는 중세부터 전통적으로 [[외몽골]]에 탄누 우량카이로 포함되었던 한 지역이다. [[청나라]]의 [[준가르]] 원정으로 복속되어 [[1911년]]까지 그대로 청나라에 속하였으나, [[신해혁명]]이 일어나자 잠시 우량카이 공화국으로 독립하였다. 1914년에는 [[러시아 제국]]이 이곳을 합병하면서 러시아와의 접점이 생겼다. 이후 러시아 제국도 혁명으로 해체되고 잠시 [[중화민국]]이 점령했다. 이후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이 결성, [[1921년]] 러시아 소비에트의 지원 아래 [[투바 인민 공화국]](Тувинская Народная Республика)이 건국되었다.[* 혹은 탄누 투바 인민 공화국(Танну-Тувинская народная республика)] 투바 인민 공화국은 [[1944년]]까지 독립을 유지했으나 이후 [[소련]] 투바 자치주(Тувинская автономная область)로 편입, [[1961년]] 투바 소비에트 사회주의 자치 공화국(Тувинская Автономная Советская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ая Республика)으로 승격되어 현재 러시아 연방에 속한 [[투바 공화국]]으로 이르고 있다. == 역사 == === [[투바 인민 공화국]](1921~1944)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투바 인민 공화국)] 1921년부터 1944년까지 존재한 사회주의 공화국이었다. === 투바 자치주(1944~1961) === [[1944년]] [[10월 11일]], [[투바 인민 공화국]]은 소련에 합병되었다. 이에 따라 소련 내 최대 구성국인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산하의 자치주가 되었다. === 투바 소비에트 사회주의 자치 공화국(1961~1992) === 1961년 투바 공화국은 소련 러시아 산하의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 되었다. 그리고 이 자치 공화국은 [[소련 해체]] 이후에도 잠깐 동안 유지되었다. === [[투바 공화국]](1992~) === [[투바 공화국]] 문서 참고. 1992년 [[소련]] 붕괴 후 러시아 연방의 자치 공화국으로 전환되었다. [[러우전쟁]] 때 러시아군 보급이 우크라군 공격에 의해 원할히 진행되지 못하자 군마(軍馬) 3000마리 지원을 제안했다. [[분류:투바의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