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리조트 전체, rd1=하이원추추파크)] [include(틀:폐쇄된 교통시설)] ||<-3> {{{+2 '''통리역'''}}}[br]{{{#red '''(폐역)'''}}} || ||<-3> {{{#!wiki style="margin:-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통리역, 너비=100%, 높이=100%)]}}} ||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Tong-ri || || [[한자]] ||<-2><|2> 桶里 || || [[간체자]] || || [[가나(문자)|가나]] ||<-2> [ruby(桶里, ruby=トンニ)] || ||<-3> '''주소''' || ||<-3> [[강원도]] [[태백시]] 통리길 70[br](舊 통동 산68-2) || ||<-3> '''개업일''' || || [[영동선]] ||<-2> 1940년 8월 1일~[br]2012년 6월 27일 || ||<-3> '''철도거리표''' || || [[영주역|{{{#!html
영주 방면}}}]][[동백산역|동백산]][br]← 3.1 ㎞ || '''[[영동선]]'''[br]--통 리--[br]'''{{{#red (폐역)}}}''' || [[강릉역|{{{#!html
강릉 방면}}}]]~~[[심포리역(영동선)|심포리]]~~[br]7.7 ㎞ →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external/mt.busan.com/b960b3be602a29bec5c8f7388dd0a34c_7J3HU4k3lmz2C4vUcrQ8S2WnEA5EkIaG.jpg|width=100%]]}}} || || '''통리역사 (1963년 준공)''' || [목차] [clearfix] == 개요 == >'''1940년 산골짜기 오지에서 보통역으로 출발''' >산골짜기 오지에 들어선 어느 역사. 1940년 통리역이 영동선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면서 인근 지역에 급속도로 사람들이 모여들었다. 인근 태백, 사북, 고한 등지에서 생산된 석탄들이 통리역으로 모여들었기 때문이었다. 역 인근에 광산 사무실과 저탄 사무실과 숙박시설, 상점들이 들어서고, 오일장도 열리게 되었다. 1963년 통리-심포리 간 인클라인 철거와 함께 현재의 역사도 지어졌지만, 세월과 함께 점차 역할이 줄어들면서 결국 1994년 소화물 취급 중지, 2012년 솔안터널 개통으로 최종 폐역되었다. 그러나 통리역은 오늘도 사람들과 함께하고 있다. 현재 역사는 국내 최고, 최초의 철도체험형 리조트 하이원 추추파크의 레일바이크 정거장으로 이용되며 여전히 사람들을 부르고 있다. >----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영동선]]의 폐지된 철도역.[* 비슷한 예로 [[퇴계원역]]에 딸린 옛 [[경춘선]] [[화랑대역(경춘선)|화랑대역]]이 있다.] [[강원도]] [[태백시]] 통리길 70 (舊 통동 산 68-2번지) 소재. [[솔안터널]] 개통으로 인해 현재는 [[영동선]] 본선에서 제외되며 동백산역에 딸린 역으로 취급되어 운전취급만 하는 신세가 되었다. == 역 정보 == 통리역 인근 [[석탄]] [[탄광]]에서 [[무연탄]]을 생산하기 때문에 화물취급상 '''매우 중요한''' 역이었다. 일부 [[무궁화호]]가 운행하면서 [[탄광]] 근로자들과 [[태백시]] 등산객의 여객수요를 충족시켜 주고 있었다. 과거 80년대까지만 해도 광업이 발달해, 무궁화호 원년 정차역이었을 정도로 잘 나갔지만 이젠 옛말. 이 역과 [[심포리역(영동선)|심포리역]] 사이에는 [[강삭철도]] 시설이 있었는데, 이 내용은 심포리역 문서에서 참고할 것. [[솔안터널]]이 개통됨에 따라 동백산역-도계역 구간이 통째로 이설되어 통리, 심포리, 흥전, 나한정역이 모두 폐역처분을 받게 되었다. 당초 통리역은 화물취급을 하는 걸로 알려져 있었으나, [[2012년]] [[6월 26일]]에 방침이 바뀌어 [[동백산역]]에서 화물취급까지 하는 것으로 결정이 나 통리역은 '''이름만 화물취급'''을 하는 서류상의 역으로 전락하였다. 