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파일:투르크메니스탄 민주당 로고.png|width=200]] || ||<-2> {{{#fff '''Türkmenistanyň Demokratik Partiýasy'''}}} || || {{{#fff '''약칭'''}}} ||TDP|| || {{{#fff '''한글명칭'''}}} ||투르크메니스탄 민주당|| || {{{#fff '''상징색'''}}}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1CC858; border: #; border-radius: 3px; padding: 3px 4px" {{{#fff 초록색}}}}}}[br]{{{#!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E2BF27; border: #; border-radius: 3px; padding: 3px 4px" {{{#fff 금색}}}}}} || || {{{#fff '''대표'''}}} ||아타 세르다로프|| || {{{#fff '''창당일'''}}} ||[[1991년]] [[12월 16일]]|| || {{{#fff '''당 주소'''}}} ||şäheri Garaşsyzlyk şaýoly[br]104, [[아시가바트]]|| || {{{#fff '''이념'''}}} ||[[투르크메니스탄]] [[내셔널리즘]][br][[세속주의]][br][[사회보수주의]]|| || {{{#fff '''정치적 스펙트럼'''}}} ||[[빅 텐트]]|| || {{{#fff '''청년 조직'''}}} ||투르크메니스탄 막팀굴리 청년기구|| || {{{#fff '''기관지'''}}} ||Galkynyş gazeti|| || {{{#fff '''인민 평의회 의석 수'''}}}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CC858 calc(3*100%/56), #fff 0%)" {{{#000 '''3석 / 48석'''}}}}}} || || {{{#fff '''마질리스 의석 수'''}}}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CC858 calc(65*100%/125), #fff 0%)" {{{#000 '''65석 / 125석'''}}}}}} || || {{{#fff '''웹사이트'''}}} ||[[https://tdp.gov.t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Döwlet adam üçindir'' >-------- >국가는 국민을 위한 것이다 [[투르크메니스탄]]의 독재 정당으로 [[세르다르 베르디무하메도프]] 대통령을 지원하는 사실상의 여당이다. 약칭은 '''TDP'''다. == 상세 == [[소련 붕괴]] 직전 투르크메니스탄 공산당 제25회 당 대회에서 현재 당명으로 변경하기로 결의안을 통과했다. 독립 이후로는 당시 당 서기장이었던 [[사파르무라트 니야조프]]도 대통령직으로 직함이 바뀌면서 독재를 일삼으면서 의회 내에서 모든 의석을 차지하는 등 전형적인 독재 정당이 되었다. 사실 2008년 9월 26일에 헌법이 개정될 때까지 투르크메니스탄에서는 [[구색정당]]조차 없이 오직 TDP 한 당만 합법 정당으로 활동할 수 있었는데, 실제로 1994년, 1999년, 2004년에 있던 총선에서 TDP는 50석 중 50석을 차지했고, 개헌 직후인 2008년 12월 14일에 있던 선거에서도 125석 중 125석을 차지했다.[* 2008년 총선에서 야당 의석이 전혀 없던 이유는 이 시점까지만 해도 투르크메니스탄에는 아직 합법적인 야당이 형성되지 않은 상황이었던 데다가 총선 과정에서 [[부정선거]]도 자행되었기 때문이었다.] [[구르반굴리 베르디무하메도프]] 전 대통령은 처음으로 야당이 참여한 총선이 실시된 2013년에 탈당했다. 상술했듯 가장 최근인 [[2023년]] 3월 26일에 열린 총선에서 투르크메니스탄 민주당은 125석 중 단 65석만(?) 차지하며 간신히 과반을 넘겼으나, 그 야당 허용이라는 것도 사실상의 [[구색정당]] 2개[* [[투르크메니스탄 농민당]](TAP) 24석, [[투르크메니스탄 상공업자기업가당]](TSTP) 18석]와 무소속(18석)밖에 없기에 투르크메니스탄의 다당제는 과장 안 보태고 '우리 투르크메니스탄은 다당제에요'라고 국제사회에 보여주기식으로 실시하는 거라고 봐도 무방하다. [[분류:투르크메니스탄의 정당]][[분류:투르크메니스탄의 정치]][[분류:내셔널리즘 정당]][[분류:빅 텐트 정당]][[분류:독재정당]][[분류:사회보수주의 정당]][[분류:1991년 정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