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오세아니아의 역사)] ---- ||<-3> {{{#fff {{{+1 '''통가 제국'''}}}[br]'''Tuʻi Tonga Empire'''}}} || ||<-6>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Tonga-Samoa-Fidschi.png|width=100%]]}}}|| ||<-6><:> {{{#000,#ddd {{{-1 통가 제국의 영향권}}}}}} || ||<-3> '''{{{#fff [[950년|{{{#fff 950년 경}}}]] ~ [[1865년|{{{#fff 1865년}}}]]}}}''' || ||<-2> '''{{{#fff 성립 이전}}}''' || '''{{{#fff 멸망 이후}}}''' || ||<-2><#002b7f> '''[[투이 마누아|{{{#fff 마누아 제국}}}]]''' ||<#fff> '''[[통가|{{{#c10000 통가 왕국}}}]]''' || || {{{#fff '''위치'''}}} ||<-2>[[태평양]] [[폴리네시아]] 일대 || || '''[[수도(행정구역)|{{{#fff 수도}}}]]''' ||<-2>무아[* [[통가타푸 섬]]의 도시이며, 이 섬에는 수도인 [[누쿠알로파]]도 있다.] || || {{{#fff '''정치 체제'''}}} ||<-2>[[전제군주제]] || || {{{#fff '''국가 원수'''}}} ||<-2>투이 통가[[https://en.m.wikipedia.org/wiki/Tu%CA%BBi_Tonga|목록]][* 통가 제국의 왕과 동일한 개념이다.] || || {{{#fff '''종족'''}}} ||<-2>[[폴리네시아인]] || || '''[[종교|{{{#fff 종교}}}]]''' ||<-2>[[폴리네시아 신화|폴리네시아 전통신앙]] || || {{{#fff '''현재 국가'''}}} ||<-2>[include(틀:국기, 국명=통가)][br][include(틀:국기, 국명=사모아)][br][include(틀:국기, 국명=피지)][br][include(틀:국기, 국명=투발루)][br][include(틀:국기, 국명=키리바시)][br][include(틀:국기, 국명=솔로몬 제도)][br][include(틀:국기, 국명=나우루)] || [목차] [clearfix] == 개요 == [[태평양]]의 폴리네시아 일대에 근대 후기까지 존재했던 원시 [[제국]]. == 상세 == 950년경 강력한 해군[* 카누 한 척에 '''150명'''을 태울 수 있었다고 한다.]을 바탕으로 통가 제도를 통일한 [[아호에이투]]가 통가 밖으로 세력을 확장하여 기존의 마누아 제도에 위치한 [[투이 마누아]]로부터 패권을 빼앗고 통가의 [[파차쿠티]]라 할 수 있는 10대 군주 모모가 다스리던 전성기에는 [[피지]]에서 [[사모아]], [[키리바시]]와 [[투발루]]에 이르는 광활한 영역을 경영하였다. 추장은 투이(Tui)라고 불렸고 막강한 권력을 가졌다. == 이후 == 1610년, 통가 제국은 [[통가]]와 [[사모아]]의 두 [[왕국]]으로 분열되었다. 1616년 [[네덜란드]]의 빌럼 스하우턴이 이 지역에 처음 상륙하였고, 1700년대 후반 [[제임스 쿡]]에 의해 본격적인 이 지역의 탐사가 이루어졌다. [include(틀:대영제국의 식민지)] 1875년 [[입헌군주제]]로 전환되었으며, 1900년에는 [[영국]]의 [[보호국]]으로 편입된다. 이후 통가는 1970년에 [[영연방]]에 가입하였으며, 1999년에는 [[UN]]에도 가입하는 등 독립 국가가 되어 오늘까지 이어져오고 있다. [각주] [[분류:오세아니아의 제국]][[분류:통가]][[분류:사모아-통가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