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북한의 신도시)] [include(틀:평양시의 길거리)] ||<-2> {{{-2 '''[[북한|[[파일:북한 국기.svg|height=15]]]] [[평양시|{{{#white 평양시}}}]]의 [[신도시|{{{#white 신도시}}}]]·[[길거리|{{{#white 길거리}}}]]'''}}}[br]{{{#!wiki style="margin: -10px -10px" || [[북한|[[파일:북한 국장_White.svg|height=60]]]]||'''{{{+1 통일거리[br]統一거리}}}[br]{{{-2 Thongil Street}}}'''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통일거리.jpg|width=100%]]}}} || ||<-2> {{{-1 '''▲ 통일거리의 모습'''}}} || ||<|2> '''구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40001; font-size: .8em;" {{{#white '''시점'''}}}}}} [[락랑구역]] 락랑3동, 승리3동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40001; font-size: .8em;" {{{#white '''종점'''}}}}}} [[락랑구역]] 정오1동, 정오2동 || ||<|2> '''조성'''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40001; font-size: .8em;" {{{#white '''착공'''}}}}}} [[1990년]]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40001; font-size: .8em;" {{{#white '''준공'''}}}}}} [[1993년]] [[7월]] || || '''규모''' ||{{{-2 세대수}}} 36,000세대 || || '''주소'''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38.97763975475475%2c125.72169534176263, 너비=100%, 높이=250)]}}} ---- {{{#!wiki style="padding: 2px 10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e40001; color: white" '''통일거리'''}}} {{{-2 ([[평양시]] [[락랑구역]])}}} || [목차] [clearfix] == 개요 == [[북한]] [[평양시]]의 [[신도시]] 겸 [[길거리]]. [[평양시]] [[락랑구역]]([[이북5도]] 기준 [[평안남도]] [[대동군]] 남관면)에 걸쳐 있다. 1989년 평양축전을 기념하여 만들어진 거리로, [[락랑구역]]의 [[락랑다리]]와 [[충성의 다리]]까지의 구간을 잇는 거리이다. 건설 당시에는 '락랑거리'라고 명명될 예정이었으나, 1990년 6월 [[적화통일]]의 염원을 담아 현재의 이름으로 바뀌었다고 한다. == 특징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에 따르면, 1989년 12월 [[김정일]]의 [[평양시]] 건설사업 지도 지시에 따라 1990년부터 이 곳에 수만 세대의 살림집([[주택]]과 [[아파트]])을 비롯한 각종 시설들을 건설해 왔다고 한다. 김일성 주석의 80회 생일인 1992년 10월에 2만 세대의 아파트와 부대시설들을 건설한 데 이어, 1993년 7월에는 1만 6천 세대의 아파트를 추가로 건설했다. 현재 북한에서는 이 거리에 2만 세대가 살 수 있는 초고층아파트가 건설되어 있다고 전한다. 그러나 생활여건의 악화로 주로 서민들이 거주하는 지역으로 알려져 있다.[* 완공된 1992년 자체가 북한의 경제가 망가질대로 망가져 무너지기 일보 직전이었기 때문에 발전소들이 멈춰가면서 난방도 제대로 안되는 상태로 입주한것이다] 통일거리에는 폭 120m, 길이 5km의 주도로를 중심으로 아파트·학교·병원·상점 등의 각종 문화후생시설과 탁아소, 조선요리식당 등의 서비스시설들이 조성되어 있으며, 여러 개의 [[입체교차로]]가 건설되어 있고, 평양에서 [[개성시|개성]], [[원산시|원산]]으로 이어지는 2개의 [[고속도로]]가 연결되어 있다. 이 거리에는 평양의 대표적인 종합시장인 6,000㎡ 규모의 [[통일거리시장]]도 위치하고 있다. 또한 외국으로의 [[흑색선전|체제선전]]을 위해 건설된 조국통일 3대헌장 기념탑이 세워져 있다. 이렇다 보니 [[광복거리]]와 함께 북한 [[잡지]] [[사진]]의 단골 메뉴였다. 김정은 집권 이후로는 려명거리, 과학기술전당, [[삼지연시]] 같은 다른 것을 띄워준다. [[평양 궤도전차 2호선]]이 이곳을 지나간다. [[분류:북한의 도로]][[분류:락랑구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