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경상남도의 기초자치단체 청사]][[분류:통영시]] [include(틀:경상남도의 기초자치단체 청사)] ||<-3>
[[파일:통영시 CI_White.svg|width=20]][br] {{{+2 {{{#ffffff '''통영시청'''}}}}}}[br]{{{#ffffff Tongyeong City Hall}}}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통영시청전경.jpg|width=100%]]}}} || ||<-3>{{{#!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통영시청, 너비=100%, 높이=100%)]}}} || || '''주소''' ||<-2> [[통영해안로]] 515 ([[무전동]]) || || '''국가''' ||<-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5]] [[대한민국]] || || '''관할구역''' ||<-2> [[경상남도]] [[통영시]] || || '''직원 수''' ||<-2> 633명[* 본청기준. 사업소,읍면동 까지 합하면 1063명] || || '''예산''' ||<-2> 7782억원(2022년) || || '''기관장''' || [[천영기]] || [include(틀:국민의힘)] || || '''부기관장''' ||<-2> 조현준 || || '''상급기관''' ||<-2> [[경상남도청]] || || '''홈페이지''' ||<-2> [[https://www.tongyeong.go.kr/01174/04860.web|[[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경상남도 [[통영시]]의 기초자치단체 청사. 제1청사와 제2청사가 있다. 제1청사는 [[충무시]]시절부터 사용하던 청사이고 제2청사는 옛.경찰서자리 이다. == 청사 == === 제1청사 === 이름만 제1청사고 사실상 본청이다. 시장실과 부시장실, 다목적실 등이 있다. === 제2청사 === 옛 [[통영경찰서]] 건물을 개조하여 사용하고 있다. 제1청사와 거리가 매우 가깝다. == 역사 == === 역대 기관장 === || 대수 || 성명 || 기간 || 정부 및 당적 || 기타 || || 1대 || 강태선 || 1995. 1. 1.~1995. 5. 3. || ||-|| || 2-3대 || [[고동주]] || 1995. 7. 1.~2002. 6. 30. ||[include(틀:민주자유당)]||-|| || 4대 || [[김동진(정치인)|김동진]] || 2002. 7. 1.~2003. 9. 26.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시장직 상실|| || 5-6대 || [[진의장]] || 2003. 11. 1.~2010. 6. 30. ||-||-|| || 7-8대 || 김동진 || 2010. 7. 1.~2018. 7. 1.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7대는 무소속, 8대는 새누리당 입당|| || 9대 || [[강석주(1964)|강석주]] || 2018. 7. 1.~2022. 6. 30.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10대 || [[천영기]] || 2022. 7. 1.~ 현직 ||[include(틀:국민의힘)]||예정|| == 조직 == * 시장 * 부시장 *기획예산당담관 * 공보감사담당관 *행정복지국 *행정과 *주민생할복지과 *노인장애인복지과 *여성아동청소년과 *세무과 *회계과 *교육체육지원과 *정보통신과 *민원지적과 * 문화관광경제국 *도시재생과 *문화예술과 *관광과 *지역경제과 *일자리정책과 * 안전도시국 *안전총괄과 *도시과 *교통과 *건설과 *건축과 *도로과 *상하수도과 * 수산환경국 *수산과 *어업진흥과 *해양개발과 *환경과 *자원순환과 *공원녹지과 === 휘하 행정복지센터 === *도천동 *명정동 *무전동 *미수동 *봉평동 *북신동 *정량동 *중앙동 *산양읍 *광도면 *도산면 *사량면 *욕지면 *용남면 *한산면 == 이용가능한 [[대중교통]] == === [[버스]] === 비록 시청이지만 바로 앞으로 가는 버스가 웬만하면 없다. 그래도 통영자체는 좁기 때문에 통영축협 정거장에서 내려서 걸어오면 된다. * 통영시청: 113번, 620번 * 통영축협: 81번, 100번, 102번, 103번, 104번, 105번, 139번, 143번, 185번, 202번, 206번, 235번, 302번, 303번, 335번, 342번, 347번, 348번, 401번, 402번, 403번, 412번, 414번, 415번, 416번, 418번, 436번, 437번, 438번, 455번, 456번, 502번, 503번, 512번, 521번, 532번, 536번, 537번, 540번, 600번,610번, 611번, 612번, 613번, 615번, 653번, 660번, 663번, 664번, 665번, 667번, 673번 == 여담 == * 1,2청사 둘다 위치가 이상하다. 둘다 통영시의 중심지인 무전동에 위치해 있지만 무전동 신시가지에서 매우 동쪽으로 치우쳐 있다. 심지어 바로 앞으로 가는 버스도 거의 없다. 제1청사는 미늘고개 중턱에 위치하고 제2청사는 급경사에 위치한다. 그래도 제1청사는 앞에 큰길도 있고, 앞으로 가는 버스가 2개[* 113번, 620번]가 있어 사정이 그나마 좋지만 제2청사는 급경사+일방통행 골목길에 위치해 있어 위치가 극악이다. 그래서 죽림신도시에 이전을 시도하려다가 타이밍을 못잡아 이전에 실패하였다.[* 실제로 현재 죽림신도시에 남은 부지는 광도면죽림민원실 옆에 있는 공터 밖에 없다.] == 관련 문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