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대한민국의 제3지대 정당]][[분류:2021년 설립된 정당]][[분류:내셔널리즘 정당]][[분류:대한민국 내셔널리즘]] [include(틀:다른 뜻1, other1=2016년부터 2018년까지 같은 이름을 사용했던 정당,rd1=통일한국당(2016년), other2=2019년에 김창득 목사가 결성한 창당준비위원회, rd2=통일한국당(2019년))]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B8ED, #ffffff)" [[제3지대 정당|{{{#000 '''대한민국의 제3지대·'''}}}]][[대한민국의 민족주의 정당|{{{#000 '''민족주의 정당'''}}}]]}}} || ||<:>[[한국국민당(2015년)|{{{#013588 한국국민당}}}]][br],,([[이경희|이경희계]]),,||<:><|3>{{{+1 →}}}||<|4><:> {{{#FFFFFF '''통일한국당'''}}}||<|3><:>{{{+1 →}}}||<|3><:>''현재''|| ||<:>[[사회민주당(2017년)|{{{#950F16 사회민주당}}}]][br],,(개별 합류),,|| ||<:>통일이답이다[br],,(시민단체),,|| ||<-3> [[파일:통일한국당(2021년) 로고.svg|width=100%]] || ||<-2> {{{#fff '''통일한국당'''}}} || || '''슬로건''' ||'''확장된 자유·인권·복지'''|| || '''등록일''' ||[[2021년]] [[6월 4일]] || || '''상징색'''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003793; border: 1px #003793; border-radius: 3px; padding: 3px 4px" {{{#FFFFFF 파란색 (#003793)}}}}}} || || '''대표''' ||[[이경희]] || || '''사무총장''' ||김석환 || || '''정책위의장''' ||최우영 || || '''주소''' ||{{{#!wiki style="margin: -5px -10px 0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휘경로2길 10)]}}}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휘경로]]2길 10, 501호 ([[이문동]]) || || '''국회의원'''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9946 0%, #aaa 0%)" {{{#fff 0석 / [include(틀:국회 의석수)]석 (0%) ,,(원외정당),,}}}}}}|| || '''광역단체장'''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9946 0%, #aaa 0%)" {{{#fff 0석 / 17석 (0%)}}}}}}|| || '''기초단체장'''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9946 0%, #aaa 0%)" {{{#fff 0석 / 226석 (0%)}}}}}}|| || '''광역의원'''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9946 0%, #aaa 0%)" {{{#fff 0석 / 824석 (0%)}}}}}}|| || '''기초의원'''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9946 0%, #aaa 0%)" {{{#fff 0석 / 2,927석 (0%)}}}}}}|| || '''당원 수''' ||11,978명[br]{{{-2 (2022년 12월 31일 기준)[* 중앙선거관리위원회(2023), [[https://www.nec.go.kr/site/nec/ex/bbs/View.do?cbIdx=1129&bcIdx=195209|2022년도 정당의 활동개황 및 회계보고]](2023년 11월 28일 확인), p13. ]}}} || || '''스펙트럼''' ||[[중도좌파]] ~ [[중도우파]] || || '''SNS''' ||[[http://unikoreaparty.kr/|[[파일:통일한국당(2021년)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youtube.com/channel/UCstxBvqh4occNC-pNQPLh8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https://www.facebook.com/unikoreaparty|[[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2]]]] | [[https://www.instagram.com/Unikoreaparty/|[[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2]]]]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정당. [[삼균주의]] 성향을 띠며, 한반도 통일을 최우선의 가치로 삼고 있다. == 연혁 == ||[[파일:통일한국당(2021년) 로고 구형.svg|width=350]]||[[파일:통일한국당(2021년) 로고.svg|width=350]]|| || {{{#fff 창당준비위원회 결성 당시 로고}}} || {{{#fff 창당 이후 로고}}} || [[한국국민당(2015년)|한국국민당]] 출신 [[이경희]]를 중심으로 한국국민당 진보파 인사들이 한국국민당에서 갈라져나와 창당한 정당으로 대한민국 국민의 자유, 인권 그리고 복지의 확장과 대한민국 통일을 목표로 창당했다고 한다. [[이경희]]를 중심으로 '통일이답이다'의 세력, [[이상이(교수)|이상이]] 교수[*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더불어시민당]] 비례대표 후보로 출마했다가 낙선했다.]