인근 경동탄광 인입선 때문인데, 경동탄광 인입선으로 들어갔다 나오는 화물열차들의 '''정차지'''(정차'역'이 아니다)로 쓰인다고 한다. 단, 이 역에 정차하는 모든 화물열차의 수입은 '''[[동백산역]]'''의 수입으로 잡히게 되어 통리역은 사실상 폐역이나 마찬가지. [[신호장]] 수준의 운전취급만 한다고 보면 된다. 선로는 경동탄광에 들어가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개수만 남기고 몽땅 철거한다고 한다. 문제의 통리역 승강장과 그 옆의 선로 2~3개 정도만 남긴다는 듯. 참고로 전차선은 죄다 철거됐다. [[2012년]] [[6월 26일]] 통리역 역무실에서 [[철도 동호인]]들과 통리역 직원들이 하나되어 조촐하게 통리역 '''[[종운식]] 파티'''를 하였다. 모든 통리역 역무원들은 [[동백산역]]이나 [[도계역]], [[강릉역]], [[태백역]] 등으로 재배치 되었다고 한다. 또 하나의 특징으로 이 역은 승강장이 '''미친 듯이 좁다.''' 어느 정도냐면 가로등을 승강장에 세우지 못하고 전차선을 매달아놓은 철골 구조물에 달아놔야 했을 정도로 좁다.[* 어림잡아 약 2m 내외니 말 다했다.] 이 정도로 승강장 폭이 좁은 역은 [[태백선]]의 [[자미원역]]이나 장항선 [[청소역]], [[신성역]][*i 개량 이전]이 있다.[* 일본의 경우 [[한신 본선]] [[카스가노미치역(한신)|카스가노미치역]][*i]의 경우가 해당.] [[2012년]] [[6월 27일]]부로 이 역이 결단나면서 신축된 [[동백산역]]이 통리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를 가져갔다. [[간현역]] 스탬프가 한동안 소재가 불분명했던 것에 대한 [[코레일]] 측의 반성이 들어갔다고 한다. 그리고 [[국토해양부]] 철도거리표에서도 완벽하게 사라지면서 폐역되었다. === 현재 === ||<-3> {{{+2 '''스카이스테이션'''}}} || || [[심포리역(영동선)#폐지 이후|{{{#!html
추추스테이션
방면
}}}]] {{{-1 [[심포리역(영동선)#폐지 이후|추추스테이션]]}}}[br]← 1.1 ㎞ || [[하이원추추파크#s-1.2.2|{{{#!html
인클라인
트레인
}}}]] || {{{#!html
시종착}}} || ||<-3> {{{#!wiki style="margin:-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37.173484 129.038343, 너비=100%, 높이=100%)]}}} || ||<-3> '''주소''' || ||<-3> [[강원도]] [[태백시]] 느릅령길 33 || ||<-3> '''개업일''' || || [[하이원추추파크#s-1.2.2|{{{#ffffff 인클라인[br]트레인}}}]] ||<-2> 2014년 10월 24일 || ||<-3> '''운영 기관''' || || [[하이원추추파크#s-1.2.2|{{{#ffffff 인클라인[br]트레인}}}]] ||<-2> [[하이원추추파크]]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external/choochoopark.com/skystation.jpg|width=100%]]}}} || || 스카이스테이션의 모습 || [clearfix] 현재는 레일바이크는 통리역 본역에서, 인클라인 트레인은 옆에 신 역사를 신설하여 이용하고 있다. 아무래도 역만 딸랑 만들기 뭐했는지 안에 카페와 미니농장을 조성해놓았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영동선의 역 목록)] [[분류:1940년 개업한 철도역]][[분류:2012년 폐지된 철도역]][[분류:태백시의 폐지된 철도역]][[분류:영동선(폐지된 구간)]][[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분류:하이원추추파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