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파일:독설메이커.jpg|width=200]] 톡썰메이커는 가상(허구)의 [[카카오톡]] 대화 화면을 만들 수 있는 [[어플]]이다. == 기능 == === 프로필 설정 === ||[[파일:민머리대머리.jpg|width=300]]|| ||기본적인 프로필 형식|| 친구를 직접 만들 수 있다. 사진이랑 사진 아래에 나오는 상태메시지도 입력할 수 있--는데 상태메시지는 별 쓸모가 없--다. === 채팅 === 1:1 채팅방도 만들 수 있고 단톡방도 만들 수 있다. 다른 친구가 채팅을 친 것 같이 연출하는 방법은 채팅을 치는 곳 위에 있는 동그란 모양의 버튼을 누르고 친구를 선택한 뒤 채팅을 치면 된다. [* 참고로 친구를 선택하면 그 친구가 대화를 읽은 걸로 처리된다.] 또한 채팅을 누르면 공지로 등록할 수 있고, 보낸 시간 변경, 복사와 수정, 삭제를 할 수 있다. === 추가기능 === 채팅 치는 곳 옆에 +모양 버튼이 있다. 그걸 누르면 사진 보내기, 음성 메세지나 그룹콜[* 시간에 제약이 없다.], 날짜선 추가하기랑 기준시간 변경하기가 있다. 그리고 오른쪽 위를 보면 三자 모양이 있는데 그걸 누르면 대화상대 초대하기, 대화상대[* 물론 나도 퇴장할 수 있다.] 퇴장하기, 나 변경하기[* 다만 채팅방에 초대되지 않은 사람에 한정여 가능하다.], 스팸 신고 표시와 채팅방 이름 변경, 배경색 변경[* 리셋도 할 수 있고 이미지로 배경을 설정할 수 있다.], 캡쳐 모드[* 광고가 사라지고 동그란 버튼도 사라져서 진짜 카톡인 것 처럼 연출할 수 있다. --좀 더 리얼하게 하려면 핸드폰의 캡쳐가 낫다--]로 변경하기 옵션이 있다. 설정에서 테마를 변경하면 자기 핸드폰에 다운되어 있는 카카오톡 테마를 톡썰메이커에도 사용할 수 있다. == 여담 == * 톡썰메이커를 처음 깔면 help[* 상태메시지는 '안녕하세요. hello'.]라는 친구와 도움말이라는 채팅이 있다. [* 채팅을 보낸 시간은 2014년 5월으로 되어있다.] 이 방의 모든 채팅은 아무도 읽지 않은 상태인데, 숫자가 1이 아닌 2로 되어 있다.[* 이 두 명은 help와 자기 자신이다. ] * 물론 이 방도 기본적인 톡방이고, 이 도움말 역시 일반적인 카톡 친구로 취급되기기에 도움말 단톡방에서도 채팅을 칠 수 있고 친구를 초대할 수도 있고 Help를 다른 톡방에 초대할수도 있다. * 설정에서 암호를 만들 수 있다. [* 그런데 0 왼쪽 빈 공간을 누르면 암호가 보인다. --뚫기가 매우 쉽다.--] * 톡썰메이커에서는 하루에 한 번 씩 이 어플은 패러디 어플이므로 악용하면 범죄가 될 수 있다는 경고문[*내용 *이 앱은 패러디 앱입니다. 재미로만 사용해주세요. 악용할 시 문죄가 될 수 있습니다. **특히 연예인이나 유명인을 모욕하는 화면을 공유하면 큰 범죄가 됩니다. 주의해주세요.(이 안내창은 하루에 한 번 출력됩니다.)]이 뜬다. 이는 캡쳐 모드를 활성화하기 전에도 나타난다. * 대화상대를 초대했을 때 뜨는 메세지를 꾹 누르면 수정할 수 있는데 입력할 글자 앞 뒤에 각각 를 붙이면 밑줄이 쳐 진 효과가 나온다. 문자를 입력하면 __문자__가 나오는 식. * 개발자에게 커피를 한잔 사주는 버튼이 있다(...)[* 당연히 실제로 커피를 사 주는 건 아니고 광고제거 버튼이다.] * 톡썰메이커와 진짜 카카오톡을 구별하는 방법이 있다. 긴 문장을 톡썰메이커와 진짜 카카오톡에 똑같이 보냈을 때 문장 줄이 바뀌는 지점이 다르고, 커서 색은 톡썰메이커는 청록색이다.[* 진짜 카톡은 파란색에 더 얇다.] 실제로 이 점을 이용해 카톡 주작을 구별해낸 사례가 있었다. 과거 톡썰메이커에서는 돋보기와 三자 모양 사이의 간격이 카톡보다 넓었는데 언젠가부터 패치로 카톡과 똑같이 좁아졌다. --하지만 현재 카톡에서는 톡서랍 기호가 이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구별할 수 있다.-- * 카톡 형태로 방송하는 썰 유튜버들이 애용하는 어플이다. * 한때 신비아파트 공식앱에서도 이것이 유행했었는데, 대부분 캡쳐모드로 설정하지 않고 캡쳐해서 올렸다. [[분류:애플리케이션]]