의 [[사회민주당(2017년)|사회민주당]] 출신의 사회민주주의 세력과 [[한국국민당(2015년)|한국국민당]] 내부의 삼균주의 세력, [[류근찬]] 전 의원 계열 등이 합류해 창당했다. 동명의 [[통일한국당(2016년)|통일한국당]]과는 관계가 없다.[* 이와는 별개로 2019년에 동명의 [[창당준비위원회]]인 [[통일한국당(2019년)|통일한국당]]이 구성되었으나, 기간 만료로 창당에 실패하였다.] 이경희 대표는 [[제19대 대통령 선거]] 낙선 이후 통일이답이다 대국민토론회를 한국청소년운동연합, 푸른별포럼 등과 2차례 개최하며 [[주성하]] 기자, [[이장희(교수)|이장희]] 교수, [[김완태]] 교수 등과 함께 통일에 대한 토론회 활동을 하였고 대선 이듬해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는 참가하였으나, 2년 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불참하였다. 창당 발기인대회에서 [[더불어민주당]] [[이근규]] 전 제천시장이 축사를 했다. 중앙당 창당대회에서는 장만순 일천만이산가족위원회 위원장이 축사를 했다. [[2021년]] 5월 21일 중앙당 창당대회를 열어 공식적으로 창당하였으며, 이후 2주 뒤인 6월 4일에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최종 등록이 완료되었다. 여담으로 [[대한국민당(2021년)|대한국민당]], [[가가례도인연합]]도 같은 날 동시에 창당에 성공하였다. == 성향 == [[남북통일]]을 최우선 과제로 삼은 모습을 모인다. 당 대표인 이경희부터가 '통일맨'이라는 별명이 붙었을 정도로 통일에 관심이 많은데다 창당 과정에서도 남북통일 단체인 '통일이답이다'가 합류하였다. 또한 강령과 정책에 [[한민족]]이란 단어가 많이 들어가는데, 당대표인 이경희가 삼균주의 성향인지라 [[내셔널리즘]] 성향도 존재한다. 사회문화적으론 복지 확대를 주장하는 진보적 정책을 펼치나, 경제적으론 부동산 규제 혁파같은 보수적인 입장을 취한다. 다만 기본소득제같은 진보적 정책도 주장한다. == 선거 == === [[제20대 대통령 선거]] === 이경희 대표가 대선에 출마를 선언했고, 후보 등록을 마쳤다. 동시에 치러지는 [[종로구]] 재보궐선거에도 윤대관 후보를 공천했다. 창당 당시와 달리 무상등록금 등 복지 확대를 여전히 강조하면서도 부동산 규제 혁파, 친기업 등을 걸며 상당히 우경화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기존의 재벌 개혁을 외치던 입장과는 다소 달라진 부분. 결과는 총 11,708표(0.03%)를 얻어 9위로 낙선하였다. 이경희 후보가 지난 대선에서 11,355표를 얻었던 것을 고려할 때 거의 비슷한 득표수가 나왔다. === [[2022년 3월 재보궐선거]] ===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윤대관 (주)메가메타리치 본부장이 등록했다. 결과는 총 113표(0.11%)를 얻어 최하위인 10위로 낙선하였다.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광역단체장에 [[경상남도지사]] [[최진석]] 후보, 기초의원에 [[서울특별시]] [[용산구]]의회 마선거구[* 이태원제1동, 한남동, 서빙고동, 보광동] 전소영 후보, [[경기도]] [[성남시]]의회 자선거구[* [[분당구]] 야탑1동, 야탑2동, 야탑3동] 김중식 후보, [[충청북도]] [[제천시]]의회 마선거구[* 교동, 남현동, 신백동] 주영숙 후보 등 3명, 광역의원비례대표에 [[서울특별시]]의회 2명(이재숙, 김종갑 후보), 기초의원비례대표에 [[서대문구]]의회 1명(전영미 후보) 등 총 7명의 후보가 출마했다. 선거 결과, 7명의 후보 모두 하위권으로 낙선하였다.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지역구에서는 후보를 내지 않고, 비례대표에서만 2명의 후보를 냈다. 결과는 8,518표(0.03%)를 얻어 전체 38개 정당 중 30위로 낙선하였다. == 강령 == > '''교육개혁'''을 통해 미래사회를 구축하는 대한민국 > '''정치개혁'''을 통해 정의가 푸른 초장처럼 펼쳐지는 대한민국 > '''경제개혁'''을 통해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대한민국 > '''인구문제''' 해결을 통해 지속가능한 발전과 미래성장 동력을 확보하는 대한민국 > '''청년'''에게 희망을 주고 꿈을 실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대한민국 > '''사회복지개선'''을 통해 미래가 있는 삶으로 바꾸는 대한민국 > '''통일'''을 성취해서 세계일류국가공동체로 도약하는 대한민국 == 역대 지도부 == [include(틀:통일한국당 대표)] == 둘러보기 == [include(틀:대한민국의 원외정당)] [include(틀:대한민국의 정당)] [include(틀:대한민국의 제3지대 정당)] [include(틀:대한민국의 민족주의 정당)] [include(틀:제3지대/정당(문재인 정부))] [include(틀:제3지대/정당(윤석열 정부-현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